16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의 신용점수 601∼650점 대출자의 금리는 평균 연 6.19%로 600점 이하 대출자(5.98%)보다 높았다. 신한은행은 601∼650점 차주 금리(7.72%)가 600점 이하(7.49%)를 웃돌았다. IBK기업은행 역시 601∼650점 신용점수 대출자에 600점 이하(4.73%)보다 높은 5.13%의 금리를 책정했다. 하나은행은 750~701점 구간에서 800점 구간보다 금리를 평균 0.05%포인트(p) 낮게 받았다.
지방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경남은행은 750~701점 차주가 바로 윗 구간인 800~751점(6.31%) 차주보다 금리가 0.43%p 낮았다. 카카오뱅크는 650~601점 차주에게 5.48% 금리를 제공했다. 신용이 무려 네 단계 높은 구간보다 금리 혜택을 봤다.
이는 정부가 포용 금융, 생산적 금융을 요구한 결과 발생한 금리 역전 현상이다.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가산금리가 낮고 가감조정금리는 큰 정책대출의 비중을 늘리거나 관련 금리를 낮추면서 정부 기조에 호응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금리 역전 현상이 장기화하면 신용 시스템이 크게 무너질 수 있다는 비판도 끊이지 않는다. 저신용자의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신용점수를 낮추기 위한 행태가 반복되면 금융산업이 후퇴할 수 있다는 우려다. 일각에서는 정책서민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 신용점수를 낮추기 위해 연체를 하는 등 도덕적 해이가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이자에서 손해를 보는 대신 예금 이자를 올리지 않는 식으로 수익을 보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금리를 낮추기보다는 저신용자에게는 복지 기금 등 재원을 따로 만들어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신규 취급액을 기준으로 중·저신용대출을 얼마나 공급했는지를 따지면 금리 역전 현상도 해소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