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관내 기업과 손잡고 공동주택 건설현장의 관내 자재 및 인력, 건설장비를 사용하도록 적극 권장해 397만9000만원 상당의 성과를 이뤄낸데다, 소상공인 도로점용료 감면혜택을 추진하면서 3697건 5억5743만2000원의 감면혜택을 제공한 것이 큰 성과다.
이밖에도 노외 공영주차장 월 8000만원상당 시민편익 제공과 착한가격업소 지정 1년 이상 업소 대상으로 80만원 상당의 인센티브지원, 착한가격업소 대상 소상공인 운전자금 이자차액 0.5% 추가 지원 등을 시행해 소상공인 혜택의 체감도를 상승시켰다.
기업 지원도 큰 폭으로 이뤄졌다. 아파트 분양시 관내 제품 사용 권장으로 9000만원 상당의 실적을 냈고, 주택건설현장 관내기업 참여 및 구매상담회를 개최해 관내 기업 65개사가 약 30건의 1:1 상담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5일장 상인부터 만나 지역경제 현장진단으로 시작된 TF 운영은 지역 상권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며 민생 경제 안정 대책의 실행 체계를 공식화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두 번째 회의에서는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시민 생활 편익을 높이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특히 노외 공영주차장 1시간 무료 이용제를 통해 시민에게 월 8000만원 상당의 편익을 제공했고, 착한가격업소 지정 1년 이상 업소에 80만원 상당 인센티브를 지급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에 실질적 도움을 준 것이 큰 성과다.
이외에도 착한가격업소에는 소상공인 운전자금 이자차액 0.5% 추가 지원을 추진했으며 도로점용료 감면(3697건, 5억5700여만원 규모)으로 소상공인 부담 완화에 기여했다.
또한 아파트 분양 시 관내 제품 사용을 통한 9000만원 규모 실적을 거두었으며 ‘주택건설현장 관내기업 참여·구매상담회’에는 관내 기업 65개사가 참여해 약 30건의 1:1 구매 상담이 진행되는 등 지역기업의 판로 확대와 납품 기회를 실질적으로 넓혔다.
마지막 4차 회의에서는 TF 운영 1년간의 성과를 종합 점검하고, 각 반별 추진 과제를 공유했다. 특히 단기적 지원 중심의 정책에서 나아가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구조 전환’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2026년도 김포 경제 활성화 전략과 중장기 민생경제 로드맵을 논의한 것이 눈여겨볼 부분이다.
이석범 부시장은 "경제 회복의 핵심은 시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얼마나 속도감 있게 만드는가에 달려 있다"며"부서 간 협업과 민관 협력을 강화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속도를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김포시는 앞으로도 민생경제 안정, 지역기업 육성, 상권 활성화 등 시민 생활과 직결된 분야에서 ‘행정이 직접 움직이는 실행 중심의 경제운영’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김포시·김포상공회의소·KTR 경기김포센터 ‘해외인증·시험’ 세미나 개최
이날 행사에는 관내 중소기업 임직원 30여 명이 참석했고, 화장품·식품 분야 해외수출에 필수적인 규제·인증 대응 전략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세미나는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제도와 절차 △화장품 품질관리 및 안전성·유효성 시험 △식품 품질관리 및 식품용기구·용기포장 시험·검사 기준 등 현장 실무 중심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KTR의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 전담대응반, 뷰티소비재센터, 식품평가팀 소속 전문가들이 강사로 참여해 실무 중심으로 진행됐다. 행사 후에는 기업별 애로사항을 듣는 1:1 개별 상담도 이어졌다.
김포시는 최근 아세안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지원을 전방위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25 해외시장개척단'(10월 19일~25.)을 통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현지에서 66건의 상담과 약 850만 달러 규모의 상담 실적을 거뒀으며 이 중 약 225만 달러는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오는 20일,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경기북서부FTA통상진흥센터와 함께 글로벌 무역 DB 플랫폼을 활용한 ‘바이어 발굴 실전 전문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포시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기업들이 해외 인증·시험의 장벽을 빠르게 넘을 수 있도록 돕는 실전형 지원"이라며 "시장개척단의 현장 성과와 더불어 사전(인증)–현장(바이어상담)–사후(컨설팅)로 이어지는 패키지형 수출지원을 강화해 관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또 "K-뷰티 · K-푸드 등 생활소비재 분야는 규격·인증 충족이 성패를 좌우한다. KTR·상공회의소 등과의 협업을 통해 맞춤형 기술상담과 지원 연계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