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12일(현지시간) 자사의 비즈니스 SNS 링크트인(LinkedIn)을 통해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새 데이터센터 '페어워터2'를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이 시설은 위스콘신주 마운트플레전트에서 건설 중인 '페어워터'와 동일한 이름을 따온 것이다.
MS는 애틀랜타와 위스콘신의 두 데이터센터를 전용 고속망으로 직접 연결해 하나의 'AI 슈퍼팩토리'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MS는 두 데이터센터에 최신 AI 가속기인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십만 개를 배치했으며, 전선 배선을 최소화해 장비 밀집도를 높임으로써 지연시간을 크게 줄였다고 설명했다.
메타 역시 데이터센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메타는 위스콘신주 비버댐에 자사 30번째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70만 평방피트(약 6만5000㎡) 규모로 지어지며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메타는 이 시설이 100% 청정에너지로 매칭돼 운영되고, 사용된 물 역시 100% 인근 유역으로 복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앤트로픽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 내에서 800개의 정규직 일자리와 2000개 이상의 건설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데이터센터 계획이 "미국의 AI 리더십을 유지하고 미국 내 기술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 실행계획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미국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하게 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은 최근 자국 내 AI 인프라 확충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다.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프트뱅크·오라클과 협력해 미국 전역에 데이터센터를 짓는 방안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으며, 아마존도 최근 인디애나주에 110억달러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레이니어'를 공개했다. 이 시설은 앤트로픽의 챗봇 클로드가 독점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처럼 빅테크들이 미국 내 데이터센터 투자를 대폭 늘리는 것은 급증하는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함과 동시에, 제조업 기반을 미국으로 되돌리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와도 맞물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