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연 수출입은행장 "기업 활로개척·미래 성장판 넓힐 것"

  • 제23대 은행장 취임식 개최

  • "대미투자사업 금융 수요에 적극 부응"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이 6일 서울 여의도 수은 본점에서 열린 ‘제23대 은행장 취임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수은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이 6일 서울 여의도 수은 본점에서 열린 ‘제23대 은행장 취임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수은]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이 “우리 기업의 활로를 개척하고 산업 생태계를 지키며 미래의 성장판을 넓히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황 행장은 6일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지금 우리 경제는 대내외적으로 매우 엄중한 여건에 처해 있고 이런 시기일수록 수은 정책금융의 존재 이유는 더욱 분명해진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 기업의 대미투자사업 금융 수요에 적극 부응해 정부 정책을 뒷받침하겠다”며 “수은은 이제 단순한 수출금융기관을 넘어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전략적 투자자, 통상위기 극복의 최일선 조력자, 그리고 글로벌 협력의 촉진자로 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행장은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방산 등 미래 성장 분야의 핵심기술 개발과 수출 역량 강화를 지원하겠다”면서 전략산업을 선제적으로 육성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 선도 산업의 초기 투자부터 수출, 해외 진출까지 모든 성장경로를 아우르는 맞춤형 금융을 제공해 산업 고도화와 경제구조 전환을 앞당겨야 한다”며 “AI 대전환을 위한 주요 산업분야의 피지컬 AI 도입 및 유관 인프라 구축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황 행장은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정책금융을 실현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관세장벽과 환율변동에 직면한 중소중견기업들이 생존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수은이 든든한 보호막이 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신재생 에너지, 수소산업 등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남북협력기금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공동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사우스(아시아·중남미·중동·아프리카의 신흥개발도상국)와의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황 행장은 “우리 기업의 현지 인프라 및 에너지 분야 진출에 수출금융을 적극 제공하고 치열한 지정학적 글로벌 경쟁에서 개도국의 경제발전과 우리의 국익을 함께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레버리지(지렛대)로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