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26년도 예산안을 총 39조 9046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올해보다 1조 1825억원(3.1%) 증가한 수준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5일 이번 예산을 '국정 제1동반자 예산'으로 규정하며 민생경제 회복과 미래 성장, 돌봄·안전, 지역 균형발전에 집중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제383회 경기도의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확장재정의 원칙을 굳게 지키며 중앙정부와 함께 경기 반등의 동력을 강화하겠다"며 "도민의 삶으로 체감되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지사는 "지난 3년, 경기도는 긴축재정의 역주행 속에서도 확장재정으로 민생을 지켜왔다"며 "이제 국민주권 정부의 적극적 재정정책과 함께 회복·성장·도약을 위한 날개를 펼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2026년을 반환공여구역 개발의 원년으로 삼아 북부 발전의 활로를 열겠다"며 "특별한 희생에는 반드시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3년 반, 경기도와 도의회는 함께 '내일이 먼저 시작되는 경기'의 길을 열어왔다"며 "국민주권 정부의 회복 기조에 맞춰 정책 실행력을 높이고 회복 속도를 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끝으로 "도민 누구나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기본을 단단히 하겠다"며 "1421만 도민 모두의 더 나은 삶을 위해 도의회가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도는 소상공인·자영업자·중소기업 지원에 1194억원을 투입한다. 농수산물 할인쿠폰(200억원), '소상공인 힘내GO 카드'(30억원),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100억원) 등을 통해 골목상권 회복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또한 교통 복지 확대를 위해 'The 경기패스' 및 교통비 지원사업에 620억원을 반영했다. 'The 경기패스'는 현재 155만 명이 이용 중이며 이용자 1인당 연평균 24만원을 환급받고 있다.
도는 반도체·AI·로봇·기후테크 산업 등 첨단기술 산업에 총 1382억원을 투자해 혁신성장을 가속화한다. 반도체 팹리스 생태계와 인재 양성에 43억원, 경기 AI 혁신클러스터 조성에 35억원, 공공 AI 서비스 확대에 102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AI 유방암 무료검진',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업을 통해 도민 체감형 AI 서비스를 실현할 계획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보험' 사업에도 34억원, 'RE100 마을 2000개 프로젝트'에는 128억원을 반영했다. 또한 '대·중소기업 상생형 주 4.5일제' 도입을 위해 95억원을 편성, 노동생산성과 삶의 균형을 동시에 높이는 일자리 혁신을 추진한다.
도는 '간병 SOS 프로젝트', '경기도형 긴급복지' 등 360도 돌봄 체계에 2362억원, 공공의료원 지원과 산후조리원 설립·운영 등 공공의료 강화에 374억원을 편성했다. 이와 함께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561억원), 극저신용대출 2.0 확대, 재해예방사업 및 지방하천 정비(3624억원) 등으로 복지와 안전을 아우르는 포용적 재정을 이어간다.
균형발전 분야에서는 광역철도 건설(2105억원), 국지도·지방도 확포장(1390억원), 도시숲·도서관·주차장 등 생활SOC(367억원) 등에 총 656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10년간 30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고, 내년 300억원을 투입해 방치 부지를 신성장 거점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