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 정상회담 전 무역합의 '신중론'…조선 협력은 '강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29일(한국시간) 경주에서 진행될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무역합의 타결 가능성에 신중론을 내비쳤다. 다만 조선업 협력은 강조해 관심을 끌었다. 

2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시아 순방에 동행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백악관 출입기자들과 만나 한·미 무역협상이 29일까지 타결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아직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전체적인 틀은 이미 마련됐다. 그러나 처리해야 할 세부사항이 많고 매우 복잡한 협상"이라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앞선 발언과 사뭇 달라 눈길을 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며 한미 무역협상에 대해 "타결에 매우 가깝다. 그들이 (타결할) 준비가 된다면, 나는 준비됐다"고 말한 바 있다. 오히려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이재명 대통령의 언급과 결이 비슷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4일 진행된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투자 방식, 투자 금액, 시간표, 우리가 어떻게 손실을 공유하고 배당을 나눌지, 이 모든 게 여전히 쟁점"이라며 "(타결) 지연이 꼭 실패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털어놨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행정부는 조선업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더 많은 배를 (만들기를) 원한다. 수많은 회사가 우리나라로 들어오고 있다. 그들은 (선박) 건조를 시작할 것"이라며 "미국에는 사용 가능한 조선소가 많다"고 피력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한국은 조선업 분야에서 미국에 투자할 훌륭한 계획을 갖고 있고, 실제로 이미 그렇게 했다. 지금은 미국 내 한국 투자를 어떻게 잘 이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알렸다.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비롯한 한국의 대미 조선업 투자는 한·미 양국의 관세 및 무역 협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였다. 지난 7월 당시 한국은 조선업 분야 1500억 달러를 포함한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고, 미국은 한국에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3500억 달러 투자 펀드 구성 방식과 이행 시기 등을 놓고 갈등을 빚으며, 한·미 간 협상 타결이 지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