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옷'으로 물든 국회 앞…1200여명 모인 금감원 노조 '총력전'

  • 국회 앞 대규모 집회…금소원 분리 철회 요구

  • "기관장 자리 나눠먹기"…총파업 등 대응 지속

18일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정부 조직개편에 반발하는 대규모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김수지 기자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정부 조직개편에 반발하는 대규모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김수지 기자]

정부 조직개편을 위한 첫 개정안 의결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처음 대규모 집회를 열며 총력전을 펼치고 나섰다. 추후 금감원이 공공기관으로 지정되고,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쪼개지는 등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막기 위한 집단행동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금감원 노조는 18일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금소원 분리를 반대한다’, ‘공공기관 지정을 철회하라’ 등의 주장을 외치며 정부 조직개편에 반발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이날 국회 앞에는 이른바 ‘검은 옷’을 입은 노조원 1200여 명이 집결했다. 전체 금감원 직원이 약 2000명인 점을 고려하면 참여율은 60%에 달한다.
 
앞서 금감원 노조는 지난주부터 본원 로비에서 아침마다 집회를 이어왔지만, 이처럼 공개적인 장소에서 대규모 집회를 연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7일 정부가 조직개편안을 발표한 이후 약 열흘 만이다. 그간 아침 집회는 좁은 장소와 아침 출근 시간이라는 시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매일 700여 명 참여에 그친 바 있다.
 
이날 윤태완 금감원 노조 비상대책위원장은 “실상은 기관장 자리 나눠먹기를 위한 금감원 해체이고, 금융감독체계를 IMF 외환위기 이전으로 퇴보시킬 것”이라며 “공청회 등 민주적인 논의의 장에서 충분한 숙의와 토론을 거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 직원은 자유발언을 통해 “책임지지 않는 모피아가 금감원을 관리하는 게 이번 개편”이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금감원 노조가 집단행동에 나선 건 정부의 금융감독체계 개편 때문이다. 정부는 금감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하고,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소원으로 분리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미 지난 15일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조직법, 금융위원회 설치 등에 관한 법률 등 정부 조직개편을 위한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당장에 민주당은 오는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부터 통과시킨다는 계획인데, 이를 일주일 앞둔 시점에 노조가 본격적인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노조는 최근 국민의힘 소속인 윤한홍 정무위원장을 만나 입장을 담은 서한을 전달한 데 이어 전날엔 국민의힘 소속 박수영 의원실과 정부 조직개편 관련 토론회를 열며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향후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된다고 해도 노조는 이러한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체계를 개편하려면 정부조직법뿐 아니라 금융위 설치법 등에 관한 개정법률안을 통과시켜야 하는데, 이는 정무위 소관으로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시 빨라야 내년 4월에나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금감원 직원들은 아직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중단시킬 시간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최후의 수단으로는 총파업까지 검토하고 있다. 실제 총파업을 하게 되면 1999년 금감원이 설립된 이후 최초 사례가 된다. 이밖에 여야 의원과의 면담, 아침 집회, 1인 시위 등을 지속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