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의 석방과 귀국 문제 협의를 최종 조율하기 위해 8일(현지시간) 미국에 도착했다.
9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조 장관은 이르면 이날(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을 만나 구금 한국인들의 석방과 귀국 협의를 매듭지을 예정이다.
앞서 한·미 당국은 구금된 한국인들을 '자진 출국' 형태로 귀국시키는 방향으로 실무적으로 합의했으나 미국 측의 관련 절차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오는 10일 전세기를 투입해 한국인 근로자들을 귀국시킬 계획이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10일(현지시간) 우리 전세기가 미국을 출발하는 것을 목표로 외교부 등 우리 정부와 관계 기업과 항공사 측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며 "모든 준비가 끝나고 출발 시점이 확정되는 대로 구체 계획을 추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 등과 협의를 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귀국하는 한국인 근로자들이 미국 재입국 제한 등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정하고 이번 사태의 재발 방지책도 논의할 예정이다.
또 미국에 이미 투자했거나 향후 투자할 한국 기업들이 필요한 인력을 원활하게 파견할 수 있도록 한국 국적자를 위한 전문직 비자 신설 등 방안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조 장관은 그간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막대한 투자를 했고 앞으로도 투자할 계획임을 강조하며 유사한 사태가 재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외교부는 이날 미국에서 한국인 무더기 구금 사태가 빚어지기 전까지는 기업인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취지의 비판이 나오자 "정상회담 등 계기를 포함한 다양한 외교 채널을 활용해 기업인 비자 애로 해소를 위해 적극 협의해 왔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각급 주요 인사 접촉 계기마다 한국 기업인이 겪는 비자 문제 해결 필요성을 제기해왔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대미 진출 우리 기업의 초기 공장 설비 가동, 현지 인력 교육 등을 위해 우리 전문 인력이 단기간 체류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논리를 중심으로 미 주요 인사를 대상으로 관심과 지지를 촉구했다"고 강조하면서,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상반기 동안 상·하원의원 면담 10회 등 총 52회에 달하는 아웃리치(대외접촉) 활동을 해왔다고 횟수까지 공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