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올해 3분기 우리나라의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 관세 정책이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수출 경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4일 ‘2025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3분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수출이 약 1670억 달러(약 231조원) 수준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737억 달러)보다 약 3.9% 적은 수준이다.
수출증감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종합해 산출하는 수출선행지수는 올해 3분기 127.8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철도·방위산업에서 대규모 중장기 수주가 발생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수은은 수출 경기 위축이 계속되면서 수출 둔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철도·방위산업 등은 수주에서 수출로 이어지는 시차가 상대적으로 길어 단기적으로 반영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것도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자동차·철강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반도체 중 D램 가격이 공급 부족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단가가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하반기 D램 가격 상승세가 탄력을 받으면 우리나라 수출액 규모가 전기 대비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은 관계자는 “미국 관세 부과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상반기에 나타났던 재고 선주문 효과도 줄어들면서 하반기 관세 영향이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미국과의 관세 재협상은 타결됐지만 향후 통상환경 변화에 따라 수출 감소 폭은 유동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2분기 한국의 수출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 직전 분기 대비 9.8% 늘어난 1752억 달러(약 242조원)로 집계됐다. 미국 관세,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주력 품목에서 수출이 감소했지만 반도체, 선박 등이 선전하면서 전체 수출액 증가를 견인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4일 ‘2025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3분기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수출이 약 1670억 달러(약 231조원) 수준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737억 달러)보다 약 3.9% 적은 수준이다.
수출증감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종합해 산출하는 수출선행지수는 올해 3분기 127.8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철도·방위산업에서 대규모 중장기 수주가 발생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수은은 수출 경기 위축이 계속되면서 수출 둔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철도·방위산업 등은 수주에서 수출로 이어지는 시차가 상대적으로 길어 단기적으로 반영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반도체 중 D램 가격이 공급 부족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단가가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하반기 D램 가격 상승세가 탄력을 받으면 우리나라 수출액 규모가 전기 대비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은 관계자는 “미국 관세 부과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상반기에 나타났던 재고 선주문 효과도 줄어들면서 하반기 관세 영향이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미국과의 관세 재협상은 타결됐지만 향후 통상환경 변화에 따라 수출 감소 폭은 유동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2분기 한국의 수출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 직전 분기 대비 9.8% 늘어난 1752억 달러(약 242조원)로 집계됐다. 미국 관세,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주력 품목에서 수출이 감소했지만 반도체, 선박 등이 선전하면서 전체 수출액 증가를 견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