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클리 경제 스포] 한·미·중 정상 연쇄 회담…3분기 성장률도 주목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이번 주에는 국내외 주목할 일정이 잇따라 예정돼 있다. 경주에서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한·중, 미·중 정상회담이 열리고, 한국은행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한다. 26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오는 29일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개막을 앞두고 두 번 2025.10.27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기준금리 결정 앞둔 한은…APEC 재무장관회의도 관심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결정 시점이 다가오는 가운데 '3연속 동결'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회원국 재무장관들이 인천에 집결하는 가운데 주요 경제정책들도 발표된다. 19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현재 2.50%인 기준 금리 조정 여부를 논의한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 2025.10.20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IMF 예상 韓성장률은?…9월 고용지표도 주목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이번 주에는 국내외 경기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들이 잇따라 발표된다. 12일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전 세계 주요국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이 함께 공개된다. IMF는 지난 7월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3.0%로, 내년 성장률을 3.1%로 제시했다. 다만 이번 보고서에서는 미국 관세정책 2025.10.13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소비자·기업 심리 살아났을까…13개월 연속 출생아 수 증가 기대 2차 민생 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종합시장에 추석 선물용 상자가 쌓여 있다.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소비자와 기업의 체감 경기가 상승 흐름을 이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이번 주에는 출생·사망 통계 등 주요 지표 발표도 예정돼 있어 주목된다. 21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24일 ‘9월 소비 2025.09.22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美 FOMC, 기준금리 인하 무게...추석 민생 대책도 공개 이번 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열리고, 정부의 ‘추석 민생안정 대책’도 발표될 예정이다. 연준은 18일(한국시간)까지 이틀간 FOMC 회의를 열어 현재 4.25∼4.50%인 정책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고용 지표 악화 등 미국 경제 성장 둔화를 고려해 연준이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에는 0.25%포인트 인하가 93.4%, 빅컷(0.50%포인트 인하)이 6.6%의 확률로 각각 반영되고 있다 2025.09.15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2% 소비자물가 이어질까…공정위원장 청문회 이목 집중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8월 소비자물가 지표가 공개를 앞둔 가운데 2% 안팎을 횡보하고 있는 물가 동향이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공정 당국 수장을 대상으로 한 국회의 인사청문회 결과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31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통계청은 내달 2일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한다. 최근 소비자물가는 2% 안팎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5월 소비자 물가 지수는 1년 전보다 2025.09.01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한은 금리 결정 주목…출산·소득통계도 발표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이번 주에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결정과 함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한다. 출산율과 가계 소득·지출 흐름, 실물경기 지표 등도 공개되면서 향후 정책 방향과 경기 판단의 근거가 될 전망이다. 24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29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현재 2.50%인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논의한다. 현재 2.5%인 기준금리를 두고 시장에 2025.08.25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7월 일자리 얼마나 늘었나…KDI·기재부, 韓성장률 조정폭 '주목'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이번 주에는 한국 경제의 일자리 상황과 수출·수입 물가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들이 발표된다. 정부와 국책연구기관의 경제 전망과 진단도 잇따라 공개될 예정이다. 10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는 12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KDI는 매년 5월과 11월 정기 경제 전망을 내놓고 2월과 8월 수정 전망치를 밝힌다. 지난 5월 KDI는 우리나라 국 2025.08.11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폭염에 농산물 가격 올랐나…소비자물가 발표 눈길 이번주에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된다. 폭염이 일찍 도래한 만큼 농산물 물가 변동에 눈길이 쏠린다. 3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통계청은 5일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앞서 6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2.2%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안팎에서 안정적인 흐름이지만, 먹거리 물가 안정이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유례없는 폭염과 폭우가 교차하면서 농작물 생육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수온 상승으로 수산물 가격도 불안하다. 식품 출고가격이 순차적으로 인상되면서 가공식품 물가도 들썩일 2025.08.04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韓실물경제 성적표 나온다…IMF 세계경제 성장률 발표 지난달 한국 실물경제의 흐름을 알아볼 수 있는 성적표가 이번 주 중에 발표된다. 또 저출생·고령화의 상황을 나타내는 통계와 올해 한국경제 성장 전망을 엿볼 수 있는 지표들도 공개된다. 27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오는 31일 '6월 국세수입 현황'을 발표한다. 지난 5월 기준 국세는 30조1000억원 걷혔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조7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1~5월 누적 세수는 172조3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1조3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세수진도율율은 최근 5년 평균(46.2%)을 하회하는 45.1%로 조사됐다 2025.07.28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2분기 역성장 피하나... 韓美 관세협상에도 쏠리는 눈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올해 2분기(4∼6월) 우리나라 경제 성적표가 이번 주 공개된다. 지난 1분기에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기저 효과와 소비 등 내수의 완만한 회복으로 역성장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출생아 수가 증가세를 이어갔을지 역시 관심사다. 20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24일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내놓는다. 1분기 GDP 성장률은 -0.2%로 전 분기 대비 2025.07.21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청문회 오르는 李 경제팀…취업자 향방도 '촉각'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가 잇따라 개최되는 '인사청문회 슈퍼위크'가 다가오는 가운데 주요 경제 부처 장관 후보자들의 청문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 취업 지표에도 관심이 쏠린다. 14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는 15일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를 시작으로 17일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 2025.07.14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한은 기준금리 동결하나...트럼프 입에 쏠리는 눈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이번 주에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이 예고돼 있다.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목전으로 다가오면서 이에 대한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6일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오는 10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그리고 올해 2월과 5월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25%포인 2025.07.07 08:07 -
[위클리 경제 스포] 美 관세협상 향방은…산업·물가지표도 관심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미국과의 '줄라이 패키지' 타결이 열흘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정부의 관세 협상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산업 동향과 물가 등 우리 경제 현 상황을 보여주는 실물 지표도 잇따라 발표되는 가운데 국세·국제수지도 주목할 만하다. 29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한미 관세조치 협의 관련 공청회를 개최한다. 2025.06.30 05:00 -
[위클리 경제 스포] 출생 증가 유지될까…민생경기 풍향계도 촉각 상향곡선을 그리던 출생아 수가 4월에도 증가세를 보일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또 민생경기 심리를 나타내는 주요 경제지표들이 연이어 공개될 예정이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4월 출생아 수 등이 담긴 '2025년 4월 인구동향'이 오는 25일 발표된다. 지난 3월 출생아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47(6.8%) 증가한 2만1041명으로 집계됐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9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4월에도 출생아 수가 늘어났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또 혼인 건수의 오름세도 이어질지 이목이 쏠린다. 3월 기준 혼인 건수 2025.06.23 0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