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안동시,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유치 시동

  •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저출생 및 고령화 대응 국회 세미나 개최

  •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과 국가 시니어·은퇴자 복합단지 조성 추진

경상북도 안동시 김형동 국회의원실은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과 ‘국가 시니어‧은퇴자 복합단지 조성’을 주제로 저출생‧고령화 대응 국회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 안동시, 김형동 국회의원실은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과 ‘국가 시니어‧은퇴자 복합단지 조성’을 주제로 저출생·고령화 대응 국회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와 안동시가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유치와 시니어은퇴자 공동체 복합단지 조성을 위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경상북도, 안동시, 김형동 국회의원실은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과 ‘국가 시니어·은퇴자 복합단지 조성’을 주제로 저출생·고령화 대응 국회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형동 국회의원, 권기창 안동시장, 엄태현 경북도 전쟁본부장, 최윤영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연구원,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박사 등 학계와 민간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저출생 대응을 위한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 고령화 대응을 위한 국가 시니어·은퇴자 공동체 복합단지 조성 주제 발표에 이어 정부, 지자체, 언론, 학계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토론을 이어 갔다.
 
저출생 대응 주제 발표에 나선 이윤진 건국대 연구원은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 구상 발표에서 “종합적인 인구정책 연구를 전담할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이 꼭 필요하다. 국가가 나서 인구 감소 현장인 지방에 저출생·고령화·인구 감소 등 인구 위기에 대응하는 종합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나아가 아시아 인구정책 연구 허브로 발전시켜 가야 한다. 다양한 인구정책 실험이 가능한 안동이 최적지”라고 제안했다.
 
고령화 대응 주제 발표에 나선 신은정 ㈜삼정 RSI 대표는 국가 시니어·은퇴자 복합단지 조성 구상 발표에서 “복합단지는 주거, 의료, 여가, 복지, 교육을 통합 제공하는 고령 친화 모델로 중산층 시니어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경제와 관광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특히 안동은 대학·문화·관광 자원을 연계한 대학 연계형 은퇴자 복합단지 모델로 구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과 재정 지원 △은퇴자 복합단지와 지역 관광·스마트 건강 관리 산업과 연계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지역 커뮤니티 모델 조성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가족·지역사회·국가 등이 돌봄 책임을 분담하는 ‘돌봄 다이아몬드’ 구조와 ‘세대 통합형 공동체 형성’ 등을 제안했다.
 
김형동 국회의원은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과 은퇴자 복합단지는 저출생과 초고령사회라는 국가적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전략적 과제”라며 “국회 차원에서 초당적으로 법·제도를 마련하고 예산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시는 정부, 국회, 경상북도와 함께 국가 인구 위기 대응 연구 기능을 총괄하는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을 추진하고, 시니어·은퇴자 공동체 복합단지를 조성해 대한민국 저출생 극복 및 초고령사회 대응의 선도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엄태현 경상북도 저출생과 전쟁본부장은 “경북도는 작년부터 저출생과 전쟁을 선포해 저출생 극복을 위한 선도적 정책 실험을 하고 있다”라며 “이번 세미나에서 제시된 다양한 정책을 중앙 정부에 건의하고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과 ‘국가 시니어·은퇴자 공동체 복합단지 조성’이 국가 사업으로 채택돼 국비 확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국회와 안동시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와 안동시는 지난 5월부터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 설립 기본구상 연구용역 및 국가 시니어·은퇴자 복합단지 조성 연구용역 두 과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신속히 마무리해 국회와 중앙 정부에 건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