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경매시장서 다세대 주택 '소화불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8-01 11: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서울·수도권 경매시장에서 다세대(연립 포함) 주택이 '소화불량'에 걸렸다. 물량은 쏟아지는데 낙찰가율과 입찰자 수는 줄어 채무자는 물론 금융기관의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1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올해 7월 서울·수도권 경매시장에 나온 다세대 주택은 2293건으로 지난 2006년 12월(2568건) 이후 최다치를 기록했다. 반면 낙찰가율은 2개월 연속 하락세인데다 입찰자 수도 상반기보다 감소했다. 매수세가 물량 증가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7월 서울·수도권 다세대 주택 낙찰가율은 71.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5월 74.3%로 연중 고점을 찍은 후 6월 72.9%로 내린 데 이어 2달 연속 하락한 것이다.

실제 경매에 참여한 입찰자 수도 줄었다. 7월 입찰자 수는 2406명으로 집계됐다. 6월보다는 소폭 늘었지만 상반기 입찰자 수가 3월 2818명, 4월 2648명, 5월 2836명 등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6월 취득세 감면 종료에 따라 감소한 양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채무자와 채권자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채무자는 빚을 제대로 갚지 못하고 채권자는 빌려준 돈을 모두 돌려받지 못하는 케이스가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역별로 보면 특히 다세대 주택 담보대출 비중이 큰 2금융권의 채권회수 난이도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7월 다세대 물건 2293건 중 경매신청 채권자가 2금융권인 물건은 전체의 65.1%인 1492건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1금융권에서 경매 신청한 다세대 주택 물건 수는 전체의 12.6%인 288건에 그쳤다.

부동산태인 정대홍 팀장은 "다세대 주택은 시세 상승에 따른 차익을 거의 기대할 수 없고 입지나 상품성 면에서 아파트보다 처지는 경우가 많아 매매가 쉽지 않다"며 "이 같은 상황이 고착화될 경우 채권자 비중이 높은 2금융권 역시 악성채무에 직면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팀장은 "올해 다세대 주택을 낙찰받으려는 입찰자들은 차후 재매각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물건을 선정해야 한다"며 "물건의 입지와 면적, 구조 등의 기본적인 현황을 파악하되 인근 지역의 실거래량과 낙찰사례가 많은 것을 고르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