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 마감] 서비스업에 불어닥친 관세 역품...3대 지수 하락 마감
    [뉴욕증시 마감] 서비스업에 불어닥친 관세 역품...3대 지수 하락 마감 미국 서비스업 업황이 관세 여파로 악화하면서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0포인트(0.14%) 내린 4만4111.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75포인트(0.49%) 떨어진 6299.19, 나스닥종합지수는 137.03포인트(0.65%) 하락한 2만916.55에 장을 마쳤다. 이날 증시 하락은 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서비스업 구매관 2025-08-06 08:29
  • 트럼프, 반도체 관세 다음 주쯤 발표 계획…의약품 관세 최대 250%까지 인상
    트럼프, 반도체 관세 "다음 주쯤" 발표 계획…의약품 관세 최대 250%까지 인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부과 계획이 이르면 다음 주께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동부시간 5일 오전 8시(한국시간 5일 오후 9시) 미국 CNBC 방송의 생방송 경제 프로그램 '스쿼크 박스(Squawk Box)'와 전화 인터뷰를 갖고 주요 경제 현안들에 대한 입장을 전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관세 정책과 관련해 "우리는 반도체와 칩에 대해서도 (관세를) 발표할 것으로, 이는 별개의 카테고리이다"라며 "우리는 미국에서 그것들을 만들기를 원하기 때문이다&qu 2025-08-05 22:14
  • 트럼프, 한국시간 5일 오후 9시 CNBC 생방송 출연…경제·고용·관세 등 입장 밝힐 전망
    트럼프, 한국시간 5일 오후 9시 CNBC 생방송 출연…경제·고용·관세 등 입장 밝힐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동부시간 5일 오전 8시(한국시간 5일 오후 9시) 미국 CNBC 방송의 생방송 경제 프로그램 '스쿼크 박스(Squawk Box)'에 출연할 예정이라고 CNBC가 4일 발표했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생방송 인터뷰를 통해 경제, 고용,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관세 및 이외 주요 현안들에 대해 밝힐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국 고용지표 충격과 그에 따른 노동통계국장 해임, 오는 7일 발효되는 상호관세 및 연준에 대한 금리 인하 요구 등 각종 경제 2025-08-05 10:33
  • [뉴욕증시 마감] 고용 충격에도 나스닥 2%↑...금리 인하 기대 반영
    [뉴욕증시 마감] 고용 충격에도 나스닥 2%↑...금리 인하 기대 반영 미국 뉴욕증시는 예상보다 부진한 고용지표 발표로 전일 급락했던 흐름을 딛고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85.06포인트(1.34%) 오른 4만4173.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1.93포인트(1.47%) 오른 6329.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3.45포인트(1.95%) 오른 2만1053.58에 각각 마감했다. 지난 1일 미국 노동 2025-08-05 08:19
  • 中, 서방 방산 기업 희토류 공급 막아…美 무기 수급 차질
    "中, 서방 방산 기업 희토류 공급 막아…美 무기 수급 차질"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다소 완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방 방산 기업들에 대한 희토류 공급은 여전히 막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희토류 대국인 중국의 수출 통제로 인해 탄환에서 제트기에 이르기까지 미군의 무기 수급이 차질을 빚고 있는 모습이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산 희토류 자석을 수입하는 한 서방 무역업체는 최근 중국 당국이 민수용 희토류 자석 수입 요청은 승인했지만 방산 및 우주항공 목적의 희토류 자석 수입 요청은 처리를 거절 및 지연시키 2025-08-04 14:32
  • 중·러, 동해에서 연합 해군훈련 개시…실탄 사격 등 실전 연습
    중·러, 동해에서 연합 해군훈련 개시…실탄 사격 등 실전 연습 중국과 러시아 해군이 동해에서 합동 해군훈련에 돌입했다. 양국은 '해상 연합–2025'라는 명칭으로 사흘간 진행되는 이번 훈련을 통해 대잠 작전, 공중·미사일 방어, 실전 사격 등 다종 전술을 함께 연습한다. 3일 중국 국방부 등에 따르면 중·러 해군 함정들은 이날 새벽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해역으로 출항했다. 훈련에는 중국의 미사일 구축함 샤오싱함과 우루무치함, 종합구조함 시후함을 비롯해 러시아의 대잠 구축함 트리부츠제독함, 호위함 레즈키함, 인명구조함 벨로우소프함 등 2025-08-03 20:18
  • 美소비자, 트럼프發 관세 역풍…세율 18%로 91년 만에 최고치
    美소비자, 트럼프發 관세 역풍…세율 18%로 91년 만에 최고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평균 유효관세율이 올해 초 2.5%에서 18.3%로 급등할 전망이다. 이는 1934년 이후 91년 만에 최고치이다. AP통신은 2일(현지시간) 예일대 예산연구실(TBL) 분석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해당 수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7월 31일까지 발표한 모든 관세 조치를 포함한 것으로, 오는 8월 7일부터 적용 예정인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를 포함한 전망치다. 예일대 TBL은 올해 들어 발표된 관세 정책만으로도 단기적으로 미국 내 물가가 1.8% 오를 2025-08-03 16:43
  • 통계 담당자 해고까지 美 고용지표 쇼크 일파만파…금리 인하냐 관세 정책 제동이냐
    '통계 담당자 해고까지' 美 고용지표 쇼크 일파만파…금리 인하냐 관세 정책 제동이냐 미국 고용지표 쇼크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 노동시장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는 신호가 뚜렷해진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고용 보고서를 낸 노동통계국(BLS) 국장을 해고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향해 금리 인하 압박을 거세게 몰아붙이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인 감세·관세·이민 억제 등 이른바 '트럼프노믹스'의 구조적 한계가 본격적으로 드러났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미 노동부는 지난 1일(현지시간) 발표한 7월 비농업 고용보고서에서 일 2025-08-03 15:46
  • 트럼프, 합의 못한 대만 관세 32%→20%로 인하...캐나다는 25%→35%
    트럼프, '합의 못한' 대만 관세 32%→20%로 인하...캐나다는 25%→3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협정을 맺지 않은 국가들에 예고한 대로 상호관세율을 부과했다. 아직 합의 내용이 공개되지 않은 대마에 대해서는 기존 32% 관세를 20%로 낮췄다. 캐나다에 대한 관세율은 무역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존 25%에서 35%로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한국 등 주요 교역국과 진행한 무역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기존 25%에서 15%로 낮아졌다. 일본(15%)을 비롯해 유럽연합(EU) 2025-08-01 10:56
  • 트럼프, 韓과 합의대로 상호관세 25%→15% 명시한 행정명령
    트럼프, 韓과 합의대로 상호관세 25%→15% 명시한 행정명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합의한 대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효일(8월1일)을 앞두고 31일(현지시간) 한국 등 주요 교역국과 진행한 무역 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행정명령 부속서에 명시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보면 한국은 15%로 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발표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다. 일본의 상호관세율도 무역 합의 내용을 반영해 15%로 낮 2025-08-01 08:42
  • [뉴욕증시 마감] 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 차익실현...다우 0.7%↓
    [뉴욕증시 마감] 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 차익실현...다우 0.7%↓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는 실적 호조로 강세를 보였으나 이게 되레 차익실현 욕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제약사에 의약품 가격을 낮추도록 압박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것도 지수를 끌어내렸다. 3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0.30포인트(0.74%) 떨어진 4만4130.98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51포인트(0.37%) 밀린 6339.3 2025-08-01 08:18
  • [종합] 美 연준,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 불구 금리 동결…관세 불확실성
    [종합] 美 연준,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 불구 금리 동결…"관세 불확실성"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계속된 금리 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발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지목하며 금리를 동결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은 29~30일 양일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미국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월 트럼프 2기 집권 이후 5회 연속 동결이다. 파월 의장은 금리 동결의 주된 이유로 트럼프발 관세에 따른 불확실성을 꼽았다. 그는 2025-07-31 16:06
  • 일본은행 기준금리 4회 연속 0.5% 동결...관세 영향 더 지켜봐야
    일본은행 기준금리 4회 연속 '0.5%' 동결..."관세 영향 더 지켜봐야"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31일 기준금리를 4회 연속 0.5%로 동결했다. 일본은행은 30~31일 개최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해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충분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세가 일본 경제와 물가 동향에 미치는 영향을 계속해서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것을 시작으 2025-07-31 13:44
  • [종합] 한미 협상 타결, 韓 상호관세·車관세 15%로 인하…미국에 488조원 투자
    [종합] 한미 협상 타결, 韓 상호관세·車관세 15%로 인하…미국에 488조원 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한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상호관세는 당초 25%에서 15%로 인하됐고, 자동차 관세 역시 15%로 조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한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 사실을 알리며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대통령인 내가 직접 선정한 투자 대상에 대해 총 3500억 달러(약 488조원)를 미국에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 2025-07-31 11:34
  • 美 상무 캄보디아·태국과 무역 협정 체결
    美 상무 "캄보디아·태국과 무역 협정 체결"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미국이 최근 국경 분쟁을 치른 태국, 캄보디아와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30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내내 태국과 캄보디아 간 충돌을 해결했다"며 "그는 무역 협상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는 나를 전화 상으로 초대했고, 나는 그가 캄보디아와 태국 문제를 처리하는 동안 토요일 내내 (대화를) 듣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월요일 무슨 일이 발생했나? 휴전을 발표 2025-07-31 11:14
  • 美 USTR 대표 트럼프, 교역국들과 협상서 급소 공략…한국에도 그렇게 해
    美 USTR 대표 "트럼프, 교역국들과 협상서 급소 공략…한국에도 그렇게 해" 한·미 양국이 30일(현지시간) 무역 협상을 마무리지은 가운데 미국 측 협상대표 중 한 명이었던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주요 교역국들과 협상에서 잇따라 급소를 공략했다며, 한국과의 협상에서도 그렇게 했다고 평가했다. 그리어 대표는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항상 그랬듯 미국에 있어 힘든 상대였다"며 "우리는 그들과 지난 기간 협정을 맺었지만, 우리의 대미 적자가 계속 확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2025-07-31 10:49
  • [뉴욕증시 마감] 美연준, 금리 5연속 동결에…혼조 마감
    [뉴욕증시 마감] 美연준, 금리 5연속 동결에…혼조 마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하면서 뉴욕증시가 약세로 마감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38% 내린 4만4461.2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0.12% 내린 6362.90으로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15% 오른 2만1129.67로 장을 마쳤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 2025-07-31 08:08
  • 美 연준, 트럼프 압박에도 금리 5연속 동결…위원 2명, 파월에 맞서 인하 주장
    美 연준, 트럼프 압박에도 금리 5연속 동결…위원 2명, 파월에 맞서 인하 주장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복된 금리 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5회 연속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차는 상단 기준 2.0%포인트(p) 수준을 유지하게 됐다. 연준은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에 대해 "최근 지표들은 상반기에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둔화했음을 시사한다"며 "(미국의) 실업률은 여전히 낮 2025-07-31 0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