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전략을 고수해 온 애플이 사상 처음으로 저가형 노트북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구글의 크롬북과 엔트리급 윈도우 PC 사용자층을 흡수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코드명 'J700'으로 알려진 이 보급형 맥북은 현재 내부 테스트와 초기 생산 단계에 있으며, 내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보급형 맥북은 학생·직장인·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계됐으며 웹 서핑·문서 작업·간단한 미디어 편집 등을 주로 하는 이용자층을 겨냥하고 있다고 복수의 소식통은 전했다. 또한 아이패드 구매를 고려하던 고객 가운데 ‘전통적인 노트북 경험’을 선호하는 수요층도 주요 타깃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이번 행보가 프리미엄 중심의 고수익 전략을 고수해온 애플의 전략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매체는 또 애플이 그동안 저가형 제품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해왔지만, 크롬북의 급성장과 윈도우 11 전환에 따른 사용자 불만 확산이 새로운 기회를 열었다고 분석했다.
저가형 맥북의 가격은 1000달러(약 145만원) 미만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이는 현재 999달러부터 시작하는 M4 맥북 에어보다 더 저렴한 가격대다. 이를 위해 아이폰용 프로세서와 보급형 LCD 디스플레이를 채택하며, 화면 크기는 기존 13.6인치 맥북 에어보다 다소 작게 설계된다.
특히 해당 아이폰 칩셋은 내부 테스트에서 과거 M1 칩보다도 뛰어난 성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스마트폰용 칩을 맥북에 탑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IT 전문매체 씨넷(CNET)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높은 관세, 잇따른 해고 등으로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진 상황에서 합리적인 가격대의 맥북 출시가 시기적·전략적으로 불가피하고 적절한 조치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애플은 2026년 대규모 맥 라인업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될 보급형 노트북 외에도 내년 초 출시 예정인 M5 칩 탑재 맥북 에어를 비롯해, M5 프로·M5 맥스 맥북 프로, M5·M5 프로 맥 미니, M5 맥스·M5 울트라 맥 스튜디오 등은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다.
또한 M6 칩과 아이폰 스타일의 OLED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차세대 맥북 프로가 2026년 말에서 2027년 초 사이 공개될 예정이며, 새로운 외장형 맥 디스플레이 2종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