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印尼 보건부, 니파 바이러스 경계 강화 지시 인도 남부 케랄라주에서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2명이 사망한 가운데 9월 14일(현지시간) 보호 장비를 착용한 보건 요원들이 밀접 접촉자를 격리 센터로 이동시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니파 바이러스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감염 시 치사율이 최고 75%에 달한다. (사진=케랄라AFP=연합뉴스) 인도네시아 보건부는 지난달 25일, 전국의 국경보건사무소 및 주・현・시의 보건국, 병원 등에 대해 치사율이 높은 니파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도록 지시했다.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내 감염사례는 2023-10-05 15:10
-
[NNA] 美 P&W, 싱가포르 MRO 시설 확장 미국의 프랫 & 휘트니는 싱가포르의 MRO 거점을 확장한다. (사진=P&W 제공) 미국의 항공기 엔진 제조사 프랫 & 휘트니(P&W)는 싱가포르의 정비・수리・분해점검(MRO) 거점을 확장하기로 했다. 차세대 항공기 엔진 ‘기어드 터보팬(GTF) 엔진’ 수요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며, 시설 규모를 4만 8000ft²(약 4460m²)로 현행보다 70% 확대한다. P&W는 싱가포르항공의 항공기 정비 자회사 SIA엔지니어링과 설립한 합작사 이글 서비시즈 아시아(ESA)를 통해 북부 셀레타 공항에 인접한 &lsquo 2023-10-05 14:35
-
[NNA] 미얀마 NLD 창당 35주년… "군 주도 선거 불인정" 국민민주연맹(NLD)의 상징 =3월 28일, 미얀마 양곤 (사진=NNA) 미얀마의 민주파 지도자 아웅산 수치(78) 전 국가고문의 국민민주연맹(NLD)이 지난달 27일, 창당 35주년을 맞이했다. 2021년 2월 군사 쿠데타 이후 미얀마 민주화는 퇴보하고 있으며, 수치 전 고문 등 당 간부들은 여전히 구속된 상태다. NLD 관계자는 이날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 부당하게 정권을 탈취한 군사정권이 계획하고 있는 부정선거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NLD는 성명을 통해 군정이 민주파를 배제한 가운데 계획중인 총선이 &ldqu 2023-10-05 13:59
-
[NNA] 캄보디아 무역, 8월도 부진… 수입 침체 영향 사진=게티이미지 캄보디아의 무역이 8월에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침체가 커 견조했던 수출로도 만회에 실패, 무역총액이 전년 동월 실적을 밑돌았다. 캄보디아의 무역총액은 올해 들어 역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관세소비세총국(GDCE)에 따르면, 8월의 총 교역액은 42억 7173만 달러(약 6364억 엔)로 전년 동월 대비 6.8% 감소했다. 국가・지역별로는 중국이 9.5% 증가한 18억 806만 달러, 미국이 20.4% 증가한 5억 7571만 달러를 기록, 상위 2개국 간 거래액은 전년을 웃돌았다. 일본과는 1억 5276만 달러로 11.6% 감소 2023-10-05 13:29
-
[NNA] 홍콩 주택가격지수, 4개월 연속 하락 사진=게티이미지 홍콩 정부는 8월 홍콩의 민간주택가격지수(속보치, 기준치 100=1999년)가 전월보다 1.4% 낮은 339.2를 기록했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4개월 연속 하락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1.3%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7.9% 하락했다. 면적별로 보면, ◇40㎡ 미만: 전월보다 1.3% 하락한 368.7 ◇40~69.9㎡: 1.5% 하락한 329.8 ◇70~99.9㎡: 1.4% 하락한 311.2 ◇100~159.9㎡: 1.4% 하락한 296.7. 160㎡ 이상의 물건은 거래건수가 20건 미만에 그쳤다. 8월 민간주택 임대료 지수는 185.4로 전월을 1.4% 웃돌았다. 7개월 2023-10-05 13:01
-
[NNA] 대만 8월 출경자 수, 9.2배인 118만명 사진=게티이미지 대만 교통부 관광서는 올해 8월 대만 출경자 수가 전년 동월의 약 9.2배인 연인원 118만 2468명에 달했다고 지난달 25일 발표했다. 21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월에 비해서는 4.3% 감소했다. 출경자 수를 목적지별로 살펴보면, 최다인 일본은 약 47.4배인 40만 3759명. 중국(약 10.5배인 20만 681명), 한국(약 18.9배인 9만 9127명), 태국(약 8.5배인 7만 8705명), 베트남(약 5.6배인 7만 6784명)이 그 뒤를 이었다. 아시아 전체는 약 12.9배인 108만 3486명이며, 미주는 약 47.9% 증가한 5만 2875명, 유럽은 약 2023-10-04 18:15
-
[NNA] 태국 보건부, 독감 환자수 급증… 18만명 이상 사진=게티이미지 태국 보건부는 연초부터 지난달 16일까지 독감 환자 수가 18만 5216명에 달하는 등 호흡기 질환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고 지난달 25일 발표했다. 철저한 마스크 착용과 감염자에 대해서는 자체적인 격리를 당부하고 있다. 보건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마스크 착용 의무를 폐지한 이후 특히 독감 환자 수가 급증했다. 9월 16일까지 독감에 의한 사망자 수는 4명. 당국은 호흡기 질환 증상을 호소하는 학생이 많을 경우 휴교 및 학급폐쇄를 검토하도록 교육당국에 요청했다. 2023-10-04 17:33
-
[NNA] 美 투자은행이 싱가포르에 지사 개설, 아태지역 거점육성 사진=잉글랜드&컴퍼니 홈페이지 미국 투자은행 잉글랜드&컴퍼니는 싱가포르에 지사를 개설했다. 동 투자은행이 해외에 거점을 설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독립계 투자은행인 잉글랜드&컴퍼니의 본사는 휴스턴에 위치해 있으며, 뉴욕과 샌디에고, 워싱턴 DC에서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주로 법인을 대상으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업확장을 위해 싱가포르에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신규 거점은 기업가 및 초부유층의 자산을 2023-10-04 17:02
-
[NNA] 필리핀 메가월드, 신축 아파트에 EV 충전시설 설치 사진=메가월드 페이스북 필리핀 부동산 개발사 메가월드는 메트로 마닐라 타기그시의 신흥개발구역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에 고층 아파트를 건설한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2032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메가월드가 메트로 마닐라에 개발하는 물건 중 최초로 전기차(EV) 충선설비도 설치한다. 메가월드의 복합지구 ‘업타운 보니파시오’(면적 15.4헥타르) 부지 내에 54층의 아파트 ‘업타운 모던’을 건설한다. 총 1000세대가 공급되며, 거실(최대 49㎡)과 3베드룸(139㎡)으로 구성된다. 판매수입은 약 290 2023-10-04 16:17
-
[NNA] 미얀마산 커피원두, 수출용 재고 고갈 사진=게티이미지 미얀마에서 생산되는 커피원두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는 미얀마산 커피원두가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으나, 이미 재고가 고갈돼 수출할 물량이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미얀마커피협회 관계자 등이 독립계 언론 미지마에 지난달 25일 밝혔다. 협회 등은 2022~23년에 수확한 원두의 75%를 수출물량으로 할당했으나, 이미 재고가 고갈됐다고 한다. 재배농가들은 미얀마산 커피원두의 해외시장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으나, 재고부족으로 그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 2023-10-04 15:52
-
[NNA] 캄보디아 주요 3공항 여객 서비스 요금 인상 사진=게티이미지 캄보디아 정부는 캄보디아 내 주요 3공항이 국제선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여객 서비스 요금을 5달러(약 744엔) 인상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요금이 적용되는 기간은 2028년 9월 1일까지 5년간. 각료평의회(내각에 해당)의 11일자 공지를 통해 발표했다. 여객 서비스 요금이 인상된 곳은 수도 프놈펜, 남부 시아누크빌, 북서부 시엠레아프의 공항. 신규 서비스 요금은 국제선을 이용하는 외국인 성인이 1인당 30달러, 12세 미만 유아가 18달러. 캄보디아인은 성인 23달러, 유아 15달러. 국내선 여객 서비스 2023-10-04 15:23
-
[NNA] 홍콩 8월 수출액 3.7% 감소… 감소폭 축소 사진=게티이미지 홍콩정부 통계처는 8월 홍콩의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한 3582억 9400만 HK달러(약 6조 8200억 엔)를 기록했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16개월 연속 역성장이었으나, 감소폭은 전월의 9.1%보다 5.4%포인트 밑도는 등 3개월 연속 축소되고 있다. 최대 수출대상 지역인 중국 본토에 대한 수출액은 1.5% 감소한 2056억 7900만 HK달러. 전월(15.2% 감소)보다도 감소폭이 크게 축소됐다. 국가・지역별 2위인 미국은 13.2% 감소한 229억 5900만 HK달러이며, 3위인 인도는 5.2% 감소한 139억 7300만 HK달러 2023-10-04 14:52
-
[NNA] 中 희토류 채굴 상한 14% 확대, 6년 연속 상향 사진=게티이미지 중국 공업정보부는 2023년 희토류 채굴 상한을 전년 대비 14.3% 확대된 24만톤으로 설정한다고 지난달 25일 밝혔다. 6년 연속 채굴 상한을 상향했다. 국내 공급을 늘려 전기차(EV)와 신재생 에너지 관련 설비・기기의 생산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공업정보부와 자연자원부는 이날, 2023년 하반기 채굴 상한을 12만톤으로 설정한다고 발표했다. 올해는 상반기와 하반기 합쳐 총 24만톤까지 희토류를 채굴할 수 있다. 하반기 채굴은 중국 내에서 희토류 생산을 허용받은 중국기업 4개사에 할당된다 2023-10-04 14:17
-
[NNA] 태국 당국, 日 해산물 "위험하지 않다" 발표 사진=게티이미지 태국 보건부 식품의약품국(FDA)은 일본의 해산물이 안전하다는 평가가 담긴 성명을 지난달 25일 발표했다. 일본이 8월 24일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해양방출을 개시한 이후, 시민들 간에 확산되고 있는 일본 해산물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FDA는 성명을 통해, 오염수 방출 개시 이후 일본에서 수입되고 있는 해산물에 대해 엄격한 안전 환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지금까지 국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물질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소비자들은 안심하고 일본의 해산물을 먹어도 된다고 밝혔 2023-10-04 13:46
-
[NNA] 싱가포르, 국제해운센터 발전지수 10년 연속 1위 사진=게티이미지 영국의 발틱해운거래소와 중국의 신화통신 산하 중국경제정보사가 발표한 ‘국제해운센터 발전지수 순위 2023’에서 싱가포르가 세계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순위 집계 이후 10년 연속 수위에 올랐다. 순위는 글로벌 주요 항만도시의 설비, 해운 서비스, 사업환경 등 3가지 항목에 대해 평가한 지수를 바탕으로 집계됐다. 43개 도시를 대상으로 조사됐다. 싱가포르는 100점 만점 중 95.32점을 획득, 전년보다 0.44점이 상승됐다. 항만 입지와 인프라, 세계적인 경제예측, 해운 서비 2023-10-04 13:08
-
[NNA] 미얀마 군부, 해외거주 국민에 외화로 납세 의무화 사진=게티이미지 미얀마 군사정부는 2023년 연방법 개정을 통해 이달 1일부터 해외에서 취업하는 국민들에 대해 외화로 소득세를 납부하도록 의무화했다. 미얀마 군부의 최고 의사결정기관인 국가통치평의회(SAC)는 지난달 12일, 2023년 연방 세법 개정안을 승인했다. 개정된 세법은 10월 1일부터 시행, 내년 3월 31일까지 적용된다. 개정된 세법은 22조. 소득세법 6조와 6조(a)항에 따라 공제액을 빼기 전의 소득액의 10%를 소득세로 부과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에 취업한 국민의 급여소득에 대한 과세율에 2023-10-04 12:22
-
[NNA] 나이키 제품, 2023년도도 베트남이 최대 생산국 사진=나이키 홈페이지 미국 스포츠용품 제조사 나이키에 따르면, 나이키 제품을 가장 많이 생산한 국가는 2023년도(2022년 6월~2023년 5월)에도 베트남이 차지했다고 밝혔다. 신발류의 경우 전체 나이키 생산량 중 베트남 생산량은 50%에 달했다. 신발류의 베트남 생산비율은 2020년도에 50%, 2021년도에 51%, 2022년도에 44%. 2022년도는 코로나 사태로 다소 부진했다고 한다. 2023년도 2위는 인도네시아로 나이키 신발류 생산량 중 27%를 생산했으며, 3위는 중국(18%). 5월 기준으로 나이키 신발류의 수탁제조 기업은 15개사이며, 1 2023-09-30 10:27
-
[NNA] 홍콩 8월 공항 여객수 400만명... 전년 동월의 8배 사진=게티이미지 홍콩공항관리국(AAHK)은 홍콩국제공항의 8월 여객수(속보치)가 연인원 399만 6000명이라고 24일 밝혔다. 전년 동월의 8.3배까지 확대됐다. 전월 대비로는 4.7% 증가했다. 하루 평균 여객수는 약 13만명에 달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의 약 66%까지 회복됐다. 동남아시아, 중국 본토, 일본 각 노선의 여객수가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화물수송량은 전년 동월 대비 8.5% 증가한 36만 7000톤. 특히 수출이 20.5% 증가했으며, 중동과 유럽, 북미의 무역화물이 크게 증가했다. 화물수송량은 전월 대비 1.7% 증가 2023-09-27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