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BM4, 속도의 SK냐 성능의 삼성이냐… 관건은 엔비디아 퀄 통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4 선점 레이스가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연이어 세계 최초 타이틀을 가져가고 있는 사이, 삼성전자는 고성능으로 승부를 걸고 있다. 두 회사 모두 엔비디아 퀄(품질) 테스트 통과와 실제 공급이라는 단계가 남은 만큼 비교 우위를 향한 노력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HBM4는 엔비디아가 내년 공개할 차세대 AI 가속기(GPU) '루빈(Rubin)'에 탑재될 예정이며, 이를 선점하는 업체가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2025-09-16 19:14 -
미·중 반도체 줄다리기 긴장 고조… 근심 커지는 K-반도체 미·중 간 반도체 주도권 싸움이 갈수록 심화하면서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의 피로감도 커지고 있다. 수시로 변하는 미국 정부의 반도체 정책 변화에 대응하고 기술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은 14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4차 고위급 무역회담을 열었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추가 회담이 이어지지만 합의에 이르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회담에 앞서 양국이 반도체 규제안을 상호 교환하는 등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졌다. 미국 상무 2025-09-16 18:46 -
머스크 "HBM이 정답은 아냐"...삼성, 테슬라 GDDR7 단독 공급 가능성↑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이어 테슬라에도 7세대 그래픽 D램(GDDR7)을 단독으로 공급할 가능성이 커졌다. 15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서 "미 텍사스의 삼성 반도체 공장은 AI5이 아니라 AI6을 생산할 예정"이라며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용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삼성전자가 HBM의 대체재격으로 생산하고 있는 GDDR7 탑재를 시사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AI6은 테슬라의 차세대 자율주행차량 등 2025-09-16 18:00 -
'1억 성과급' SK하이닉스, AI 면접 통해 하반기 신입 채용 '억대' 성과급으로 주목받는 SK하이닉스가 올해 하반기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2025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위한 서류 접수를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까지 진행한다. 모집 대상은 내년 1∼2월 입사가 가능한 4년제 학사 이상 졸업 예정자 및 기졸업자다. 근무지는 경기 이천·분당, 충북 청주, 서울이다. 모집 직무는 설계, 소자, 연구개발(R&D) 공정, 양산 기술 등이며 채용 규모는 세 자릿수로 알려졌다. 이번 인력 채용에서 눈길을 끄는 점은 인공지능( 2025-09-16 09:02 -
삼성전자, One UI 8 공식 버전 업데이트 시작… S25부터 순차 적용 삼성전자가 One UI 8 업데이트를 15일부터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고도화된 멀티모달 기능과 다양한 기기에 최적화된 UX 및 개인 맞춤형 기능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16일 삼성전자는 One UI 8 업데이트는 갤럭시 S25 시리즈를 시작으로 지원 대상 기기를 연내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One UI 8은 사용자의 일상에 더욱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제안을 제공하며, 이러한 개인화된 AI 경험을 강력한 보안 기술로 보호한다. One UI 7에 처음 적용된 '나우 바(Now Bar)'에서 2025-09-16 08:33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5' 개최 삼성전자가 15~16일 양 일간 '삼성 AI 포럼 2025'를 개최한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삼성 AI 포럼'은 매년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이다. 이번 포럼에는 △딥러닝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Agent) 연구의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Joseph Gonzalez) UC 버클리 교수 등 글로벌 AI 전문가들이 기조 강연에 나선다. 전영현 삼 2025-09-15 10:35 -
LG전자, 가성비 무선이어폰 '엑스붐 버즈' 라인업 확대 LG전자가 무선이어폰 신제품 '엑스붐 버즈 플러스(xboom Buds Plus)'와 '엑스붐 버즈 라이트(xboom Buds Lite)'를 출시하며,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무선이어폰 구매·선택 가이드'에서 가성비 우수제품으로 선정된 엑스붐 버즈의 라인업을 대폭 강화한다. LG전자는 고객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과 가격을 세분화해 △10만원대 가격에 프리미엄 성능을 갖춰 최적 밸런스 가성비 이어폰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엑스붐 버즈 △가성비는 유지하면서 프리미엄 2025-09-15 10:00 -
한국엡손, 무한잉크 프린터 '에코탱크' 3종 선봬 한국엡손이 정품무한 잉크 프린터 최초 양면 스캔·복사 기능을 탑재한 '에코탱크 프린터' 3종을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신제품 △L6370 △L6390 △L6391 모델은 흑백 기준 분당 최대 18매, 컬러 기준 분당 9매의 고속출력이 가능하다. 전작 대비 출력 속도는 1.2배, 내구성은 2배 강화됐다. 개선된 대용량 잉크탱크 시스템으로 출력 비용 또한 크게 줄였다. 출력 품질도 뛰어나 선명하고 번짐 없는 출력을 지원한다. L6370 모델이 버튼식 인터페이스의 출력·복사·스캔을 지원하는 양 2025-09-15 09:31 -
美 관세·비자 변수에 수출전략 고심하는 韓기업들··· "불확실성 최고조"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를 계기로 한국 기업들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배터리와 반도체 등 한국 기업들의 주요 사업 대부분이 미국 기업들과 소통이 필요한데, 한국 인력들의 '비자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향후 사업 불확실성이 커져서다. 이들은 당장 비자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면서도 투자 다변화와 현지 고용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를 비롯해 삼성전자, 삼성SDI, SK하이닉스 등 대규모 2025-09-14 18:00 -
삼성디스플레이, 국내 대학 대상 혁신 기술 공개 모집… 연구비 최대 8억 지원 삼성디스플레이는 내달 17일까지 국내 대학 대상으로 혁신 기술 아이디어를 공개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모집 분야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및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혁신 기술로 지정과제와 자율과제로 나눠 모집한다. 지정과제는 마이크로·나노 LED(발광다이오드) 고속 전사기술개발, 폴더블 강건 반사방지 필름 개발 등 7개 분야다. 자율과제의 경우 폴더블, 스트레처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기술에 대해 자유로운 연구 과제 제안이 가능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공모에서 최대 10개 과제를 선정해 2025-09-14 10:14 -
퓨리오사, 오픈AI코리아 개소식서 초거대 언어모델 시연 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는 오픈AI코리아 개소식 행사에서 자사 반도체를 활용한 대규모언어모델(LLM) 시연 행사를 진행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인 12일 퓨리오사AI는 국내 AI업계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오픈AI코리아 개소식에서 AI 인프라 기업 중에선 유일하게 참석했다. 퓨리오사AI는 RNGD 칩 단 두 장만으로 1200억 매개변수(120B) 모델을 안정적으로 실행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이번 행사에서 퓨리오사AI는 2세대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 두 장만으로 오픈AI의 LLM 'GPT-OSS 120B& 2025-09-13 09:21 -
로보락, 10분기 연속 글로벌 로봇청소기 시장 1위 기록 글로벌 스마트 홈 기업 로보락(Roborock)이 2025년 2분기 전 세계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점유율 21.8%로 1위를 차지하며, 10분기 연속 글로벌 1위를 이어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전 세계 분기별 스마트홈 기기 시장 추적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로봇청소기 출하량은 617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로보락은 134만대를 출하했다. 로보락은 한국, 북유럽, 독일, 터키 등 핵심적인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로봇청소 2025-09-12 09:53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로 기술 리더십 재확인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용 메모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4 개발을 완료하면서 첨단공정 선두 자리를 재확인했다. 12일 SK하이닉스는 HBM4 개발에 성공했으며, 세계 최초로 HBM4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부가가치, 고성능 제품으로서 AI 칩의 핵심 부품이다. AI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성능 향상과 데이터 처리량 증가로 더 빠른 시스템 속도를 구현하기 위한 H 2025-09-12 09:50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 완료하고 양산 체제 구축 SK하이닉스가 초고성능 AI용 메모리 신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 HBM4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양산 체제를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SK하이닉스는 "새로운 AI 시대를 견인하게 될 HBM4 개발에 성공하고 이 기술적 성과를 기반으로 세계 최초의 HBM4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며 "이를 통해 당사의 AI 메모리 기술 리더십을 글로벌 시장에서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혔다. 개발을 이끈 SK하이닉스 조주환 부사장(HBM개발 담당)은 "HBM4 개발 완료는 업계에 새로운 이정표 2025-09-12 08:38 -
아이폰17 시리즈 흥행 여부에 韓 부품사 희비 엇갈린다 애플이 출시한 신작 아이폰17 시리즈의 성공 여부에 한국 부품사들의 두 눈이 집중되고 있다. 아이폰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등을 공급하는 한국 기업들은 신제품이 많이 팔릴 수록 동반 성장 수혜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아이폰17 시리즈와 아이폰 에어, 애플워치11 등 신제품을 글로벌 출시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아이폰17 시리즈는 4800만 화소의 후면 렌즈를 탑재해 카메라 성능을 크게 끌어올렸다. 특히 아이폰17 에어는 두께 5.6㎜, 무게 165g으로 기존 2025-09-11 18:00 -
삼성 비스포크 AI 가전, 英 현지 스튜디오서 요리 혁신 이끈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프리미엄 백화점 '존 루이스(John Lewis)' 내 제이미 올리버 키친 스튜디오에 기자들을 초청해 비스포크 AI 주방가전 체험 행사를 가졌다. 1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제이미 올리버 키친 스튜디오는 영국 유명 셰프와의 협업을 통해 지난 5월 오픈했다. 2016년에 첫 개장한 키친 스튜디오는 현재 오프라인으로 런던 이즐링턴(Islington)과 옥스포드 스트리트 두 곳에서 운영 중이고, 온라인 강의도 운영하고 있다. 이날 행사를 진행한 현지 셰프는 삼성전자의 인덕션 2025-09-11 11:00 -
SK하이닉스, 고성능 모바일 낸드 솔루션 공급 개시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양산한 모바일용 고성능 낸드 솔루션 제품인 'ZUFS 4.1'을 고객사에 공급했다고 11일 밝혔다. ZUFS(Zoned UFS)는 데이터를 용도와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공간(Zone)에 저장하는 존 스토리지(Zoned Storage) 기술을 고속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인 UFS에 적용한 제품이다. SK하이닉스는 고객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력 효율성을 크게 높인 4.1 버전을 개발했고, 지난 6월 인증 절차를 마무리한 뒤 7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착수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2025-09-11 08:49 -
이주형 사업부장 "삼성 OLED, 미래 모빌리티 핵심 플랫폼" "삼성 OLED는 자율 주행하는 미래 모빌리티와 사람을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10일(현지시간) 'IAA 모빌리티 2025(이하 IAA 2025)'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가해 이 같이 강조했다. 9일~14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2025'는 세계 3대 모터쇼 중 하나다. 이날 IAA 메인 무대에서 '빠른 혁신: 시장 요구에 맞춘 진화(Innovation at speed: evolving to meet the market)'를 주제로 열린 컨퍼런스에 이 부사장 2025-09-11 0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