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드만·모건스탠리, 글로벌 증시 10~20% 조정 전망…"아시아는 희망" 연일 오름세를 구가하던 글로벌 증시의 상승 동력이 한풀 꺾인 가운데 미국 주요 투자은행들의 수장들이 잇따라 글로벌 증시 조정 가능성을 예고했다. 다만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증시는 앞으로 글로벌 증시의 희망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4일(현지시간) CNBC,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홍콩에서 열린 '글로벌 금융 리더 인베스트먼트 서밋' 행사에 참석해 "글로벌 증시가 앞으로 12~24개월 동안 10~20%가량 하락할 것 같다"며 "시 2025-11-05 10:02 -
[뉴욕증시 마감] 'AI 버블' 경계론에 하락…나스닥 2%↓ 최근 상승장을 주도하던 인공지능(AI) 관련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이면서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1.44포인트(0.53%) 내린 4만7085.2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80.42포인트(1.17%) 떨어진 6771.5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486.09포인트(2.04%) 내린 2만3348.64로 각각 마감했다. AI 기반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인 팔란티어는 전날 월가 전망을 웃도는 호실적을 내고 향후 실적 전망까지 상향 2025-11-05 08:27 -
[뉴욕증시 마감] AI 낙관론에 기술주 강세…아마존 4%↑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낙관론 속에 기술주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6.19포인트(0.48%) 하락한 4만7336.68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1.77포인트(0.17%) 오른 6851.97, 나스닥지수는 109.77포인트(0.46%) 상승한 2만3834.72에 마감했다. 이날 시장을 견인한 종목은 아마존과 엔비디아였다. 아마존은 오픈AI와 380억달러(약 54조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2025-11-04 08:16 -
'투자의 달인' 버핏, 현금 546조원 쌓았다...사상 최고치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 회장이 이끄는 투자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금 보유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시간) 버크셔 해서웨이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연례 주주총회를 앞둔 가운데 3분기 말 현금보유액이 3817억 달러(약 546조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회사 역사상 최대 규모다. 버핏 회장은 기업의 내재가치에 기반해 장기 보유하는 '가치투자'의 대가로 꼽힌다. 이번 대규모 현금 보유를 두고 일각에서는 "버핏 회장이 현재 주식시장이 고평가됐다고 2025-11-02 17:33 -
[종합] G7, 中 희토류 대응 위해 '핵심 광물 동맹' 맞손...'역부족' 비판도 미·중 정상회담에서 희토류 갈등의 불씨를 일단 유예한 가운데 주요 7개국(G7)이 '핵심 광물 동맹'을 공식 출범시키며 차후 대비에 나섰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G7 에너지 장관회의에서 캐나다·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미국 등 7개국은 핵심 광물 생산 동맹을 체결하고 이행 계획을 공개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6월 G7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핵심 광물 행동 계획'의 2025-11-02 16:04 -
美재무 "미중 무역협상 내주 서명…틱톡 매각도 마무리"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마무리됐으며 다음주에 서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미중 정상회담(한국시간 30일) 개최 이후 30일(미국 현지시간) 방송된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의 협상 내용이 어젯밤 마무리됐다"며 "이르면 다음주에 양측이 서명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나는 우리가 말레이시아에서 도달한 2025-10-31 08:43 -
[뉴욕증시 마감] 불안정한 美中 휴전·빅테크 실적 실망에 하락...메타 11%↓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하락세로 마감했다. 미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일정 부분 합의를 이뤘지만, 불안전한 휴전이라는 평가가 이어지면서 투자 심리를 압박했다. 빅테크 중 메타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 3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9.88포인트(0.23%) 밀린 47,522.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8.25포인트(0.99%) 떨어진 6,822.34, 나스닥종합지수는 377.33포인트(1.57%) 떨어진 23,581.1 2025-10-31 08:21 -
일본은행, 기준금리 0.5%로 6회 연속 동결…美 관세 영향 고려 일본 중앙은행(BOJ)이 30일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5% 정도'로 동결했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이날까지 이틀간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현행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BOJ는 지난 1월 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인상한 이후 이번까지 6회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번 회의에서도 9월 중순 회의와 마찬가지로 정책위원 9명 중 다카타 하지메 심의위원과 다무라 나오키 심의위원이 금리를 0.75%로 인상해야 한다고 제안 2025-10-30 15:58 -
"美,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변함 없는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유예 및 미국의 펜타닐 관세 인하 등을 골자로 한 무역 합의를 이끌어 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의 대중국 수출통제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는 평가가 나왔다. CNN 등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중 정상회담 후 미국으로 향하는 전용기 내에서 취재진에게 "우리는 반도체 문제를 논의했다"며 "그들은 엔비디아 및 다른 기업들과 반도체를 공급받는 것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2025-10-30 15:36 -
[뉴욕증시 마감] 파월의 매파적 발언에 혼조...엔비디아 5조달러 돌파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0.25%포인트(p) 인하에도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혼조 마감했다. 다만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기대감에 힘입어 시총 5조 달러(약 7,125조 원)를 돌파하며 기술주 상승을 견인했다. 2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37포인트(0.16%) 내린 4만7632.0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30포인트(0.00%) 밀린 6890.59, 나스닥종합지수는 130.98포인트(0.55%) 2025-10-30 08:16 -
[종합] 美연준, 2연속 0.25% 인하...12월에 양적긴축 종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9일(현지시간) 두 달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하며, 오는 12월부터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을 종료하기로 했다. 워싱턴포스트(WP)와 CNBC 등에 따르면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4.00~4.25%에서 3.75~4.00%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두 번째 인하로, 고용 부진과 경기 둔화를 반영한 결정이다. 연준은 FOMC 발표문에서 "올해 들어 고용 증가세는 둔화됐으며, 실업률은 다소 상승했지만 8월까지 2025-10-30 07:58 -
美, 日에 "언제적 아베노믹스냐"…엔저 속 日 금리인상 압박 커진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일본의 엔화 약세(엔저) 현상을 공개적으로 지적하며 사실상 일본은행(BOJ)에 기준금리 인상을 요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의 저금리 정책을 ‘불공정 무역’의 원인으로 보고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다카이치 사나에 내각 출범 후 처음 열리는 일본은행의 금융정책결정회의가 시험대에 올랐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지난 27일 도쿄에서 열린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가타야마 사쓰키 일본 재무상에게 “건전한 2025-10-29 13:49 -
[뉴욕증시 마감] 뉴욕증시 사상 최고치...엔비디아, 'AI 거품론' 일축에 시총 5조달러 눈앞 뉴욕증시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수요가 강력하다며 'AI 거품론'을 일축하자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주가가 5% 급등하며 시가총액 5조 달러 돌파를 눈앞에 뒀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도 각각 사상 최대 시총을 기록했다. 2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1.78포인트(0.34%) 오른 4만7706.3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73포인트(0.23%) 상승한 6890.89, 나스닥종합지수는 190.04포인트(0. 2025-10-29 08:18 -
[뉴욕증시 마감] 美·中 정상회담 낙관론에 뉴욕증시 '역대 최고치'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 낙관론이 확산되며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며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2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포인트(0.71%) 오른 4만7544.59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3.47포인트(1.23%) 뛴 6875.16, 나스닥종합지수는 432.59포인트(1.86%) 급등한 2만3637.46에 장을 마쳤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대표단 2025-10-28 08:22 -
'관세 반대' 광고에...트럼프 "캐나다와 무역협상 즉각 종료" 선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앞세운 자신의 통상정책에 반대하는 내용이 담긴 캐나다 TV 광고를 문제 삼으며 캐나다와 무역협상을 즉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캐나다가 로널드 레이건(미국 전 대통령)이 관세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하는 모습이 담긴 광고, 즉 거짓 광고를 기만적으로 사용했다고 로널드 레이건 재단이 방금 발표했다"며 캐나다와의 모든 협상을 즉각적으로 종료한다고 말했다. 캐나다의 광고에는 외국 제품에 2025-10-24 14:29 -
美, 러시아산 원유 제재 강화에...인도·중국 수입 중단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의 전쟁 자금줄을 차단하기 위해 러시아 에너지 부문에 대한 추가 제재를 단행하면서 인도와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 정부가 미국의 발표 이후 관련 기업들에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줄이도록 비공개로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도 국영 석유회사 등에 해상을 통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인도에서 러시아산 원유를 가장 많이 구매해온 민간 기업 2025-10-24 10:06 -
[뉴욕증시 마감] 트럼프-시진핑 회담 공식화에 3대지수 강세...테슬라 2.3%↑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백악관이 다음주 미·중 정상회담이 열린다고 확정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된 영향이다. 2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4.20포인트(0.31%) 오른 4만6734.6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9.04포인트(0.58%) 뛴 6738.44, 나스닥종합지수는 201.40포인트(0.89%) 상승한 2만2941.80에 장을 마쳤다. 종목별로 보면 테슬라는 3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고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2025-10-24 08:15 -
[뉴욕증시 마감] 미·중 무역긴장에 하락…넷플 10%↓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서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34.33포인트(0.71%) 내린 4만6590.4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5.95포인트(0.53%) 떨어진 6699.40을, 나스닥지수는 213.27포인트(0.93%) 하락한 2만2740.40에 마감했다. 시장 불안 심리는 미국 정부의 대(對)중국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 검토 소식으로 확대됐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백악관이 미국 소프트 2025-10-23 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