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오미 기적창조, 화웨이 존중" 中기업에 연일 찬사 보낸 젠슨 황 텐센트, 넷이즈, 알리바바, 샤오미, 미호요…중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극찬한 중국 기업들이 화제다. 17일 로이터통신과 중국 매체 봉황망 등에 따르면 황 CEO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개막식에 연사로 등장해 “딥시크와 알리바바, 텐센트, 미니맥스, 바이두의 어니봇 같은 AI 모델들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날 연설에서 그가 거론한 기업은 텐센트, 넷이즈, 미호요, 게임사이언스, 바이트댄스, 딥시크, 알리 2025-07-17 17:19
-
"4분기 성장률 4% 밑으로" 글로벌IB, 中경제 전망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올 한해 중국 실질 국내총생산(GDP)성장률 전망치를 높였지만, 4분기 성장률이 4% 미만까지 떨어질 수 있는 등 하반기 경제 전망은 여전히 비관적이다. 2분기 중국 경제가 5.2% 성장한 것은 수출 호조가 디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하락)을 가렸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최근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4.5%에서 4.8%로 올려 잡았다. 2분기 GDP가 5.2% 성장률을 기록하며 선방한 덕분이다. 모건스탠리는 " 미중 관세전쟁 휴전에 따른 수출 선행효과, 2025-07-17 11:14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7일) 7.1461위안...가치 0.09% 상승 17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65위안 내린 7.146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9%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20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0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953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83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17 10:19
-
'전기차는 우리가 1위' 글로벌 공급망 장악 나선 中, 배터리·리튬 기술도 수출통제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에 이어 관련 기술까지 수출 통제 대상에 추가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 닝더스다이(CATL)를 내세워 이미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중국이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을 완전히 틀어쥐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은 미국을 상대로 특정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 우위를 더욱 공고히 하려고 하고 있다면서 "최신 목표는 전기차 배터리"라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이날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 2025-07-16 14:46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6일) 7.1526위안...가치 0.04% 하락 16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8위안 올린 7.152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4%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15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134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948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3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16 10:20
-
中 공급망박람회 참석하는 젠슨 황 "美, H20칩 中 판매 승인"(종합) 국제공급망박람회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수출 허가를 얻어 중국 전용 칩 H20에 대해 중국 판매를 재개할 것이라고 15일 중국 현지 매체와 인터뷰하면서 밝혔다. 황 CEO는 이날 중국 국영중앙(CC)TV 등과 인터뷰하면서 "미국 정부가 우리의 수출 허가를 승인했고, 이제 제품을 출하할 수 있게 됐다"며 "우리는 중국 시장에 H20 판매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조속히 H20를 인도하기를 매우 고대하고 있고,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2025-07-15 15:55
-
中, 2분기 5.2% 성장률 달성...관세전쟁 재점화 대비 부양책 '속도조절' 중국 경제가 올해 2분기 수출 호조세와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보다 높은 5.2% 성장률을 달성했다. 다만 하반기 미중 관세전쟁이 재점화할 수 있는 데다가,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등 경기 회복세가 여전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며 하반기 추가 부양책도 예고되고 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 앞서 1분기 성장률(5.4%)보다 둔화했지만, 앞서 로이터, 블룸버그 예상치(5.2%)를 웃도는 수준이다. 올 초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한 '5 2025-07-15 11:49
-
젠슨 황 "美, H20 수출 허가…중국에 판매 시작할 것" 국제공급망박람회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이 엔비디아에 중국 시장용 칩 H20 수출을 허가했다며 곧 중국에 H20 판매를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15일 중국 관영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우리의 수출 허가를 승인해 주었고, 이제 제품을 출하할 수 있게 됐다"며 "우리는 중국 시장에 H20 판매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조속히 H20를 인도하기를 매우 고대하고 있고, 이를 매우 기쁘게 생각한 2025-07-15 11:41
-
[1보] 중국 2분기 GDP 성장률 5.2%...연간 목표 달성 청신호 중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 ‘5% 안팎’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1분기 성장률 5.4%보다는 둔화했으나 시장 전망치(블룸버그 집계) 5.1%는 웃돌았다. 이로써 상반기 GDP 성장률은 5.3%를 기록하며 연간 성장률 목표 '5% 안팎'을 뛰어넘었다. 같은 날 발표된 6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해 전망치(5.5% 증가)와 전달치(6.4% 증가)에 모두 미치지 못했다. 1~6월 고정자산투자 2025-07-15 11:15
-
[속보] 중국 2분기 GDP 성장률 5.2%...전망치(5.1%) 상회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1분기 성장률 5.4%보다는 둔화했으나 시장 전망치(블룸버그 집계) 5.1%는 웃돌았다. 2025-07-15 11:01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5일) 7.1498위안...가치 0.01% 하락 1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7위안 올린 7.149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53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6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21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98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15 10:18
-
'32% 관세 폭탄' 대만, 對美 협상 목표는 '25%' 韓日보다 낮게 미국으로부터 32%의 ‘폭탄 관세’를 통보받았던 대만이 한국과 일본보다 낮은 관세율을 목표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대만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대만 정부는 이를 위해 미국 셰일가스 생산 자산을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은 대만 당국이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에 부과하기로 한 32% 관세를 한국과 일본이 통보받은 25%보다 낮은 20%나 15% 이하로 낮추기 위해 미국 측과 협상 중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소 2025-07-14 17:57
-
미·중 관세 휴전에...中 6월 희토류 수출 16년 만에 최고치 6월 중국의 희토류 수출이 2009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4일 발표된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했다. 해관총서에 따르면 이 기간 희토류 금속·광물 수출량은 7742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60% 증가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에 대한 보복 조치로 디스프로슘·테르븀 등 희토류 원소 7종에 대한 수출 통제 시행에 들어갔다. 이 희토류는 자동차를 비롯해 스마트폰, 제트전투기 등 첨단 제품 생산에 필수적으로 2025-07-14 16:50
-
反부패·디플레 심화에...길거리 음식 팔아 생존하는 中5성급 호텔들 최근 중국 5성급 호텔들이 '길거리 음식 판매'에 나섰다. 중국내 내수 부진과 디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하락)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공직사회에 대한 기강 잡기가 본격화하면서 고급 소비가 직격탄을 입은 가운데서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장쑤성 창저우의 5성급 호텔인 중우호텔 앞에서는 길거리에 매대를 설치하고 매일 호텔 주방장이 직접 만든 오리고기(48위안), 주꾸미 무침(58위안), 돼지고기 미트볼(58위안), 소고기 수육(58위안), 볶음밥(28위안) 등 2025-07-14 16:42
-
"무역전쟁 휴전에..." 中 6월 수출 호조세, 수입도 올해 첫 플러스 중국의 지난달 수출이 미·중 관세전쟁 휴전 여파로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 2분기에도 중국이 5%대 경제성장률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4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는 6월 수출액이 달러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증가한 3251억8000만 달러(약 448조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달 증가율(4.8%)은 물론 로이터 예상치(5%)도 훌쩍 웃돈 것이다. 수입은 같은 기간 1.1% 증가한 2104억1000만 달러(약 290조원)로, 로이터 예상치(1.3%)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올 들어 처 2025-07-14 12:54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4일) 7.1491위안...가치 0.02% 하락 1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6위안 올린 7.149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610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659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66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07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14 10: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1일) 7.1475위안...가치 0.05% 상승 1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5위안 내린 7.147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5%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69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98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14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1.66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11 10:18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0일) 7.1510위안...가치 0.04% 상승 10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1위안 내린 7.1510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4%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010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904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35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1.40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10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