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급 고환율 시대..원재료 60% 급등 "내년 사업계획, 1500원 시대 대응"
내년 사업계획을 준비하던 기업들에 '고환율'과 '대미 투자'가 최대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재료 조달 비용이 1년 만에 60% 안팎 오르고, 트럼프 관세 청구서인 대미 투자 확대 부담도 가중되고 있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계는 '환율 1500원 돌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내년도 경영 전략을 수립 중이다. 한 철강사 구매팀 임원은 "원재료 50~9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환율 예측을 잘못하면 사업계획이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1년 전만 해도 환율 1350~1400원을 상단으로 잡았는데 올해는 상단을 1500원까지 열어 놓고 3가지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1500원을 위협하는 환율은 삼성전자·현대차·SK·포스코·한화·대한항공 등 내년 미국 투자 확대를 앞두고 있는 기업들 입장에서 엄청난 부담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미국 텍사스주와 인디애나주에 파운드리와 인공지능(AI) 메모리 후공정을 위한 생산 거점을, 현대차그룹은 미국 조지아주와 루이지애나주에 전기차 공장 증설과 제철소 건설 투자 계획을 갖고 있다. 한화도 펜실베이니아주 한화필리조선소에, 대한항공은 보잉항공기 103대 구매에 천문학적인 달러를 쏟아부을 예정이다.
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