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韓 분산형 UHD 서비스 배포기술, ITU 표준으로 채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명섭 기자
입력 2018-11-01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콘텐츠 사업자 서버, 네트워크 비용 획기적 절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10월 22일부터 3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T SG11/WP2(신호방식분야) 국제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개발한 분산형 콘텐츠 배포 방식 권고안 2건이 국제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1일 밝혔다.[아주경제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10월 22일부터 3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T SG11/WP2(신호방식분야) 국제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개발한 분산형 콘텐츠 배포 방식 권고안 2건이 국제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채택된 표준은 콘텐츠 전송망에 관리형 P2P 통신방식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신호 요구사항(X.609.6)과 단말 간 데이터 교환 신호방식(X.609.7)을 정의한 것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2016년에 최초 제안해 약 2년 간의 작업과 논의를 통해 이번 회의에서 최종 승인됐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번 표준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분산형으로 전환하면,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및 네트워크 비용 등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동시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전송능력 향상과 비용 절감의 효과가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 기술이 반영돼 채택된 것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주문형비디오(VoD)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에서 국내기술의 적용이 확대돼 해외 거대 기업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 대표단은 분산형 데이터 실시간 배포 기술 등 3건의 신규 국제표준 개발과제를 제안하고 각 과제의 연구 책임자 직을 확보해 관련 분야의 표준화 주도권을 유지‧강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정삼영 국립전파연구원 국제협력팀장은 “콘텐츠 사업자의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고, 4K/8K 이상의 초고화질(UHD) 서비스 시장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본부장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분산 배포를 위한 표준 개발 성과에 이어, 향후 표준 과제로 채택된 분산형 데이터 스트리밍 기술은 기존 데이터 제공 방식(오픈 API)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사업자의 장비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 지속적인 세부 프로토콜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