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印 올해 입주 세대 수, 역대 최대인 50만 세대 돌파
    [NNA] 印 올해 입주 세대 수, 역대 최대인 50만 세대 돌파 인도의 부동산 컨설팅 기업 아나록(Anarock)은 올해 주요 7도시에 새롭게 공급되는 세대 수가 전년 대비 39% 증가한 55만 7900세대가 될 것으로 22일 전망했다. 인도의 주택시장에서 연간 공급 세대 수가 50만 세대를 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공급 세대 수를 도시별로 보면, 델리NCR이 가장 많은 17만 100세대(전체의 30%)로, 전년보다 97% 증가할 전망이다. 그 다음은 뭄바이 도시권(MMR, 13만 1400세대(24%))이며, 이들 두 도시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하이데라바드는 2만 3800세대로 전체의 4%에 그치나, 전 2023-05-24 15:48
  • [NNA] 존 코커릴, 베트남에 수소공장 건설
    [NNA] 존 코커릴, 베트남에 수소공장 건설 벨기에의 에너지 기업 존 코커릴(John Cockerill)의 프랑수아 미셸 사장은 베트남 짜빈성에 수소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존 코커릴은 전기분해 수소발생장치 제조분야에서 세계 1위 기업이다. 17일 팜 민 찐 총리와 회담을 가졌으며, 베트남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의지를 나타냈다. 베트남 인베스트먼트 리뷰(VIR)가 22일자로 보도했다. 짜빈성에서는 올 3월 말, 더 그린 솔루션즈 그룹 산하 TGS그린수소가 그린수소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동 공장은 베트남 최초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해 그린수소를 제조한다. 총 투자액은 2023-05-24 14:53
  • [NNA] 홍콩 행정장관, 광저우와 선전 당일치기 출장
    [NNA] 홍콩 행정장관, 광저우와 선전 '당일치기 출장' 홍콩정부 행정수반 존 리(李家超) 행정장관은 홍콩무역발전국(HKTDC)의 행사인 ‘홍콩・광둥협력주간’ 개막식 등에 참가하기 위해 중국 광둥(広東)성 광저우(広州)를 24일, 선전(深圳)을 26일 각각 방문한다. 23일 정례회견에서 밝혔다. 통상 행정장관 부재 시 정부서열 2위인 정무장관이 행정장관 직무를 대행하나, 이번 출장은 당일 돌아오는 일정이기 때문에 대행을 두지 않기로 했다. 리 행정장관은 “홍콩과 중국 본토 간 왕래가 전면 정상화되었기 때문에, 웨강아오 다완구(粤港澳大湾区, 광둥성의 주강삼 2023-05-24 13:51
  • [NNA] 태국선관위, 피타 대표 위헌의혹 조사 착수
    [NNA] 태국선관위, 피타 대표 위헌의혹 조사 착수 태국선거관리위원회는 하원 총선에서 제1당 자리를 획득한 전진당의 피타 림짜른랏 대표가 미디어 기업의 주식을 소유했다는 헌법 위반 의혹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 동 사안을 태국선관위가 위헌으로 판단할 경우, 피타 대표는 당선 취소와 함께 정치활동이 금지될 수도 있다. 방콕포스트가 22일 보도했다. 최대여당이었던 국민국가의 힘 당(PPRP)에 소속된 한 정치활동가가 피타 대표를 위헌 혐의로 태국선 2023-05-23 19:17
  • [NNA] 싱가포르 지난해 평균수명 83세… 코로나 사태로 하락
    [NNA] 싱가포르 지난해 평균수명 83세… 코로나 사태로 하락 싱가포르 통계국이 22일 발표한 인구통계에서 싱가포르 거주자(국민과 영주권 소지자)의 평균수명(출생 시 평균여명, 속보치)은 2022년에 83.0세를 기록, 2021년의 83.2세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 사태로 사망률이 상승했다는 점이 배경에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전년의 80.8세와 85.5세에서 80.7세와 85.2세로 각각 하락했다. 평균수명은 10년 전의 82.1세에서 완만한 상승추세를 타고 2019년에는 83.7세까지 상승했다. 다만 코로나 사태가 있던 2020년에는 상승이 멈췄으며, 2021~2022년에 남녀 모두 2년 연 2023-05-23 18:32
  • [NNA] 미얀마 사이클론 피해에 아세안 지원물자 도착
    [NNA] 미얀마 사이클론 피해에 아세안 지원물자 도착 미얀마 서부 라카인주를 강타한 대형 사이클론 ‘모카’에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위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의 지원물자가 21일 최대도시 양곤에 도착했다. 22일자 국영지 글로벌 뉴 라이트 오브 미얀마 2023-05-23 17:49
  • [NNA] 캄보디아 정부, 운하 건설사업 승인… 국내 최대 규모
    [NNA] 캄보디아 정부, 운하 건설사업 승인… 국내 최대 규모 캄보디아 정부는 19일, 메콩강에서 지류인 톤레바삭강을 경유해 케프주 연안까지 연결되는 운하개발 계획을 승인했다. 길이 약 180km에 이르는 캄보디아 최대규모의 운하개발 프로젝트다. 총 공사비는 17억 달러(약 2345억 엔)가 될 전망.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22일 보도했다. 이번에 승인된 것은 메콩강의 남부 칸달주 프렉 타케오 주변에서 톤레바삭강을 경유해 케프주 연안에 이르는 후난 테초 운하 건설사업. 폭은 최대 100m이며, 수심은 약 5.4m. 칸달, 타케오, 캄포트, 케프 등 4개 주를 통과하며, 주변인구는 약 160만명 2023-05-23 16:32
  • [NNA] 비엣젯항공, 하노이-히로시마 노선 7월 취항
    [NNA] 비엣젯항공, 하노이-히로시마 노선 7월 취항 베트남 저비용 항공사(LCC) 비엣젯항공은 19일, 수도 하노이와 일본 히로시마(広島)현을 잇는 노선에 7월 19일부터 취항한다고 밝혔다. 비엣젯항공의 베트남-일본 간 8번째 노선이다. 히로시마에서 개최된 G7 정상회의에 맞춰 발표행사를 가졌다. 행사에는 팜 민 찐 총리와 타나베 마사히코(田辺昌彦) 히로시마현 부지사 등이 참석했다. 하노이-히로시마 노선은 주 2왕복(수, 일요일)으로 운항되며, 비행시간은 약 4시간 반. 베트남과 추고쿠・시코쿠(中国・四国)지방을 잇는 첫 정기 직항편이다. 비엣젯은 현재 하노이시・호 2023-05-23 14:56
  • [NNA] 中 샤바오룽 주임 마카오 방문… 23일부터 4일간
    [NNA] 中 샤바오룽 주임 마카오 방문… 23일부터 4일간 중국 국무원(중앙정부)에서 홍콩・마카오 정책을 담당하는 국무원 홍콩마카오사무판공실 샤바오룽(夏宝竜) 주임은 23일부터 26일까지 마카오를 방문한다. 마카오 정부가 22일 발표했다. 체류 중 구체적인 일정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마카오 정부 행정수반 호얏셍(賀一誠) 행정장관은 마카오를 대표해 “샤 주임의 시찰을 열렬히 환영하며, 사의를 표명한다”는 뜻을 밝하며, 정부는 전면적으로 협력하고 적절한 준비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샤 주임은 지난달 13~18일 홍콩을 방문해 중 2023-05-23 13:43
  • [NNA] 中 치매 간병사 양성소 증설… 고령사회 대비
    [NNA] 中 치매 간병사 양성소 증설… 고령사회 대비 중국 국무원(중앙정부)은 간병 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방침을 공표했다. 2025년까지 치매 간병사 양성소를 모든 현, 시, 구, 기에 1곳 이상 설치한다. 심화되고 있는 고령화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다. 시 단위 행정조직에는 간병 서비스 시설 건설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시했다. 해당 지역의 경제수준, 고령자 인구 등에 따라 시설 수와 종류의 다양성 등을 적절한 수준으로 확대하도록 요구했다. 새롭게 샤오취(小区)를 만들 경우에는 간병시설을 병설하도록 했다. 2025년까지 간병 서비스 기본체계 구축을 완료한다는 방침을 2023-05-23 11:10
  • [NNA] TSMC 회장, 日 총리와 회담
    [NNA] TSMC 회장, 日 총리와 회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제조) 세계 최대 기업 TSMC(台湾積体電路製造)의 류더인(劉徳音) 회장은 18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총리관저에서 회담을 가졌다. 회담 후 성명을 통해, 일본에 대한 계속적인 투자와 일본 파트너 기업과의 협력강화 의지를 표명했다. 중앙통신사가 보도했다. 류 회장은 회담에서, 일본이 세계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TSMC와 일본 기업이 20년에 걸쳐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해 왔다는 점을 소개했다. 향후에 대해 “반도체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2023-05-22 19:58
  • [NNA] 빈패스트, 이르면 내년 태국에 EV 투입
    [NNA] 빈패스트, 이르면 내년 태국에 EV 투입 베트남 국산차 제조사 빈패스트는 이르면 내년부터 태국에 전기차(EV)를 수출한다는 방침이다. 빈패스트의 응우엔 단 꽝 지역매니저가 NNA에 밝혔다. 빈패스트는 방콕 내 국제회의장 QSNCC에서 17~19일 개최된 전시회 ‘퓨처 모빌리티 아시아(FMA)’에 참가, 5인승 SUV EV ‘VF8’을 선보였다. 5인승 EV 최초 모델인 ‘VFe34’의 시승공간도 마련했다. 꽝 매니저는 이번 행사참여에 대해, “태국 마케팅 작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태국의 EV 시장은 중국 제조사들이 큰 점유율을 차 2023-05-22 19:33
  • [NNA] 싱가포르 그랩, 1분기 적자… 적자폭은 축소
    [NNA] 싱가포르 그랩, 1분기 적자… 적자폭은 축소 싱가포르의 배차 서비스 그랩은 올 1분기에 2억 5000만 달러(약 346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배달, 모빌리티 등의 주력 부문이 호조를 보여 적자폭은 전년 동기보다 43% 축소됐다. 매출액은 2.3배인 5억 2500만 달러. 배달 부문은 3배인 2억 7500만 달러이며, 모빌리티 부문은 72% 증가한 1억 9400만 달러. 역내 관광객 이용 증가가 매출액 확대로 이어졌다. 그룹 전체의 조정 후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적자가 77% 감소한 6600만 달러로 축소됐 2023-05-22 18:41
  • [NNA] 필리핀 에너지부, 천연가스전 투자 호소
    [NNA] 필리핀 에너지부, 천연가스전 투자 호소 알레산드로 셀레스 필리핀 에너지부 차관은 20일, 국내 미개발 천연가스전이 많다고 강조하며 개발을 위한 투자를 호소했다. 탈탄소에 주력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히는 한편, 석유・가스 탐사・채굴도 지원해 나가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셀레스 차관은 국내 유일 천연가스전인 말람파야 천연가스전 이외에도 “많은 곳에 대규모 가스광상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말람파야 가스전을 운영하는 컨소시엄에 대한 법인 소득세 과세를 둘러싼 분쟁이 아직 해결되지 않아, 잠재적인 투자 2023-05-22 18:07
  • [NNA] 이온말레이시아, 1분기 매출・순이익 증가
    [NNA] 이온말레이시아, 1분기 매출・순이익 증가 이온말레이시아는 올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한 11억 684만 링깃(약 337억 엔), 순이익이 36.1% 증가한 3818만 링깃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소비회복과 춘제 행사 등으로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사업별 매출액은 소매부문이 9.8% 증가한 9억 4140만 링깃, 부동산 관리 서비스가 14.5% 증가한 1억 6540만 링깃. 소매부문은 신종 코로나 엔데믹 이행에 따른 소비지출 확대 및 춘제 계기 활황이 실적 호조에 기여했다. 부동산 부문은 소비자 심리 호전에 따른 입주율 개선 2023-05-22 17:13
  • [NNA] 넥센타이어, 미국에 첫 공장 건설
    [NNA] 넥센타이어, 미국에 첫 공장 건설 넥센타이어는 약 13억 달러(약 1800억 엔)를 투입해 미국에 타이어 공장을 신설한다는 투자계획을 18일 밝혔다. 넥센타이어가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동남부 지역 8개 주를 대상으로 부지를 검토하고 있다. 올 하반기까지 부지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며 신공장은 2028~29년 가동될 전망이다. 생산규모는 하루 3만 1200개를 계획하고 있다. 넥센타이어는 현재 경남 양산과 창녕 등 국내 두 곳과 체코, 중국 등 4곳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공장은 다섯 번째 공장이 된다. ■ 2023년은 흑자전환 2023-05-22 16:26
  • [NNA] 세계은행, 캄보디아 올해 경제성장률 5.5% 전망
    [NNA] 세계은행, 캄보디아 올해 경제성장률 5.5% 전망 세계은행은 18일 캄보디아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5.5% 전망했다. 호조를 보이고 있는 수출과 농업 성장 등으로 2022년의 5.2%(추정치)를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은행은 중단기 거시경제동향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 ‘캄보디아 경제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 사태로부터 경제회복’을 통해 경제성장률 예측을 발표했다. 세계은행은 경제회복 조짐을 보인 전년에 이어 올해는 관광, 서비스 산업 활성화와 농산물을 중심으로 한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예상하며,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실적을 웃돌아 5.5%에 달할 가능성이 높 2023-05-22 15:42
  • [NNA] 印 OSM, 리튬이온 배터리 팩 생산 美 기업과 합작사 설립
    [NNA] 印 OSM, 리튬이온 배터리 팩 생산 美 기업과 합작사 설립 호주에 본사를 둔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소재회사 매그니스 에너지 테크놀러지스는 미국 자회사 임페리움3뉴욕(iM3NY)이 인도의 전동차 제조사 오메가 세이키 모빌리티(OSM)와 합작사를 설립한다고 17일 밝혔다. 인도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생산・판매한다. iM3NY와 OSM이 합작사 설립계약을 체결했다. 출자비율은 iM3NY가 26%, OSM이 74%. 합작사는 인도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생산한다. 제품은 OSM이 인도,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판매하는 전동이륜차, 삼륜차, 사륜차에 사용된다. OS 2023-05-22 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