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홍콩 공항-검역호텔 이동에 택시 이용가능
    [NNA] 홍콩 공항-검역호텔 이동에 택시 이용가능 해외에서 홍콩국제공항에 도착한 입경자가 지정검역(격리) 호텔로 향할 때, 25일부터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공항에서 호텔 도착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운행 초기에는 100대의 지정택시가 공항과 검역호텔 간 이동을 담당한다. 지정택시에는 녹색 스티커가 부착돼 있어 일반택시와 구분되며, 이용희망자는 공항관계자의 지시에 따라 승차장에서 택시를 탑승할 수 있다. 운임체계는 일반택 2022-07-26 12:39
  • [NNA] 中 선전 주요공장 30일까지 봉쇄관리식 생산
    [NNA] 中 선전 주요공장 30일까지 봉쇄관리식 생산 중국의 디이차이징(第一財經)일보(인터넷판)는 25일, 광둥(広東)성 선전(深圳)시 공업정보국이 ‘신 에너지 차(NEV)’ 제조사 비야디(比亜迪) 등 선전시의 중점기업 100사에 대해, 24~30일 기간 공장조업 시 외부와의 접촉을 기본적으로 차단하는 ‘봉쇄식 관리’를 도입하도록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선전시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따른 조치. 봉쇄식 관리 대상은 비야디를 비롯해 ◇통신기기 화웨이(華為技術)와 ZTE(中興通訊) ◇드론기업 DJI(大疆創新科技) ◇EMS 홍하이(鴻海)정밀 2022-07-26 11:35
  • [NNA] 대만 BA.2.75 첫 확인… 역외유입
    [NNA] 대만 'BA.2.75' 첫 확인… 역외유입 대만 위생복리부 중앙유행전염병지휘센터는 22일, 이달 10일에 입경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역외감염자 1명이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2.75’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대만에서 BA.2.75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통신사에 의하면 동 감염자는 공항검사에서 감염이 확인됐으며, 격리기간 접촉자가 없기 때문에 역내 유입 우려는 없다고 한다. 감염이 확인된 것은 30대 남성으로, 백신은 3회 접종을 받았다. 가족과 지인 각 1명과 함께 인도에서 입경했다. 3명은 공항 PCR검 2022-07-25 18:15
  • [NNA] 태국에서 원숭이두창 감염자 첫 보고
    [NNA] 태국에서 원숭이두창 감염자 첫 보고 태국 보건부 질병관리국(DDC)은 22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보고됐다고 발표했다. 감염자는 푸켓지역에 체류하고 있던 나이지리아 국적의 남성으로, 병원에서 감염이 확인된 이후 도주, 23일 캄보디아에서 체포됐다. 태국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재확산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어 관광산업 회복에 암운이 드리우고 있 2022-07-25 17:51
  • [NNA] 창이공항 제4터미널, 9월 13일부터 운용재개
    [NNA] 창이공항 제4터미널, 9월 13일부터 운용재개 싱가포르 창이공항을 운영하는 창이에어포트그룹(CAG)은 9월 13일부터 공항 제4터미널 운용을 재개한다. 신종 코로나 사태로 폐쇄한 2020년 5월 이후 2년 4개월 만의 재개다. 22일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항공사 16개사가 4터미널로 순차 이전한다. 우선 홍콩의 캐세이퍼시픽항공과 한국의 대한항공이 9월 13일부터 운항을 개시한다. 9월 15일에는 에어아시아그룹이 이전하고, 9월 20일에는 중국의 길상(吉祥)항공, 필리핀의 저비용항공사(LCC) 세부퍼시픽항공, 한국의 제주항공, 베트남의 뱀부항공, 홍콩익스프레스가 이용을 개 2022-07-25 16:50
  • [NNA] 미얀마 중앙은행, 외화 강제환전 추가지시
    [NNA] 미얀마 중앙은행, 외화 강제환전 추가지시 미얀마 중앙은행은 21일 현지 금융기관에 대해 기업 등의 외화계좌의 미 달러 잔고를 이날 오후 6시까지 현지통화인 짯으로 환전하도록 지시했다. 미얀마 나우가 21일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외자비율이 35% 이하인 현지기업을 비롯해 투자기업관리국(DICA)에 등록된 대부분의 기업에 해당되는 조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군정의 불투명한 정책 등을 감안하면, 현재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경제특구 입주기업 등에도 동 규제가 실시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군정은 4월 이후 외화에 대한 강화된 규제 2022-07-25 16:24
  • [NNA] 캄보디아 중앙은행, 올해 GDP 5.3% 전망
    [NNA] 캄보디아 중앙은행, 올해 GDP 5.3% 전망 캄보디아국립은행(중앙은행)은 21일,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5.3%로 전망했다. 순조로운 경제회복으로 지난해의 3%를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 등이 22일 전했다. 치에 짠토 총재는 봉제품과 의류, 여행용품 등의 수출확대와 건설업, 농업, 관광산업의 회복 등이 전체를 견인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상업부는 “1월에 발효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 2022-07-25 15:52
  • [NNA] 타타車, 델리교통공사 전기버스 1500대 수주
    [NNA] 타타車, 델리교통공사 전기버스 1500대 수주 인도의 자동차 제조사 타타모터스는 22일, 델리교통공사(DTC)로부터 전기버스 1500대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델리교통공사의 전기버스 발주량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라고 한다. 한편, 발표에 따르면 지금까지 타타의 전기버스 공급실적은 약 650대. 이번 발주 규모는 타타의 역대 공급실적을 웃돈다. 계약에 따라 타타는 전기버스 공급 뿐만 아니라 12년간 운용과 유지보수 등도 담당한다. 델리교통공사의 발주는 전력부가 복수의 도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기버스 대규모 입찰 ‘그랜드 챌린 2022-07-25 15:19
  • [NNA] 印尼 MAB, 전기오토바이와 저속 EV 공개
    [NNA] 印尼 MAB, 전기오토바이와 저속 EV 공개 인도네시아의 전기버스 제조사 모빌 아낙 방사(MAB)는 22일, 전기오토바이 ‘일렉트로(Electro)’ 시리즈와 저속전기차(LSEV) ‘메트로포드(Metropod)’를 전기차(EV) 전시판매회 ‘PEVS 2022’를 통해 일반에 공개했다. 공개된 전기오토바이는 ‘EL02’와 ‘EL03’ 두 모델. 최고속도는 EL02가 시속 50km, EL03이 60km. 1회 충전으로 가능한 주행거리는 EL02가 60km, EL03이 100km. 전기자전거 ‘EL07’도 선보였다. 출시시기와 가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2022-07-25 14:44
  • [NNA] 빈패스트, 트라이애슬론 세계대회 운영사와 제휴
    [NNA] 빈패스트, 트라이애슬론 세계대회 운영사와 제휴 베트남 국산차 제조사 빈패스트는 23일, 트라이애슬론 세계대회를 주최하는 미국 아이언맨과 파트너십 협정을 체결했다. 2022~2025년 대회와 각종 행사에서 전기자동차와 전동이륜차, 전기버스 등을 제공하며, 대회명칭 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 타이틀 파트너 자격을 얻게 된다. 대회 등에서 빈패스트의 전기차(EV)에 시승할 기회도 제공한다. 아이언맨은 매년 50개국 이상에서 150회 이상의 예선을 거쳐, 세계선수권 대회를 미국 하와이주에서 개최하고 있다. 빈패스트는 아이언맨과의 제휴를 통해 2022-07-25 13:17
  • [NNA] 홍콩 2분기 GDP, 이상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NNA] 홍콩 2분기 GDP, "이상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홍콩정부 천마오보(陳茂波) 재정장관은 조만간 발표될 예정인 홍콩의 2분기 역내총생산(GDP)에 대해 “이상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는 견해를 24일 블로그에 밝혔다. 하반기 전망에 대해서는 미국이 계속해서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우려요소로 꼽았다. 천 장관은 2분기 실업률이 4.7%까지 개선됐으며, 종합소비자물가지수(종합CPI)는 6월에도 1.8% 상승으로 억제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글로벌 및 중국 본토의 경기침체 영향으로 25일 발표될 예정인 6월수출통계는 “ 2022-07-25 12:23
  • [NNA] 바이두 차세대 무인차, 비용 대폭 절감 실현
    [NNA] 바이두 차세대 무인차, 비용 대폭 절감 실현 중국 최대 인터넷 검색엔진 기업 바이두(百度)는 21일, 자율주행기술을 탑재한 6세대 무인차 ‘아폴로(Apollo) RT6’를 출시했다. 가격은 25만위안(약 510만엔)으로, 기존 무인차의 약 10분의 1 가격. 바이두가 운영하는 로봇택시 플랫폼 ‘뤄보콰이파오(蘿蔔快跑)’에 내년부터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자동차 정보사이트 제일전동망(第一電動網)에 따르면, 아폴로 RT6’는 길이 4760mm, 폭 1870mm, 높이 1650mm. 12대의 카메라와 8대의 ‘LiDAR(레이저로 차량주변을 인식하는 센서)’를 비롯한 38 2022-07-25 11:38
  • [NNA] 홍하이와 NXP, EV 플랫폼 개발 제휴
    [NNA] 홍하이와 NXP, EV 플랫폼 개발 제휴 EMS(전자기기 수탁제조 서비스) 세계 최대 기업 홍하이(鴻海)정밀공업의 모회사 폭스콘 테크놀로지 그룹(鴻海科技集団)은 20일, 네덜란드의 반도체 기업 NXP세미컨덕터즈와 업무제휴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인터넷에 접속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넥티드 카’ 사양의 차세대 전기차(EV) 플랫폼 개발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FE)나 드라이버 등을 결합한 NXP의 차량 프로세서를 채용한 새로운 EV 플랫폼을 개발해 나간다. 전자 전기 아키텍쳐(EEA)와 자동차 사이버 2022-07-22 18:04
  • [NNA] 미 국무부, 태국 인신매매 평가 격상
    [NNA] 미 국무부, 태국 인신매매 평가 격상 미국 국무부는 19일에 발표한 세계 각국의 인신매매에 관한 2022년 보고서를 통해, 태국을 지난해의 ‘2등급 감시 리스트’(1등급이 최고평가)에서 2등급으로 격상했다. 태국 정부의 최근 수개월간의 노력을 평가했다. 방콕포스트가 21일 보도했다. 국무부는 보고서에 “태국 정부는 인신매매 박멸을 위한 최저기준을 완전하게 갖추지는 않았으나, 그를 2022-07-22 17:21
  • [NNA] 테마섹 합작사, 식물성 단백질 제조공장 개설
    [NNA] 테마섹 합작사, 식물성 단백질 제조공장 개설 싱가포르 국영투자사 테마섹 홀딩스의 자회사와 독일 식품기업 크레머는 대체육에 사용되는 식물성 단백질을 수탁제조하는 공장을 싱가포르에 개설했다. 싱가포르에 식물성 단백질을 수탁제조하는 시설이 설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 시장에 공급한다는 계획. 공장은 테마섹의 자회사인 아시아 서스테이너블 푸드 블랫폼과 크레머의 합작사인 크레머 서스테이너블 푸드(CSF)가 서부 투아스의 식품제조시설 ‘투아스 푸드 존’ 내에 설치했다. 1만 1000ft²(약 1022m²) 규모로, 연 1300톤의 식물성 2022-07-22 16:43
  • [NNA] 필리핀투자위원회, PAVI의 태양광 사업 승인
    [NNA] 필리핀투자위원회, PAVI의 태양광 사업 승인 필리핀투자위원회(BOI)는 20일, 루손섬의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회사인 PAVI그린 리뉴어블 에너지가 남카마리네스주 나가에 건설하는 태양광발전소 프로젝트의 등록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총 투자액은 20억페소(약 49억엔). 동 프로젝트는 세제우대의 대상이 되는 전략적투자우선계획(SIPP)으로 인가됐다. 2024년 2월에 상업운전이 개시될 예정. 발전용량은 약 4만kW. 약 57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부에 의하면 루손섬은 2020년 총 설비용량, 발전전력량, 전력소비량이 모두 전 2022-07-22 15:54
  • [NNA] 스즈키車, 보증 및 서비스 업무 계속 방침
    [NNA] 스즈키車, 보증 및 서비스 업무 계속 방침 미얀마에서 자동차 조립생산을 일시 중단하고 있는 일본의 스즈키는 보증 및 서비스 업무는 기존대로 계속 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현지법인 스즈키 미얀마 모터와 스즈키 티라와 모터 2사가 이 같이 밝혔다. 생산중단에 대해 스즈키는 고객들의 요청에 따라 생산재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부품수입에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납차가 늦어지고 있는데 대해서도 사과했다. 스즈키는 2019년 이후 미얀마에서 1만 3000대를 판매했다. 미얀마 내 신차시장에서 약 6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022-07-22 15:13
  • [NNA] 캄보디아 5월 인플레이션율 7.2%… 10년 중 최고수준
    [NNA] 캄보디아 5월 인플레이션율 7.2%… 10년 중 최고수준 캄보디아국립은행(중앙은행)은 5월 인플레이션율이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인 7.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21일 전했다. 치에 짠토 총재는 20일 석유제품과 식료품 가격 상승이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와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가 세계적으로 비료, 농산물, 원유, 식료품의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총재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중국에서 생산되는 건설자재가 급등하고 있는 2022-07-22 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