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홍콩, 기초 의료 제도 강화하기로… 주치의 권장 홍콩 정부는 19일, 기초 의료 제도의 강화계획을 발표했다. 전 시민이 ‘주치의’를 지정하는 제도를 추진해 생활습관병 검사와 관리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로충마우(盧寵茂) 홍콩 정부 의무위생국장은 고령화와 생활습관병 증가를 배경으로, 의료시스템의 초점을 병의 ‘치료’에서 ‘예방’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기초 의료 제도 확립을 목표로 전 시민이 주치의를 지정하는 것을 권장하기로 했다. 아울러 새로운 제도인 ‘만성질환 공동관 2022-12-21 11:14
-
[NNA] 中 국내선 항공수요, 2023년에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중국의 항공수요가 꾸준히 회복되고 있다. 중국국제금융(CICC)은 20일, 국내선 항공수요가 내년부터 신종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수준을 웃돌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한편, 국제선 회복은 2024년이 되어야 할 것으로 예측했다. 각 항공사들은 정부의 신종 코로나 규제완화 조치에 따라, 국내선 증편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CICC에 따르면, 이달 15일 기준 국내선 운항편수는 하루 7350편으로, 전 주보다 55.7% 증가했다. 2019년 같은 시기의 64% 수준을 회복했다. 한편 국제선은 1065편으로 2019년 같은 시기의 6.9% 수준에 2022-12-21 10:03
-
[NNA] 대만 자이시장 선거, 황민후이 현 시장 최다득표 대만 중앙선거위원회는 18일 투개표가 실시된 자이(嘉義)시장 선거에서 최대야당인 국민당 후보로 출마한 황민후이(黃敏惠) 현 시장이 최다 득표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앙선거위원회는 22일 선거결과를 심사하는 회의를 열어 당선자를 발표한다. 자이시장 선거에는 총 5명이 출마했다. 투표수는 총 9만 4188표. 이 중 황 후보의 득표수는 5만 9874표. 여당 민주진보당(민진당) 후보인 리쥔이(李俊俋) 전 자이시 부시장은 3만 2790표로 그 뒤를 이었다. 민진당 당 주석대리를 맡고 있는 천지메이(陳其邁) 가오슝(高雄) 시장은 2022-12-20 19:52
-
[NNA] 싱가포르 국민 55%, 내년 세계경제 낙관 프랑스의 조사기관 입소스가 실시한 조사 결과, 싱가포르인의 절반 이상이 내년 세계경제를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스는 지난 10월부터 11월까지 세계 36개국에서 총 2만 4471명(16~74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싱가포르에서는 21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됐으며, 비교적 교육수준이 높은 부유층이 다수 조사에 참여했다.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인의 55%가 ‘내년 세계경제는 강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64%는 내년 개인의 경제상황에 대해 낙관적으 2022-12-20 19:01
-
[NNA] 미얀마 무세 만웨인검문소, 춘제 이후 재개? 미얀마 북동부 샨주 무세의 만웨인검문소가 춘제(중국 구정, 내년은 1월 22일) 이후 재개될 전망이다. 19일자 국영지 글로벌 뉴 라이트 오브 미얀마가 전했다. 무세 쌀 도매센터(MRWC)의 민 테인 부소장에 따르면, 중국 윈난(雲南)성 루이리(瑞麗)시와 무세 간 국경에서 10일부터 규제가 완화돼 사람의 왕래가 재개됐다. 규제완화에 따라 동 지역의 만웨인 국경검문소의 업무가 춘제 이후 재개될 전망이다. 동 지구 내의 다른 국경검문소의 업무재개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미얀마와 윈난성의 양 당국은 지난 10 2022-12-20 18:34
-
[NNA]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발전소 가동… 최대규모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캄보디아 최대규모의 발전소가 16일부터 가동됐다. 출력은 70만kW. 캄보디아 정부는 전력 수입절감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19일 전했다. 가동된 석탄화력발전소는 출력 350MW의 발전시설 2기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화뎬그룹(中国华电集团) 산하 화뎬시아누크빌 파워 제네레이션과 캄보디아국제투자개발그룹(CIIDG)이 12억 8300만 달러(약 1740억 엔)를 투입, 2020년 8월부터 건설을 개시했다. 올 11월 완공 이후 시운전을 거쳐 16일부터 본격 가동됐다. 캄보디아전력청( 2022-12-20 17:55
-
[NNA] 印尼 연말연시 공항 여객 수 254만명 전망 인도네시아 국영공항운영사 앙카사 푸라(AP)2는 18일, 서부 20곳 공항의 크리스마스・연말연시 휴가기간(12월 19일~2023년 1월 4일) 여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6.4% 증가한 254만명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AP2는 17일간 항공기 발착 수는 6.6% 증가한 2만 349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의 여객 수는 20개 공항 중 가장 많은 138만명, 항공기 발착 수는 1만 52회로 예측했다. 무함마드 AP2 사장은 피크시즌의 공항운영과 서비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12월 19일~1월 3일에는 20개 공항에 실시간 모니터링 센터 2022-12-20 17:22
-
[NNA] 제트로, 日 온주귤 베트남 판매 지원 나서 일본무역진흥기구(제트로) 호치민사무소는 베트남이 지난해부터 수입을 허용한 일본산 온주귤의 일반 소비자 판매를 지원하는 활동을 이달부터 호치민시에서 시작했다. 일본산 청과를 판매하는 소매점, 외식업자 등과 협력, 인지도 제고와 판로 확대를 통해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온주귤의 우수한 맛을 알리는데 주력한다. 호치민시에 매장 11곳을 운영하고 있는 고급 슈퍼마켓 ‘안남 구르메’의 5곳의 매장에서 시식판매를 개시했으며, 쇼핑몰 ‘사이공 센터’ 내 과일판매점 ‘스타키친’, 일본산 청 2022-12-20 16:52
-
[NNA] 中 스포츠용품 리닝, 10년 만에 홍콩 재출점 중국의 스포츠용품 기업 리닝(李寧)은 16일, 홍콩 카오룽(九龍)지구 침사추이(尖沙咀) 캔톤로드(広東道)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출점했다. 홍콩시장에서 철수 후 약 10년 만의 재출점이다. 17일자 명보가 전했다. 상업시설 실버코드(新港中心) 내 2층에 면적 7000ft²(약 650㎡)에 달하는 매장을 개설했다. 오픈 당일 4000HK달러(약 7만 엔)분의 상품을 구입했다는 본토출신의 한 학생은 “판매되는 상품이나 가격이 본토와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는 앞으로 런닝, 농구, 배드민턴 등을 테마 2022-12-20 16:18
-
[NNA] 中 지방정부, 코로나 내년 1월 정점 예상… 춘제 이동 등으로 중국의 지방정부들이 신종 코로나 감염 사태가 내년 1월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국의 코로나 방역 완화 조치 이후 감염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춘제(春節) 연휴(내년은 1월 21~27일) 전에 이동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감염이 크게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증권업계는 코로나가 정점에 달한 이후 경제 회복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장(浙江)성 정부는 18일, 국내외 연구데이터를 근거로 저장성의 코로나 확산세가 내년 1월 중순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정점이 예상보다 빨라질 2022-12-20 15:55
-
[NNA] 3분기 글로벌 IC설계 매출, 미디어텍 5위 대만의 시장조사회사인 트랜드포스(集邦科技)는 올해 3분기 세계 IC 설계기업 매출액 순위에서 대만의 미디어텍(聯発科技)이 5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대만 기업은 미디어텍을 포함해 3개사가 10위 안에 들었다. 미디어텍의 3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11.6% 감소한 46억 7500만 달러(약 6420억 엔). 스마트폰, 스마트디바이스, 전원관리용 매출이 모두 전 분기보다 감소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브랜드의 판매부진 및 업체들의 재고조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 분기보다 한 계단 순위가 올라 7위를 차지한 리얼텍 세미컨덕터 2022-12-19 19:28
-
[NNA] 싱가포르 창이공항, 자동 출입국 게이트에 레인 설치 싱가포르 이민국(ICA)은 16일, 창이공항의 자동 출입국 심사 게이트에 특별지원 레인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유아를 동반한 가족 등의 동시 통과가 가능해졌다. 출입국 심사 게이트를 여러 명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창이공항 제1터미널 출발 로비와 제2터미널 출도착 로비에 도입됐다. 다른 터미널에도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육로와 해로를 이용한 출입국 심사장에도 도입될 예정이다. 현재 특별지원 레인의 이용대상은 싱가포 2022-12-19 18:46
-
[NNA] 유니레버, 연내 필리핀에 신공장 가동 필리핀투자위원회(BOI)는 16일, 영국의 식품・가정용품 회사 유니레버가 필리핀 카비테주에 48억 페소(약 118억 엔)를 투입한 신공장을 이달 중 가동한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규모의 퍼스널케어 제품 생산거점이 될 전망이다. 신공장은 카비테주 제네럴 트리아스의 공업단지 ‘게이트웨이 비지니스 파크’에 건설됐다.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각종 첨단 설비가 도입되어 있다. 최대 130명을 고용한다. 내년 3월까지 정상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헤어 제품, 스킨케어 제 2022-12-19 18:13
-
[NNA] 日 이데미쓰코산, 말라카주 공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 일본의 정유회사 이데미쓰코산(出光興産)은 16일, 말레이시아의 전자기기부품 제조사 MFS테크놀로지의 말라카주 공장 지붕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 전력공급사업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데미쓰코산이 말레이시아에 지붕설치형 태양광 발전설비를 도입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이데미쓰코산이 출자한 싱가포르의 스카이(Skye) 리뉴어블 홀딩스를 통해 MFS가 말라카주에서 운영하는 제조공장 지붕에 발전용량 0.8MW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한다. 스카이의 말레이시아 법인과 MFS 간에 전력매매계약(PPA)을 체결한다. 이번 2022-12-19 17:48
-
[NNA] EU와 아세안, 미얀마 군부에 5개 항목 이행 촉구 유럽연합(EU)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은 14일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해, 쿠데타로 실권을 장악한 미얀마 군부에 대해 지난해 4월 아세안 임시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폭력행위 중단 등 5개 항목의 조기이행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EU는 미얀마 정세에 대한 아세안의 평화적 해결노력을 지지하며, 아세안 특사가 모든 관계자와 접촉해 미얀마 국민들이 차별없는 인도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폭력행위의 즉시 중단과 함께 외국인을 포함한 모든 정치범의 석방을 촉구했다. 2022-12-19 16:56
-
[NNA] 한화, 대우조선해양 인수 본계약 체결 한화그룹은 16일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취득액은 2조 원(약 2100억 엔). 2008년 인수의향을 밝힌 후 14년 만의 체결이다. 대우조선과 한화그룹 간 2조 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유상증자에는 한화의 6개사가 참여하며, 한화측이 대우조선의 주식 49.3%를 취득, 최대주주가 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조 원, 한화시스템이 5000억 원을 각각 출자한다. ■ 육해공 통합시스템 확립 이번 인수를 계기로 한화는 방위산업분야에서 육해공 통합시스템 확립을 추진한다. 아울러 대우조선의 군함・잠 2022-12-19 16:28
-
[NNA] 캄보디아 1~10월 대일수출액 11% 증가한 16.4억 달러 일본무역진흥기구는 올 1~10월 캄보디아의 일본에 대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한 16억 4842만 달러(약 2254억 엔)라고 밝혔다. 수입액은 9.1% 감소한 4억 3343만 달러. 교역액은 5.9% 증가한 20억 8184만 달러.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에 따르면, 주요 수출품은 의류, 가방, 신발, 가구, 화장품, 가죽제품 등. 일본으로부터는 기계, 자동차, 전자기기 등을 수입했다. 캄보디아 상무부는 일본과의 교역관계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교섭개시를 위한 실무작업반 2022-12-19 15:51
-
[NNA] 日 이렉스, 베트남에 바이오매스 발전소 착공 일본의 전력사업자 이렉스(eREX)는 15일, 베트남 허우장성의 바이오매스 발전소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4년 12월부터 상용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동 사업은 이렉스의 해외 1호 바이오매스 발전소다. 동 발전사업은 베트남전력그룹(EVN) 산하 파워 엔지니어링 컨설팅 2(PECC 2) 등과 공동출자를 추진할 예정으로, 이렉스의 출자비율은 51%. 일본 환경성의 ‘양국간 크레딧 제도(JCM)’ 자금지원 사업에도 선정되어 있다. 동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곡물의 겨를 연료로 하며, 발전출력은 2만kW. 고정가격매입제 2022-12-19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