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싱가포르, 무점포 음식점에 대한 관심 고조
    [NNA] 싱가포르, 무점포 음식점에 대한 관심 고조 싱가포르에서 실제 매장이 없는 외식업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배차 서비스 기업 등이 이와 같은 형태의 음식점을 위해 공동조리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음식점 내 취식금지 조치가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음식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배경에 있다. 인건비·임대료가 비싼 시장에서 사업 성장가능성에 주목하고 2021-09-12 10:07
  • [NNA] 中, 코로나 치료제 10종 임상실험 단계
    [NNA] 中, 코로나 치료제 10종 임상실험 단계 중국 제약회사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약의 임상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1세기경제보도(인터넷판)에 의하면, 최소 10종이 임상실험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제민케어그룹(江西済民可信集団)은 자체 개발한 중화항체 주사약 임상실험 1상을 완료했다. 상하이준시바이오사이언스(上海君実生物医薬科技), 브리바이오사이언시즈(騰盛博薬生物科技), 루예파마그룹(緑葉製薬集団) 등 중화항체를 활용한 치료약도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중화항체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 2021-09-11 18:12
  • [NNA] 日 스포츠 미즈노, 축구사업 강화
    [NNA] 日 스포츠 미즈노, 축구사업 강화 일본 프로축구 J리그의 홋카이도(北海道) 콘사돌레 삿포로(札幌)와 스포츠 메이커 미즈노는 지난달, 태국 수도 방콕에 ‘스튜디오 콘사 인 방콕(Studio Consa in Bangkok)’ 을 오픈했다. 11월 30일까지 기간한정으로 오픈하는 이 스튜디오에서는 유니폼 전시와 각종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콘사돌레의 스폰서인 미즈노는 동 2021-09-11 15:43
  • [NNA] 베트남 빈패스트, 자사 첫 EV공개
    [NNA] 베트남 빈패스트, 자사 첫 EV공개 베트남 국민차 제조사 빈패스트는 자사 최초 전기자동차(EV) ‘VFe34’ 이미지를 공개했다. 11월 이후 소비자들에게 인도될 예정이며, 베트남에 처음으로 투입되는 EV다. 정부는 EV 구매에 대한 지원책을 검토하고 있다. VFe34는 SUV EV모델로, 3월 24일부터 예약판매를 실시했다. 빈패스트는 모델 발표 후, 예약의 취소 및 변경을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기한 내에 계약금을 납부한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특전을 부여하는 판매촉진책을 실 2021-09-11 10:14
  • [NNA] 태국 신규감염자 1.6만명, 사망자는 220명(9일)
    [NNA] 태국 신규감염자 1.6만명, 사망자는 220명(9일) 태국 정부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예방센터(CCSA)는 9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감염자가 1만 6031명 확인됐다고 밝혔다. 11일 만에 1만 6000명대 이상을 기록했다. 이 중 지역사회 감염자는 1만 5391명. 사망자는 220명으로 3일 연속 2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감염자 중 1만 2436명은 의료기관 검사에서, 2955명은 역학조사에서, 631명은 형무소 및 구치소에서 확진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9명은 해외유입 사례. 지역사회 감염자를 지역별로 보면, 방콕이 3736명으로 가장 많았다. 2021-09-10 17:56
  • [NNA] 필리핀 산미구엘, 발전소 건설에 1억달러 조달
    [NNA] 필리핀 산미구엘, 발전소 건설에 1억달러 조달 필리핀 재벌기업 산미구엘 코퍼레이션(SMC)의 발전 자회사 SMC 글로벌 파워 홀딩스는 8일, 최대 1억달러(약 110억엔) 상당의 영구채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바탕가스주 컨바인드 사이클 발전소(출력 131만 3100kW)의 건설 등에 투입된다. 채권·외환거래 등이 이루어지는 필리핀 채권거래소(PDEX, Philippine Dealing & Exchange Corporation) 공시를 통해 이 같이 밝혀졌다. 산미구엘은 6월에 이미 6억달러 상당의 영구채를 발행한 바 있으며, 이번에 추가발행 2021-09-10 16:38
  • [NNA] 日 유센로지스틱스 말레이시아 법인, AEO인증 취득
    [NNA] 日 유센로지스틱스 말레이시아 법인, AEO인증 취득 일본의 국제물류사 유센(郵船)로지스틱스의 말레이시아 법인 타스코는 8일, 말레이시아 관세청으로부터 법령준수 등의 기준을 충족한 기업의 통관절차를 간소화하는 ‘인정사업자(AEO) 제도’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일본계 물류회사가 말레이시아에서 AEO 인증을 취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타스코는 7월 14일 AEO 제도 인증을 취득했다. 이 제도는 국제물류의 보안강화와 무역 원활화 추진 등을 목적으로 도입된 민관제휴(PPP) 프로그램. 대상은 통관, 창고, 운송, 수입, 수출, 제조 2021-09-10 16:22
  • [NNA] LG화학과 쿠팡, 폐플라스틱 재활용 나서
    [NNA] LG화학과 쿠팡, 폐플라스틱 재활용 나서 LG화학은 9일, 국내 전자상거래 업체 쿠팡과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공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확산으로 비대면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급증하고 있는 배송물 관련 폐기물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을 실시해 나간다. 쿠팡의 전국 대형물류거점(Fulfillment Center)에서는 출하 시 사용하는 스트레치 필름(적재된 물건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물류 포 2021-09-10 15:27
  • [NNA] 美 포드, 印 공장 생산종료
    [NNA] 美 포드, 印 공장 생산종료 미국 자동차 제조사 포드모터는 9일, 인도 타밀나두주 첸나이와 구자라트주 사난드 2곳의 공장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양 공장에서의 생산을 단계적으로 축소, 인도 사업을 재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사난드 공장의 수출용 차량 생산은 2021년까지, 첸나이 공장의 엔진 생산과 차량조립은 2022년 6월까지만 유지하고 이후 중단한다. 일부 수출용 엔진 생산은 계속한다. 포드는 “인도사업을 재구축한다”는 입장. 현재 판매중인 현지생산 모델은 재고가 없어질 때까지만 판매하며, 장기 2021-09-10 14:37
  • [NNA] 홍콩 행정장관, ‘위드 코로나’ 수용 거부
    [NNA] 홍콩 행정장관, ‘위드 코로나’ 수용 거부 홍콩 정부 수반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8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공존(위드 코로나)을 전제로 하는 감염대책으로 전환할 수는 없다”며 ‘위드 코로나’ 방역수칙 전환을 거부한다는 뜻을 나타냈다. 홍콩의 감염증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획득은 이미 현실적인 목표가 아니라면서, 코로나와 공존을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입법회(의회) 질의에서 이 같이 답변했다. 람 장관은 홍콩 정부가 코로나와의 공존을 전제로 한 2021-09-10 12:49
  • [NNA] 中 정부, 외자 네거티브 리스트 연내 공표
    [NNA] 中 정부, 외자 네거티브 리스트 연내 공표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8일 회견에서, 외국자본의 중국 투자와 관련해, 연말까지 새로운 네거티브 리스트(규제대상을 열거한 리스트, 그 이외는 자유)를 공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의 네거티브 리스트를 축소한다는 방침으로, 중국에 대한 투자를 더욱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류샤오난(劉小南) 국가발전개혁위 외자국장은 대외개방을 확대해 나가는 방향으로 리스트를 조정하고 있으며, 지난해 발표한 현행 리스트는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아울러 류 국장은 서비스업과 제조 2021-09-10 11:15
  • [NNA] 태국 신규감염자 1.4만명, 사망자 228명(8일)
    [NNA] 태국 신규감염자 1.4만명, 사망자 228명(8일) 태국 정부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예방센터(CCSA)는 8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감염자가 1만 4176명 확인됐다고 밝혔다. 3일 만에 1만 4000명대 이상을 기록했으나, 2만명을 돌파하던 절정기에 비하면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지역사회 감염자는 1만 3654명. 한편, 사망자는 228명으로 이틀 연속 200명을 넘어섰다. 감염자 중 1만 1940명은 의료기관 검사에서, 1714명은 역학조사에서, 506명은 형무소 및 구치소에서 확진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16명은 해외유입 사례. 지역사회 감염자를 2021-09-09 17:47
  • [NNA] 말레이시아 프로톤, 6~8월 신차판매 5354대
    [NNA] 말레이시아 프로톤, 6~8월 신차판매 5354대 말레이시아의 국민차 제조사 프로톤 홀딩스는 8일, 6~8월 신차판매대수(수출분 포함)가 5354대라고 밝혔다. 6월 1일부터 실시된 록다운(도시봉쇄) 조치의 영향으로, 최근 3개월간 엄혹한 시장환경이 조성됐다. 차종별 판매대수는 소형 세단 '사가’가 1645대로 최다. 세단 ‘페르소나’는 1091대, SUV 'X70’과 ‘X50’은 각각 790대, 764대를 판매했다. 소형 해치백 ‘아이리스’는 753대, MPV '엑조라’는 303대. 1~8월 판매대수는 전년동기 대 2021-09-09 17:03
  • [NNA] 한국 정부, ‘소부장’ 국산화 수준 한 눈에… 소부장넷 구축
    [NNA] 한국 정부, ‘소부장’ 국산화 수준 한 눈에… 소부장넷 구축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반도체 등 주요산업에 사용되는 소재·부품·장치에 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종합포털사이트를 ‘소부장.net(소부장넷)’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2019년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관리를 엄격화한 이후, 한국 정부는 소재·부품·장치의 국산화에 주력하고 있다. 소부장넷은 2020년 4월에 시행된 개정 소부장특별법에 따른 기존 사이트를 20년 만에 개편한 것으로, ◇정부의 관련정책 ◇기술평가 ◇통계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소부장넷 2021-09-09 15:21
  • [NNA] 캄보디아, 3일 연속 신규감염자 500명 넘어
    [NNA] 캄보디아, 3일 연속 신규감염자 500명 넘어 캄보디아 보건부는 7일 하루동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감염자가 596명 확인됐다고 밝혔다. 3일 연속으로 500명 이상의 신규감염자가 발생했다. 누적 감염자 수는 9만 6935명. 크메르타임즈(인터넷판)에 의하면, 177건이 해외유입 사례였다. 지역별로는 반테아이메안체이주가 181명으로 최다. 오다르메안체이주(151명), 캄퐁참주(72명), 캄퐁톰주(42명)가 그 뒤를 이었다. 새롭게 확인된 사망자 수는 6명이며, 누적 사망자 수는 1987명. 병원 등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감염자 수는 2926명. 2021-09-09 14:46
  • [NNA] 印 정부, 섬유제품 생산장려제도 예산 승인
    [NNA] 印 정부, 섬유제품 생산장려제도 예산 승인 인도 정부는 8일, 인공 섬유 및 산업용 섬유를 대상으로 한 생산진흥책 ‘생산연동형장려(PLI)제도’ 예산을 승인했다. 장려금 예산은 5년간 1068억 3000만루피(약 1600억엔)에 달한다. 대상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10억루피 이상 투자하는 기업에게 장려금이 지급된다. 인프라,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 위생관련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섬유와 인공 섬유 등 10종의 제품 생산에 장려금이 지급된다. 투자액에 따라 1, 2부로 참가 신청을 받는다. 1부는 공장, 기계, 설비, 토목 2021-09-09 14:13
  • [NNA] 印尼, 얀센과 칸시노 백신에 긴급사용 승인
    [NNA] 印尼, 얀센과 칸시노 백신에 긴급사용 승인 인도네시아 보건부 의약품식품감독청(BPOM)은 7일, 미국의 존슨앤존슨(J&J)과 중국의 칸시노 바이오로직스 백신의 긴급사용을 각각 승인했다. BPOM이 긴급사용허가를 낸 신종 코로나 백신은 총 9종으로 늘어났다. J&J의 얀센 백신과 칸시노 백신은 1회만 접종받으면 된다. 18세 이상이 접종 대상이다. BPOM에 의하면, 신종 코로나의 일반적인 증상을 억제하는 유효성은 얀센 백신이 67.2%, 칸시노 백신이 65.3%. 칸시노 백신의 부작용은 주사부위의 통증과 붓기, 두통, 권태감, 관절통, 근육통, 구 2021-09-09 13:32
  • [NNA] 홍콩 정부 회항이’ 전면 재개… 하루 6천명 이용가능
    [NNA] 홍콩 정부 회항이’ 전면 재개… 하루 6천명 이용가능 홍콩 정부는 8일, 홍콩신분증(ID카드) 보유자가 중국 본토나 마카오에서 입경 시, 강제검역(격리)을 면제받을 수 있는 ‘회항이(回港易, 리턴2hk) 제도를 전면 재개했다. 시행 초기는 선전(深圳)항과 강주아오(港珠澳)대교 등 두 곳의 육로검문소를 통한 입경자의 경우, 하루 각각 3000명과 2000명, 홍콩국제공항을 통한 입경자는 1000명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홍콩 정부는 본토 각지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다수 발생함에 따라, 지난달 5일부터 광둥(広東)성 이외의 지역에서 출 2021-09-09 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