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주중미상공회의소, 미중간 긴장이 최대 과제
    [NNA] 주중미상공회의소, '미중간 긴장이 최대 과제' 주중미상공회의소는 8일 2022년도 ‘중국 비지니스 환경조사 리포트’를 통해, 미중간 긴장고조와 중국 당국의 규제강화가 비지니스를 진행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중국은 미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장 중 하나이나, 불확실성 고조가 기업의 투자의욕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회원기업의 약 3분의 2는 중국을 ‘단기적인 글로벌 투자 1위 또는 상위 3위 내 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기업은 ‘2022년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 투자에 신 2022-03-09 12:55
  • [NNA] TSMC 공장 예정지, 오염제거 작업 70% 완료
    [NNA] TSMC 공장 예정지, 오염제거 작업 70% 완료 가오슝(高雄)시정부 공무국은 6일,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제조) 세계 최대 기업 TSMC(台湾積体電路製造)의 신규 공장 건설지인 가오슝 난쯔(楠梓)구의 타이완중유(台湾中油) 가오슝정유소 부지에 추진하고 있는 오염물질 제거작업과 관련해, 현재 3구역의 69.5%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당초 예정보다 약 10%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오염제거가 필요한 면적은 169.5헥타르로, 6개 구역으로 나뉘어 추진되고 있다. 공무국 관계자에 의하면, 당초 해당작업은 17년 걸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TSMC 신규공장 건설에 맞춰 2년 반으로 단축. 1월 2022-03-08 18:11
  • [NNA] 싱가포르거래소, 제재관련 상장기업 매매정지
    [NNA] 싱가포르거래소, 제재관련 상장기업 매매정지 싱가포르거래소(SGX)는 7일, 국제기구와 서방국가들의 러시아 제재부과와 연관이 있는 상장기업의 거래를 정지시켰다. 아울러 해당기업에 대해 관련 정보를 즉시 공시할 것과, 경영에 미치게 될 영향 등을 평가할 것도 의무화했다. 거래가 재개되기 위해서는 사업과 제재조치와의 연계가 단절됐다는 점을 싱가포르거래소에 보고하여야 하며, 제재가 해제될 경우에는 거래가 재개된다. 사업이 직접 제재에 관련되지 않은 상장기업도 리스크 관리 강화와 리스크 공시, 제재의 영향평가 등을 실시하도록 촉구했다. 싱가포르거래 2022-03-08 17:25
  • [NNA] 필리핀 통신사 컨버지, 동남아-홍콩간 해저케이블 부설
    [NNA] 필리핀 통신사 컨버지, 동남아-홍콩간 해저케이블 부설 필리핀 통신사 컨버지 ICT 솔루션즈는 7일, 동남아시아 4개국과 중국 하이난(海南)성, 홍콩을 연결하는 고속해저 케이블망 건설・보수계약을 3사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CMCC인프라스트럭쳐3, 말레이시아의 PP텔레커뮤니케이션, 중국의 차이나유니콤과 4일자로 계약을 체결했다. 규제당국의 승인이 나오는대로 발효된다. 동남아시아와 홍콩간 통신량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과 중국 하이난성, 홍콩을 최첨단 광케이블로 연결한다. 2022-03-08 16:17
  • [NNA] 印 푸네 메트로 1, 2호선 일부구간 개통
    [NNA] 印 푸네 메트로 1, 2호선 일부구간 개통 인도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푸네의 도시고속철도(메트로) 1호선과 2호선의 일부 구간이 6일 개통됐다. 양 노선의 총 연장은 33.2km. 개통식에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참석했다. 1호선(PCMC-스와게이트, 14개역, 17.5km)은 시를 남북으로, 2호선(바나즈-람와디, 16개역, 15.7km)은 동서로 연결한다. 이번에는 1호선은 PCMC-푸게와디, 2호선은 바나즈-가르웨아 구간이 개통됐다. 개통한 구간은 총 12km. 역 수는 총 10개역이며, 전부 지상역이다. 나머지 구간은 2023년 3월까지 개통될 예정이다. 1호선과 2호선의 건설은 중앙정부와 2022-03-08 15:46
  • [NNA] 印尼 발리, 관광객 도착비자 발급재개
    [NNA] 印尼 발리, 관광객 도착비자 발급재개 인도네시아 법무인권부 입국관리국은 발리섬에 입국하는 23개국의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도착비자(VOA) 발급을 7일부터 재개했다. 대상국은 일본, 싱가포르, 호주, 미국 등이며, 발급비용은 50만루피아(약 3990엔). 도착비자 유효기간은 30일간. 체류중 1회, 30일간 연장이 가능하다. 도착비자에서 다른 체류허가로의 전환은 불가능하다. 도착비자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여권 만료기간이 최저 6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하며, 귀국 항공편 또는 다른 국가로의 항공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긴급대책본부가 규정한 필요서류 등을 제시 2022-03-08 14:23
  • [NNA] 베트남 고속도로 요금징수 ETC화, 6월 전 차량 목표
    [NNA] 베트남 고속도로 요금징수 ETC화, 6월 전 차량 목표 베트남 교통부는 6월부터 고속도로 요금징수를 전면 전자요금징수시스템(ETC)으로 전환하기 위해, 관계기관에 ETC에 대응하는 전자식별표시 ‘E 태그’를 전 차량에 설치하도록 요청했다. 4일자 사이공타임즈가 이 같이 전했다. 교통부는 베트남도로총국에 대해서도 도로총국이 관리하는 차량과 직원들의 개인차량에 E 태그를 설치하도록 요청했으며, 6월부터 요금소 징수원 운용 폐지, 하노이 북부 하이퐁시 고속도로의 ETC 서비스 시범실시 등을 지시했다. 각 지방당국과 베트남등록국에 E 태그를 전 차량에 설치하도록 2022-03-08 13:47
  • [NNA] 홍콩 신규감염자 2.5만명… 8일 만에 3만명 밑돌아
    [NNA] 홍콩 신규감염자 2.5만명… 8일 만에 3만명 밑돌아 홍콩 정부 위생서 위생방호센터(CHP)는 7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감염자가 2만 5150명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중 해외유입 사례는 32명. 4일 연속 전날보다 감소하고 있으며, 2월 27일 이후 8일만에 3만명을 밑돌았다. 최근 24시간 동안 161명(29~102세)이 사망했다. 이 중 96명이 고령자・장애인시설 입주자. 사망자 수는 3일 연속 150명을 웃돌았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직전 24시간 사망자 수는 주로 공립병원에서 사망한 수로, 이와는 별도로 통계에 즉시 반영되지 않은 사망자가 연일 보고되고 있다. CHP에 의하면, 2022-03-08 12:34
  • [NNA] 中 국내감염 사례 214명… 2020년 3월 이후 최다
    [NNA] 中 국내감염 사례 214명… 2020년 3월 이후 최다 중국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7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감염자가 6일에 327명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중 중국 본토에서 감염된 ‘국내감염 사례’는 214명. 하루 기준 100명 이상의 감염자가 발생한 것은 3일 연속이며, 국내와 해외유입 사례를 분류해 발표하기 시작한 2020년 3월 4일 이후 하루 기준 최다를 경신했다. 이번 유행의 특징은 감염자가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으며, 감염자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무증상 국내 사례가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2020년 3월 4일 이후 국내 사례가 200명 이상 발생한 것은 이번 2022-03-08 09:54
  • [NNA] 태국 2월 CPI 5.28% 상승, 13년 만에 높은 수준
    [NNA] 태국 2월 CPI 5.28% 상승, 13년 만에 높은 수준 태국 상무부는 4일, 2022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430개 품목, 2019년=100, 속보치)가 104.10을 기록, 전년 동월 대비 5.28% 상승했다고 밝혔다. 2008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에너지 가격 등의 상승이 원인. 가격 변동폭이 큰 신선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1.80% 상승했다. 상무부 무역정책전략사무국(TPSO)은 2월 CPI가 상승한 이유에 대해, 29.22% 상승한 에너지 가격 급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아울러 식육, 달걀, 신선야채, 조미료 등 식품・음료가격 상승도 이어지고 있다. 식품・음료부문은 4 2022-03-07 18:04
  • [NNA] 싱가포르, 취업비자 취득요건 경제기여 기업에 완화
    [NNA] 싱가포르, 취업비자 취득요건 경제기여 기업에 완화 싱가포르 인재개발부는 4일, 싱가포르 경제에 대한 기여도 등 일정 요건을 갖춘 기업에 대해 중기능 숙련 노동자를 위한 취업비자(S패스) 및 단순 노동자를 위한 취업비자(워크퍼밋=WP)의 취득요건을 완화한다고 밝혔다. 경제성장을 촉진시키면서 동시에 외국인 고용정책을 재정립하는 ‘전략적 경제우선(M-SEP) 계획’의 일환이다.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도입된다. 전략적 경제우선 계획의 첫 번째 조치로, ‘싱가포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비지니 2022-03-07 17:22
  • [NNA] 말레이시아-태국・캄보디아 격리없는 입국, 15일부터
    [NNA] 말레이시아-태국・캄보디아 격리없는 입국, 15일부터 위 카 숑 말레이시아 교통부 장관은 5일 태국, 캄보디아를 각각 잇는 항공로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의 격리없는 입국을 허용하는 ‘백신 트래블 레인(VTL)’을 15일부터 도입한다고 밝혔다. 태국, 캄보디아와는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 총리가 지난달 하순 양국을 공식방문했을 때, 격리없는 왕복을 상호 허용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위 장관은 “신종 코로나 사태로 침체된 관광산업 부흥을 지원하게 될 뿐만 아니라, 양국의 경제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태국과 2022-03-07 16:12
  • [NNA] 미얀마 군부, 민주파 정부 각료 11명 국적 박탈
    [NNA] 미얀마 군부, 민주파 정부 각료 11명 국적 박탈 미얀마 군부는 4일, 민주파로 구성된 ‘국민통합정부(NUG)’의 조 와이 소 보건부 장관, 우 예 몬 국방부 장관 등 11명의 국적을 박탈했다고 밝혔다. 불법으로 나라를 떠나 미얀마의 국익을 훼손하는 활동에 관여한 점이 국적 박탈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국적 박탈의 대상이 된 사람은 조 와이 소 장관과 우 예 몬 장관을 비롯해, 르웬 코 랏 내무이민부 장관, 진 마 아웅 외무부 장관, 사사 국제협력부 장관, 아웅 이오 민 인권부 장관 등. 군부는 발표문에 각각의 부친명을 병기하는 방 2022-03-07 15:05
  • [NNA]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캄보디아의 대러 수출에 영향
    [NNA]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캄보디아의 대러 수출에 영향 캄보디아 상업부 세안 타이 차관은 3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캄보디아-러시아간 무역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이날 이 같이 전했다. 동 차관은 “현재까지 구체적인 규모는 명확하지 않지만, 러시아와의 무역에는 큰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상업부에 의하면, 2021년 캄보디아와 러시아의 무역액은 9418만달러(약 109억엔). 캄보디아는 5954만달러 상당의 제품을 수출하고, 3464만달러 상당을 수입했다. 캄보디아왕립아카데미(RAC)의 홍 와낙 경제애널 2022-03-07 14:17
  • [NNA] 호치민 주유소 판매제한, 시 인민위 조사 지시
    [NNA] 호치민 주유소 판매제한, 시 인민위 조사 지시 베트남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베트남 내에서 가솔린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주유소들이 판매량을 제한, 재고를 유지하면서 가솔린 소매가격이 오를 때를 기다리고 있다는 보고에 대해 상공부에 철저한 조사를 요청했다. 베트남 뉴스(VNS)가 3일 이 같이 전했다. 시 인민위원회는 석유제품 공급을 제한하는 등 판매사업자로서 책무를 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 벌칙을 부과하도록 상공부에 요청했다. 상공부는 위반이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경찰 등과 함께 호치민시의 석유제품 판매사 2022-03-07 13:29
  • [NNA] 홍콩우정, 7일부터 속달・소포업무 중단
    [NNA] 홍콩우정, 7일부터 속달・소포업무 중단 홍콩 우정(郵政)은 5일, 홍콩 역내 속달업무와 소포업무를 7일부터 중단한다고 밝혔다. “필요성이 높은 기본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자원을 집중시키기 위해”라고 설명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폭증에 따라, 기관 내 감염자 증가로 홍콩 우정은 일부 우편국을 폐쇄하는 등 서비스 축소에 내몰리고 있다. 폐쇄기간 우편국 및 업무축소에 관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나 핫라인(2921222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2-03-07 11:38
  • [NNA] 中 올해 GDP 5.5% 성장 목표
    [NNA] 中 올해 GDP 5.5% 성장 목표 중국 정부가 5일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를 전년 대비 5.5% 전후로 설정한 것과 관련해, 시장에서는 “다소 높은 목표”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경제 하방압력 가중과 함께, 비교대상이 되는 전년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는 점에서 5.5% 전후 성장을 실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펑파이(澎湃)신문 등에 의하면, 중국의 싱크탱크 즈신(植信)투자연구원 롄핑(連平)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2021년에 8.1% 성장을 달성했으나, 그 배경에는 2020년의 수치가 2022-03-07 10:15
  • [NNA] 대만, 대규모 정전에 일부 기업 피해
    [NNA] 대만, 대규모 정전에 일부 기업 피해 일부 대만 기업들이 3일 발생한 대규모 정전에 피해를 입은 것으로 밝혀졌다.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제조) 기업 UMC(聯華電子)와 액정패널 기업 AUO(友達光電), 이노룩스(群創光電) 등은 공장에서 정전과 전압저하 등이 발생했으나, 피해규모는 크지 않으며, 현재 공장설비 등은 서서히 복구중에 있다. 중앙통신사 등이 이 같이 전했다. UMC는 남부과학원구 공장에서 발생한 전압저하 사태에 대해, “통제가능한 범위 내”라는 입장을 밝혔다. 남부과학원구에서는 전압저하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했다. 현재는 공장 2022-03-04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