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캄보디아 주요 항만 지난해 수입 1.3억 달러로 확대 캄보디아 공공사업교통부는 지난해 국내 주요 두 곳의 항만 수입이 약 1억3000만 달러(약 174억 엔)에 달했다고 15일 밝혔다. 두 항만 모두 전년보다 증가했다. 경제회복에 따른 화물물동량의 순조로운 증가가 수익증대로 이어졌다. 16일자 현지 각 매체가 보도했다. 순 찬톨 공공사업교통부 장관에 따르면, 수도 프놈펜의 하천항인 프놈펜자치항(PPAP)의 2022년 화물물동량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약 420만톤, 항만수입은 17% 증가한 4000만 달러. 농산물과 의류의 수출확대가 수입증가로 이어졌다. 한 2023-02-17 17:19
-
[NNA] 印, 지난해 스카치위스키 수입량 세계 1위 영국 스코틀랜드의 스카치위스키협회(SWA)는 지난해 스카치위스키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인도라고 10일 밝혔다. SWA의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의 지난해 스카치위스키 수입량은 전년 대비 60% 증가한 2억1900만병(700㎖병 환산). 2위는 프랑스의 2억500만병. 수입액으로 인도는 전년 대비 93% 증가한 2억8200만 파운드(약 454억 엔)로 5위였다. 1위는 미국(10억5300만 파운드)이 차지했다. 스카치위스키는 인도와 영국의 자유무역협정(FTA) 교섭과정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부문 중 하나다. SWA는 “인도에 대 2023-02-17 16:28
-
[NNA] 印尼 자카르타, AI로 신호 최적화… 교통난 타개 나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특별주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호기 제어 최적화를 통해 교통정체 완화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현지 각 매체가 14일 보도했다. 자카르타특별주 교통국의 샤프린 국장에 따르면, 미국의 구글사와 협력해 지난해 말부터 ◇이맘 본졸 ◇디포네고로 ◇프로클라마시 ◇프라무카 ◇페무다 등의 거리에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구글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해 신호기 제어를 최적화, 교통정체 완화효과가 확인될 경우 대상지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샤프린 국장은 향후 주 내 교차로 20곳에 AI기 2023-02-17 15:06
-
[NNA] 베트남 부동산 시장 침체, 건설・건설자재 회사에까지 여파 베트남에서는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여파가 건설・건설자재 업계에까지 미치고 있다. 대형 부동산 개발사의 자금난으로 채권회수에 차질이 발생, 많은 건설사가 임직원 임금삭감에 나서는 등 경영난에 봉착하고 있다. 15일자 VN익스프레스 등이 보도했다. 호치민시 3구의 한 건설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자금난을 겪고 있으며, 관리직 급여 20~35% 삭감과 함께 직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일부 복리후생 지원비를 없앴다. 대형 건설사의 한 하청업체도 부실채권이 수천억(1000억 동=약 423만 달러, 5억6600만 엔) 규모로 증가했으며, 2023-02-17 13:38
-
[NNA] 홍콩 정부, 흥위엔와이검문소 주차요금 인상 홍콩 정부는 15일, 홍콩-중국 광둥(広東)성 선전(深圳) 간 새로운 육로검문소 흥위엔와이(香園圍)검문소의 주차장 요금을 24일부터 인상한다고 밝혔다. 17일부터는 이용을 위해 반드시 사전 온라인 예약을 해야한다. 주차장은 6일 동 검문소 가동 이후, 공간부족에 따른 극심한 혼잡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홍콩 정부에 의하면, 사전예약을 하지 않은 차량은 17일부터 주차장 출입을 할 수 없다. 예약접수가 중단된 전용사이트는 17일부터 운용이 재개된다. 주차요금은 1시간 요금이 9HK달러(약 153엔)에서 15HK달러로, 24시간 요 2023-02-17 11:49
-
[NNA] 무인양품, 상하이 신규매장… 자체농장 청과 판매 생활잡화브랜드 ‘MUJI(무인양품)’의 운영사 료우힌케이카쿠(良品計画)는 상하이(上海)시 푸둥신구(浦東新区)에 신규매장을 오픈한다. ‘식(食)과 농(農)’을 컨셉으로 한 매장으로, 기존 상품과 함께 자체 농장에서 기른 청과물 등을 판매한다. 신규매장은 푸둥신구의 상업시설 내 지하 1층에 위치한다. 매장면적은 약 2300㎡. 의류와 문구, 화장품, 일용품 등 푸둥신구의 자사농장 ‘MUJI 팜’에서 수확한 청과물도 판매한다. 매장 내에 병설된 레스토랑 ‘MUJI 다이너’에서는 수확한 청 2023-02-17 10:58
-
[NNA] 1월 방일 대만인 26만명… 전년 동월의 527배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올 1월 일본을 방문한 대만 관광객이 전년 동월의 약 527배인 25만9300명에 달했다고 15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입국규제의 완화 이후 관광객이 급증했다. 전월보다는 약 1.5배 증가했다.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동월 대비로는 33.1% 감소된 수준이다. 1월에 일본을 방문한 전체 외국인 수는 전년 동월의 약 84.3배인 149만 7300명. 2019년 동월 대비로는 44.3% 감소된 수치다. 대만과 일본이 지난해 10월부터 실시한 입국규제를 완화조치와 춘제 연휴로 방일 대만인이 크게 증가했다. 2023-02-16 18:52
-
[NNA] 태국 정부, 6월부터 외국인에 관광세 부과 태국 정부는 14일 외국인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관광세 징수안을 각의에서 통과시켰다. 세액은 입국경로에 따라 다르며, 항공로를 이용한 입국자는 300바트(약 1170엔)를 납부해야 한다. 6월부터 실시될 전망. 방콕포스트가 15일 보도했다. 피팟 랏차낏쁘라깐 관광체육부 장관에 따르면, 관광세 징수는 6월 1일부터 실시될 전망이다. 대상은 여권을 사용하는 외국인여행자이며 입국 시 징수된다. 해로와 육로를 통한 입국 세액은 150바트. 노동허가증을 소지한 외국인과 당일여행자는 납부가 면제된다. 다만 시스템 사정에 따라 노 2023-02-16 18:16
-
[NNA] 동남아시아 방일자 수, 2개월 연속 20만명 돌파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지난달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주요 6개국에서 일본을 방문한 여행자 수가 22만 1000명(추계치)이었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90배 늘었다. 전월보다는 감소했으나, 2개월 연속 20만명을 넘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인 2019년 동월 대비 약 90% 수준까지 회복됐다. 베트남과 싱가포르는 2019년 동월 수준을 웃돌았다. 방일자 수가 가장 많았던 국가는 태국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8배인 6만3400명. 일본 정부의 신종 코로나 관련 입국규제 완화 등으로 2019년 2023-02-16 17:33
-
[NNA] 메르세데스, 고급 EV 세단 말레이시아 생산 개시 메르세데스 벤츠 말레이시아(MBM)는 파항주 페칸 공장에서 전기자동차(EV) 모델의 고급 세단 ‘EQS’의 현지생산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부품을 수입해 현지에서 조립하는 완전 녹다운(CKD) 방식으로 제조된 ‘EQS500 4MATIC’은 올 3월 중순에 출시된다. 가격은 64만8888링깃(약 1980만 엔, 보험료 불포함). AC와 DC방식 모두 충전이 가능하며, DC급속충전설비를 이용하면 10%에서 80%까지 충전이 불과 31분 만에 가능하다. 항속거리는 696km. 텐쿠 자흐룰 텐쿠 압둘 아지즈 무역산업부 장관은 페칸 공장 생 2023-02-16 16:19
-
[NNA] 캄보디아 1월 무역 29% 감소… 주력인 의류 등이 부진 캄보디아 관세소비세총국(GDCE)은 올 1월 무역총액이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한 34억 달러(약 4533억 엔)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출입 모두 두 자릿 수로 감소했다. 눈에 띄는 것은 외화획득원인 ‘의류, 신발, 여행용품(GFT)’의 부진으로, 마이너스 폭이 약 30%에 달했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14일 전했다. 무역총액 중 수출은 14% 감소한 15억 달러, 수입은 37.5% 감소한 19억 달러. 최대수출상대국인 미국에 대한 수출이 5억6200만 달러로 23% 감소했다. 수입상대국으로는 중국이 8억9100만 달러로 1위를 2023-02-16 15:13
-
[NNA] 英 버진애틀랜틱, 파키스탄 노선 운휴 영국 버진애틀랜틱항공은 13일, 런던-파키스탄 라호르, 이슬라마바드 두 도시를 잇는 노선의 운항을 운휴한다고 밝혔다. 노선망 전체에 대한 재편작업의 일환이다. 버진애틀랜틱은 2020년 12월 두 노선 운항을 개시했으며, 여객편과 함께 의약품 등 화물노선도 운항됐다. 버진애틀랜틱은 이번 운항 휴지에 대해, “매우 어려운 결단”이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종편 운항은 런던발 라호르 도착이 4월 30일, 이슬라마바드 도착이 7월 8일이며, 귀국편은 모두 다음날 운항된다. 운항 휴지에 따른 영향이 있을 경우, 버진 2023-02-16 14:04
-
[NNA] 日 정부, 印尼에 코로나 이후 경제지원 300억 엔 일본 외무성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위기대응 지원을 위해 인도네시아에 300억 엔을 한도로 하는 엔 차관을 공여한다고 14일 밝혔다. 카나스기 켄지(金杉憲治) 주인도네시아 일본대사와 인도네시아 외교부 동아시아국장이 이날 수도 자카르타에서 교환공문에 서명했다. 이번 엔 차관은 아시아개발은행(ADB) 및 독일부흥금융공사(KfW), 한국수출입은행과의 협조융자에 따른 재정지원으로, 인도네시아 민간부문의 투자촉진, 코로나 이후 사회경제 회복과 안정,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공여조건은 금리 0. 2023-02-16 13:18
-
[NNA] 베트남 SNS Zalo 주식, 11영업일 연속 상한가 베트남의 SNS ‘잘로(Zalo)’를 운영하는 VNG코퍼레이션의 주가가 미상장주식 공식거래시장 ‘UPCoM’에서 거래가 개시된 2월 1일 이후 11영업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15일 종가는 1주당 135만8700동(약 57달러, 약 7650엔). 2000년 호치민증권거래소(HOSE)가 개설된 이래, 베트남 시장에서 주당 가격이 100만동 이상인 종목은 없었으며, 연일 역대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VNG의 주식은 올 1월 5일 UPCoM에 등록되었으며, 한동안 거래가 없었으나 2월 들어 매매가 시작됐다. 공개가격은 주당 24만 동이 2023-02-16 12:09
-
[NNA] 캐세이퍼시픽 지난달 여객 100만명 돌파… 코로나 이후 처음 홍콩 최대 항공사 캐세이퍼시픽항공(国泰航空)이 15일 발표한 1월 수송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여객수가 연인원 103만1893명에 달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전년 동월 대비 약 42배, 전월 대비 28.8% 증가했다. 하루 여객수는 3만3000명을 웃도는 등 전월(2만6000명)보다 확대됐다. 여객수송능력도 전월보다 18% 증강됐다. 라비니아 라우(劉凱詩) 최고고객상무책임자(COO)는 “1월 8일 홍콩-중국 본토 간 격리없는 왕래가 재개된 이후 본토로 향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 2023-02-16 11:20
-
[NNA] 미쓰이부동산, 타이베이에 호텔 착공 일본 미쓰이(三井)부동산은 14일, 타이베이(台北)시 쑹산(松山)구에 호텔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2026년에 운영이 개시될 전망이다. 미쓰이부동산이 대만에서 운영하는 두 번째 호텔이 된다. 쑹산구 둔화베이루(敦化北路)의 타이베이 지하철 원후(文湖)선 쑹산공항역(松山機場駅)에서 도보로 6분 거리의 장소에 착공했다. 지상 14층, 지하 3층의 건물에 객실수는 약 185실. 호텔명은 아직 미정이며, 호텔브랜드는 첫 번째 호텔과 같은 ‘미쓰이가든호텔’이다. 건물은 대만의 부동산기업 캐세이 리얼 이스테이트 디벨로 2023-02-15 19:02
-
[NNA] 日 IT기업, 태국에서 전동 오토바이 실증연구 일본의 소프트웨어 개발사 이그리드는 14일, 태국 방콕에서 실시하는 전동 오토바이 소비 에너지에 관한 이그리드의 실증연구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가 공모하는 ‘에너지 소비 효율화 등에 기여하는 태국기술 국제실증사업’의 실증요건 적합성 등의 조사에 채택됐다고 밝혔다. 통신서비스를 통해 자동차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는 이그리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일본의 내추럴닉스가 제공하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와 EV 충전소를 연계, 운전자의 운전습관 등을 분석, 개선해 EV 오토바이의 에너지 2023-02-15 18:37
-
[NNA] 싱가포르, 법인세 신설… 부동산・담배세 인상 로랜스 웡 싱가포르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은 세제개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국제적인 법인세 과세규정을 계기로 새로운 세제를 도입하며, 부동산 매수자 인지세(BSD), 자동차 추가등록료(ARF), 담배세 등의 인상에 나선다. 2023년도(2023년 4월~2024년 3월) 예산안을 발표한 14일 이 같이 밝혔다. 법인세 관련해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이 최저세율을 설정하는 ‘글로벌 최저한세’에 대해 다국적 기업이 최저로 부담하는 세율을 15%로 하는 방안에 대해 합의한 바 있다. 이번에 싱가포르 정부는 국내에 거점 2023-02-15 1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