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미얀마, 러시아산 석유제품 위안화로 결제 사진=게티이미지 칸 조 미얀마 투자대외경제관계부 장관은 현재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는 석유제품 대금을 중국 위안화로 결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영지 글로벌 뉴 라이트 오브 미얀마가 12일 보도했다. 칸 조 장관은 현재 러시아 석유제품 대금 결제에 러시아 루블화가 아닌 중국 위안화를 사용하고 있으나, 미얀마 통화 짯과 루블의 직접결제를 위한 합의가 조만간 체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르면 10월부터 러시아의 전자결제 시스템 ‘미르’의 수용을 개시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관광분야 합의 체결도 예정하고 2023-09-14 17:24
-
[NNA] KT&G, 印尼에 신공장 설립 KT&G가 인도네시아 투자부와 인도네시아 동자바 주에 수출 전초기지인 신공장 건설에 대한 투자지원서를 제공받는 협약식을 진행했다. 사진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에 위치한 KT&G 인도네시아 공장 전경. (사진=KT&G 홈페이지) KT&G는 인도네시아 공장설립에 관한 투자지원서를 제공받는 협약을 인도네시아 투자부와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동자바주에 수출거점이 되는 신공장을 설립한다. ■ 아세안 수출거점으로 신공장은 2026년 가동될 예정이며, 투자액 등 상세한 사항은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2023-09-14 16:09
-
[NNA] 캄보디아 1~8월 정미 40만톤 수출 사진=게티이미지 캄보디아 쌀 연맹(CRF)은 올해 1~8월 정미(精米) 수출량이 40만 1699톤이라고 발표했다. 수출액은 2억 7860만 달러(약 408억 엔). 크메르 타임즈(온라인판)가 보도했다. 수출대상 국가・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에 대해 전체의 36%인 14만 3818톤(수출액 9160만 달러)을 수출했으며, 유럽연합(EU)에 16만 4682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에 3만 6692톤을 출하했다. 1~8월은 56개국・지역에 향미(香米), 장립백미(長粒白米), 파보일드 라이스, 유기미(有機米) 등을 수출했다.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최 2023-09-14 15:37
-
[NNA] 印尼 쌀 비축, 내년은 中에서 수입도 검토 식량조달공사의 비축미 창고를 시찰하고 있는 조코 대통령(오른쪽에서 두 번째) (사진=인도네시아 대통령궁 제공)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엘리뇨 현상에 따른 쌀 흉작과 가격상승 대비를 위한 비축미 확보와 관련해 내년은 중국에서 쌀을 수입하는 방안도 검토해 보겠다는 뜻을 11일 밝혔다. 조코 대통령은 이날 서자바주 보고르의 식량조달공사(Bulog)의 비축미 창고를 시찰하면서, 현재 160만톤의 비축미가 확보되어 있으며 추가로 40만톤을 수송중이라고 밝혔다. 예년의 비축량 120만톤보다 많은 양을 확보한 상태라 2023-09-14 14:53
-
[NNA] 베트남, '시장경제국' 조속한 지정 美에 요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회담하는 팜 민 찐 베트남 총리(오른쪽) (사진=베트남 정부 공식 홈페이지)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11일 하노이에서 실시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베트남을 시장경제국가로 조속히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전날 응우옌 푸 쫑 서기장과 바이든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서 양국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격상하는데 합의한 것과 관련해 찐 총리는 “경제, 무역, 투자협력은 양국관계의 영원한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서도 시장경제국가로 지정 2023-09-14 14:15
-
[NNA] 홍콩정부, 日 오염수 관련 검사 전량 '합격' 사진=게티이미지 일본 도쿄(東京)전력은 일본 시간 11일 정오에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오염수 1차 방류분 방출을 완료했다. 지난달 24일 개시된 방출 기간 중 홍콩정부가 일본산 식품 등에 대해 실시한 방사선 검사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검출되지 않았다. 홍콩정부는 8월 24일부터 도쿄, 후쿠시마, 치바(千葉), 도치기(栃木), 이바라키(茨城), 군마(群馬), 미야기(宮城), 니가타(新潟), 나가노(長野), 사이타마(埼玉) 등 10도현을 산지로 하는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이와 함께 10도현 이외의 지역에서 수입된 식품에 대 2023-09-14 13:39
-
[NNA] 中 리튬이온배터리 회수능력, 2028년에 3배 이상 확대 사진=게티이미지 중국에서 전기차(EV) 등에 탑재되는 리튬이온배터리를 회수해 재이용하려는 노력이 한층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신에너지차(NEV)’ 관련 연구를 실시하는 EV 탱크에 따르면, 처리능력은 2028년에 809만 3000톤에 달해 현재보다 3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배터리 회수 사업을 하고 있는 8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회수처리능력은 2023년 7월 기준으로 248만 4000톤. 내역은 재이용이 94만 2000톤, 회수・분해가 154만 1000톤. 폐리튬이온배터리를 회수하는 기업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3-09-14 11:43
-
[NNA] 대만 총통선거 여론조사, 라이 부총통이 선두 사진=게티이미지 대만 온라인 매체 미려도전자보(美麗島電子報)가 8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내년 1월의 대만 총통 선거에서 누구를 지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여당 민주진보당(민진당) 후보 라이칭더(頼清徳) 부총통의 지지율이 38.8%로 선두를 차지했다. 2위인 최대 야당 국민당 소속 허우요이(侯友宜) 신베이(新竹) 시장과는 18%포인트 차이가 났다. 조사는 9울 5~7일 전화로 실시됐으며, 20세 이상 1201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라이 부총통과 허우 시장, 대만 민중당 주석 커원저(柯文哲) 전 타이베이(台北) 시장 2023-09-14 11:08
-
[NNA] 日 상선미쓰이, 쉘 마린과 탈탄소화 추진 협력하기로 업무협약 서명식 모습. (사진=상선미쓰이 제공) 상선미쓰이(商船三井)는 영국 석유회사 쉘 산하의 쉘 마린 프로덕츠 싱가포르와 해운분야 온실가스 배출 삭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의 노하우를 활용하고 청정 선박연료에 관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상선미쓰이그룹은 경영계획의 중점전략 중 하나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실질 0으로 하는 ‘넷 제로’ 달성을 목표로 한다는 환경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쉘 마린과의 협업을 통해 바이오 연료와 합성 연료(e-fuel) 등과 같은 청정 선박연료 이용을 위 2023-09-13 18:35
-
[NNA] 야마하, 말레이시아 교육부 키보드 수업에 협력 야마하 뮤직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 교육부가 추진하는 키보드를 활용한 음악교육 시범사업에 협력한다. (사진=야마하 제공) 야마하는 말레이시아의 자회사가 말레이시아 교육부가 추진하는 키보드를 활용한 음악교육 시범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2027년 국정 교육과정 개정 시 정식도입 위해 이달부터 시범수업이 개시됐다. 시범수업은 공립 초등학교 11개교의 3, 4학년을 대상으로 올 8~11월과 내년 5~11월에 실시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2017년 과외활동 선택 프로그램 중 하나로 키보드가 채택된 이후, 현재 1 2023-09-13 17:26
-
[NNA] 국경도로 통행재개 후에도 미얀마 물가 계속 올라 사진=게티이미지 미얀마와 태국 간 국경무역도로 통행이 지난달 말 재개됐다. 차량 수송량도 평소 수준을 회복했지만, 최대 도시 양곤의 수입품 가격은 여전히 높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국영지 글로벌 뉴 라이트 오브 미얀마가 8일 보도했다. 통행이 재개된 구역은 아시아 하이웨이의 일부인 미야와디-꼬까레익 구간. 호우에 따른 토사 붕괴로 8월 초부터 통행이 금지됐으나, 8월 말부터 수송트럭의 통행이 재개됐다. 양곤 산차웅 군구의 주민에 따르면, 수입식품 가격은 국경무역도로 재개 후인 9월 들어서도 전혀 떨어질 2023-09-13 16:11
-
[NNA] 日-캄보디아 정상회담 개최… 양국 협력 등 논의 사진=캄보디아 정부 페이스북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7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간 협력 강화 등에 대해 협의했다. 회담은 7일까지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아세안 정상회담 계기에 개최됐다. 기시다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훈 마넷 신임 총리의 취임을 축하하는 동시에, 양국 간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법의 지배에 따른 자유롭고 열린 국제사회의 질서 강화를 위해 협력해 나가자는 뜻을 전했다. 훈 마넷 총리는 캄보디아의 평화, 부흥, 2023-09-13 15:22
-
[NNA] 印 PEWIN, 남부 공장에 30억 루피 투입 사진=파나소닉 페이스북 콘센트, 스위치 등 배선기구를 제조, 판매하는 파나소닉 일렉트릭 웍스 인도(PEWIN)는 인도의 안드라프라데쉬주 스리시티 공장의 생산능력을 증강하기 위해 향후 5년간 30억 루피(약 53억 엔)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남부시장에 대한 공급능력 확대가 주요 목적이며, 중동, 동부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수출기지 역할도 염두에 둔 조치다. 파나소닉그룹의 관계자가 11일 NNA에 밝혔다. 동 관계자에 따르면, 스리시티 공장은 배선기구를 제조하는 공장이며, 건설비 포함 약 30억 루피가 이미 투입됐다. 이번 3 2023-09-13 14:08
-
[NNA] 印尼 수도권 LRT, 하루 평균 승객 3만명 넘어 사진=LRT 자카르타 홈페이지 인도네시아 교통부는 지난달 28일 개통된 자카르타 수도권의 경량궤도교통(LRT) 승객수가 9월 6일까지 33만 1947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개통 후 10일간 하루 평균 승객수 3만명 이상을 기록했다. 부디 카르마 수마디 교통부 장관은 지난 7월, 최소 약 14만명의 시민이 앞으로 자가용 대신 LRT를 이용하게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시민들의 이용 촉진을 위해 9월 말까지 최고 2만 7400루피아(약 261엔)의 운임을 일률 5000루피아로 설정해 운영한다. 2023-09-13 13:31
-
[NNA] 베트남 상공부 차관, "삼성전자 신제품, 베트남 수출 회복에 기여할 것" 사진=삼성전자 베트남 홈페이지 도 탕 하이 베트남 상공부 차관은 9일 실시된 정례회견에서 삼성전자의 신제품이 베트남 수출 회복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뚜오이째 온라인판이 이날 보도했다. 하이 차관은 세계경제는 앞날을 예측하기 어렵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공급망 혼란과 일부 제품 급등이 초래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베트남의 수출은 5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연말까지 수출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특히 삼성전자의 신제품 덕분에 수출이 확대될 것으 2023-09-13 13:01
-
[NNA] 홍콩 디즈니랜드 '겨울왕국' 테마존, 11월 20일 오픈 사진=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홈페이지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는 인기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 시리즈의 테마존 ‘월드 오브 프로즌(魔雪奇縁世界)’을 11월 20일 오픈한다고 8일 밝혔다. 세계적으로 동 작품의 테마존이 설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 작품의 무대인 아렌델 왕국을 재현한다. 보트 라이드 ‘프로즌 에버 애프터(魔雪奇幻之旅)’와 롤러코스터 ‘원더링 오큰즈 슬라이딩 슬레이(雪嶺滑雪橇)’ 등의 놀이기구가 설치된다. 마이클 모리아티 홍콩 디즈니랜드 2023-09-13 12:39
-
[NNA] 中 선박용 강재 수요량, 올해 역대 최고 사진=중국선박공업협회 홈페이지 중국선박공업협회(中国船舶工业行业协会)는 선박건조에 사용되는 강재(鋼材)의 올해 수요량이 역대 최고인 1300만톤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박용 강재의 올 상반기 수요량은 약 700만톤. 협회는 조선기업의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가 증가함에 따라 하이엔드 강재의 수요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현재는 선박건조에 사용되는 각종 강재의 95%가 중국산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조선업계는 올해 실적이 좋다. 1~7월의 신규 수주량은 중량톤수(DWT) 기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4476 2023-09-13 11:55
-
[NNA] 미키하우스, 타이베이에 해외 5번째 직영점 오픈 미키쇼코 타이베이시 쇼핑몰 벨라비타에 오픈한 직영점 (사진=미키쇼코 제공) ‘미키하우스’ 브랜드의 유아복을 판매하는 일본의 미키쇼코(三起商行)는 대만 타이베이(台北)시에 해외 5번째 직영점을 오픈했다. 최고급 라인의 상품군을 판매하는 플래그십스토어를 통해 4월 전액 출자로 설립한 현지법인과 함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미키쇼코는 8월 말 기준 해외 16개국・지역에 98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나, 현지 협력업체를 통한 대리점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타이베이시 직영점은 런던, 파리, 상하 2023-09-12 1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