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中 경제학자, 비야디 필두로 올해 NEV 시장 '전국시대' 돌입 중국 저명 경제학자 런쩌핑(任澤平)은 ‘신에너지차(NEV)’ 시장 상위그룹을 둘러싸고 향후 새로운 경쟁국면이 형성될 것으로 29일 전망했다. 올해는 비야디(比亜迪)를 필두로 신흥그룹과 기존 거대 자동차그룹이 선두를 거세게 추격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비야디를 필두로 NIO(上海蔚来汽車), Li 오토(理想汽車), Xpeng(広州小鵬汽車科技) 등 신흥 3사, 광저우(広州)자동차그룹 산하의 AION(広汽埃安新能源汽車), 상하이(上海)자동차그룹, 창안(長安)자동차그룹, 창청(長城)자동차, 지리(吉利)자동차 등 기존 5사가 2024-01-31 18:14
-
[NNA] 캄보디아 중앙은행 총재, 올해 성장률 6.4% 예측 사진=게티이미지 캄보디아국립은행(중앙은행) 찌어 세레이 총재는 26일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6.4%로 전망했다. 크메르 타임즈(온라인)가 28일 보도했다. 찌어 총재는 캄보디아국립은행 연차회의에서 관광산업과 제조업이 올해 경제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성장률에 대해서는 5.5%라고 보고했다. 아울러 찌어 총재는 올해 캄보디아 경제가 직면하게 될 외부 리스크로 국제무역・투자의 침체 및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제시했다. 내부 리스크로는 해외의 투자축소에 따른 건설・부동산 분야 회복 지연 2024-01-31 17:39
-
[NNA] 베트남 쯔엉드엉음료 3년 연속 적자… 상장폐지? 구 남베트남 최대 음료기업인 쯔엉드엉음료(종목코드=SCD)가 최근 발표한 결산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세후손실(순손실)이 1190억 동(약 484만 2300달러, 7억 1700만 엔)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부터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해 증권법 규정상 상장폐지가 될 가능성도 있다. 베트남외자기업협회(VAFIE)의 온라인 미디어 ‘인베스터’가 26일 보도했다. 2023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5.4% 감소한 1260억 동. 쯔엉드엉은 2021년에 355억 9400만 동, 2022년에 486억 8500만 동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적 2024-01-31 16:02
-
[NNA] 에어재팬, 4월 싱가포르-나리타 노선 취항 ANA홀딩스 산하 에어재팬은 일본 나리타(成田)-싱가포르 노선을 4월 26일 취항한다. 2월 신브랜드 출범 이후 태국 방콕과 서울에 이어 세 번째로 취항하는 노선이다. 싱가포르행은 화, 수요일을 제외한 주 5편을 운항한다. 나리타를 오후 5시 35분에 출발해 싱가포르에 오후 11시 55분에 도착한다. 나리타행은 수요일과 목요일을 제외한 주 5편이 운항되며, 싱가포르를 오전 0시 55분 출발해 나리타에 오전 9시 10분에 도착한다. 투입되는 기종은 4월에 공급될 예정인 미국 보잉사의 ‘B787-8’. 324석 전석이 이코노미 2024-01-31 14:16
-
[NNA] 필리핀 민다나오-비사야 송전망 본격 가동 필리핀전국송전사(NGCP)는 중부 비사야와 남부 민다나오를 연결하는 송전망이 본격 가동됐다고 26일 밝혔다. 북부 루손을 포함한 주요 세 지역의 송전망 연결로 최대 송전 용량은 90만kW까지 확대된다. ‘민다나오-비사야 상호 연결 프로젝트(MVIP)’는 지난해 4월 일부 가동됐다. 지난해 3분기에 풀가동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송전선 부설 용지를 둘러싸고 문제가 발생, 계속 지연됐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26일 대통령궁에서 개최된 기념식에 참석해 올 초 중부 파나이섬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에 대해 언 2024-01-31 13:41
-
[NNA] 캄보디아 지난해 무역총액, 1.9% 감소한 468억 달러 캄보디아 관세소비세총국(GDCE)에 따르면, 지난해 캄보디아의 무역총액이 전년 대비 1.9% 감소한 468억 2803만 달러(약 6조 9100억 엔)로 역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전년 대비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으나, 수입이 부진했다. 수출액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226억 4499만 달러, 수입액은 5.0% 감소한 241억 8304만 달러. 무역수지는 15억 3805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최대 무역대상국은 중국으로, 무역액은 5.0% 증가한 122억 6483만 달러. 수출이 19.2% 증가한 14억 7874만 달러, 수입이 3.3% 증가한 107억 8 2024-01-31 11:40
-
[NNA] 印 올라, 전동 이륜 택시 사업 본격화 인도 배차 서비스 기업 올라는 북부 델리와 남부 하이데라바드에서 전동 이륜 택시 사업에 본격 돌입한다고 26일 밝혔다. 올라는 지난해 9월부터 전동 이륜 택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벵갈루루에 대해서도 사업규모를 확대하는 등 향후 2개월간 세 도시에 총 1만대의 전동 이륜 택시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며, 연내에 사업규모를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올라는 국내 최대 전동 이륜 택시 운용사업자가 될 전망이다. 전동 이륜 택시의 운임은 주행거리 5km에 25루피(약 44.6엔), 10km에 50루피, 15km에 75루피로 2024-01-31 10:39
-
[NNA] 대만 지난달 경기지수, 전월과 같은 '20' 대만 국가발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경기개황 종합판단지수가 전월과 같은 20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2022년 8월(2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기신호도 11월과 같은 안정과 침체 사이를 의미하는 ‘황청색’을 기록했다. 종합판단지수를 구성하는 9개 항목 중 ‘주가지수’는 3개월 연속 번영을 의미하는 ‘적색’을 기록했으며,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는 8개월 연속 안정을 의미하는 ‘녹색’을 유지했다. ‘수출액’은 첨단 테크놀로지 응용 수 2024-01-30 18:23
-
[NNA] 美 반도체 15사, 80억 달러 베트남 투자 사진=베트남 총리실 홈페이지 호세 페르난데스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경제성장, 에너지, 환경 담당)은 26일 방문지인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의 반도체 기업 15사가 베트남에 총액 80억 달러(약 1조 1900억 엔)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외자기업협회(VAFIE)의 온라인 미디어 ‘인베스터’가 26일 보도했다. 15사는 자체 사업에 사용하는 전력을 전량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점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신재생에너지 전원의 개발추진을 기대하고 있다. 페르 2024-01-30 17:07
-
[NNA] 印尼 최대 택시업체, 지난해 CO₂ 배출량 2.7만톤 삭감 인도네시아 최대 택시기업 블루버드는 지난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만 7000톤 이상 삭감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발표했다.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 삭감하는 목표달성을 위해 전기자동차(EV)와 압축천연가스(CNG) 차량의 사용 및 태양광 발전 패널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배출량 삭감 내역은 EV 200대 도입을 통해 2600톤, CNG 차량 도입으로 2만 4800톤, 태양광 발전 패널 설치로 48.3톤. 이 밖에 사원 및 택시기사들에게 본인이 사용할 컵을 의무적으로 소지하도록 해 연간 100만톤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는데 성공 2024-01-30 16:23
-
[NNA] 홍콩 외환기금, 지난해 2127억 달러 흑자 사진=홍콩금융관리국 홈페이지 홍콩금융관리국(HKMA)은 지난해 외환기금 운용실적이 2127억 HK달러(약 4조 300억 엔) 흑자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전년의 2054억 HK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흑자를 기록한 것은 2년 만이다. 자산별로는 채권이 1440억 HK달러 흑자로 운용이익 역대 최고액을 기록했다. 홍콩 이외의 주식은 732억 HK달러 흑자. 한편 홍콩 주식은 155억 HK달러, 외환은 5억 HK달러 적자를 각각 기록했다. 2023년 말 기준 총 자산액은 4조 178억 HK달러로, 전년 말보다 98억 HK달러 증가했다. 누계 운 2024-01-30 15:41
-
[NNA] 中 진출 日 기업 구인 수, 전년 대비 -16% 일본 리쿠르트그룹의 중국법인(上海艾杰飛人才管理諮詢)은 지난해 4분기 중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으로부터 위탁받은 구인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고 밝혔다. 8분기 연속 전년 동기보다 감소했다. 리쿠르트 중국법인은 “중국경제의 현재 키워드인 수요부족 문제가 일본 기업의 인력 채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9년 4분기 구인 수를 100으로 했을 때, 2023년 4분기 구인 수는 63까지 하락했다. 지구별 구인 수는 화둥(華南)지구(상하이・장쑤성・저장성)가 전년 동기 대비 15%, 화난(華南) 2024-01-30 14:13
-
[NNA] 대만 어드밴텍, 말레이시아에 신거점 설립 대만의 산업용 컴퓨터 기업 어드밴텍(研華科技)은 말레이시아 페낭주에 신거점을 개설했다고 24일 밝혔다. 중국 이외의 국가・지역에 생산거점을 분산시키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 실현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신거점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기업의 프로젝트 통합과 기술에 관한 컨설팅 서비스를 비롯해 제픔 조립과 수리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어드밴텍에 따르면, 베트남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리멕스 산하 피아컴과 어드밴텍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조합한 솔루션 ‘솔루션 레디 패 2024-01-30 13:18
-
[NNA] 싱가포르 창이공항 2023년 이용자 수 5890만명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2023년 이용자 수는 5890만명으로 전년의 3220만명에서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인 2019년의 86% 수준까지 회복했다. 동 공항을 운영하는 창이 에어포트 그룹(CAG)에 따르면, 전년에 이어 2023년도 전 노선의 이용자 수가 증가했다. 북미노선은 코로나 사태 이전을 25% 웃돌았다. 남아시아, 서남태평양, 유럽 노선은 코로나 사태 이전의 90% 이상 수준까지 회복했다. 동북아시아 노선은 중국 노선 여객 수의 회복으로 전년보다 4배 이상으로, 동남아시아 노선은 70% 이상 2024-01-30 11:58
-
[NNA] 홍콩 지난해 수출액 7.8% 감소… 2년 연속 마이너스 홍콩정부 통계처는 홍콩의 2023년 수출액이 전년 대비 7.8% 감소한 4조 1774억 500만 HK달러(약 78조 9200억 엔)라고 25일 밝혔다.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감소폭은 전년보다 축소됐으나, 최대 수출대상지역인 중국 본토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에 대한 수출이 여전히 부진했다. 본토에 대한 수출액은 9.7% 감소한 2조 3203억 6800만 HK달러. 2위 미국은 6.9% 감소한 2724억 7600만 HK달러. 일본은 7위로 17.7% 감소한 843억 9800만 HK달러를 기록, 감소폭이 주요 수출대상지역 중 최대였다. 주요 수출대상지역 중 플러 2024-01-29 18:38
-
[NNA] 日 KDDI・스미토모상사, 미얀마 사업 지속의지 표명 사진=게티이미지 미얀마의 최대 통신사를 지원하고 있는 일본의 KDDI와 스미토모(住友)상사는 성명을 통해 미얀마 사업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23일 밝혔다. 국제적인 규범을 존중하는 기업으로서 “미얀마에 머물면서 책임있는 행동을 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KDDI와 스미토모상사는 2014년부터 국영 미얀마우전공사(MPT)와 공동으로 미얀마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 이후에도 MPT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고 있는 KDDI와 스미토모상사에 대해 국제인권단체와 미얀마 민주파 시민들은 2024-01-29 17:43
-
[NNA] 캄보디아에서 네 번째 엠폭스 감염자 확인 캄보디아 보건부는 엠폭스(원숭이두창) 신규감염자 1명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캄보디아에서 확인된 엠폭스 감염자는 4명으로 늘었다. 크메르 타임즈(온라인)가 24일 보도헀다. 국립공중위생연구소가 신규감염자를 확인했다고 23일 보고했다. 신규감염자는 남성이며, 24일 기준으로 입원중에 있다. 어느 의료시설에 입원했는지는 공표되지 않았다. 보건부는 이번 신규감염자 발생을 계기로 재차 철저한 감염방지책 이행을 당부했다. 캄보디아에서는 지난해 12월 엠폭스 최초 감염자가 확인됐다. 프놈펜에 거주하는 28세 남성이며 2024-01-29 16:43
-
[NNA] 中 국산 여객기 'C919' 증산에 수백억 위안 투입 중국 국유 항공기 제조사 COMAC(中国商用飛機)은 중국 최초 국산 중형 제트여객기 ‘C919’의 생산체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향후 3~5년간 수백억 위안(1위안=20.6엔)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장위진(張玉金) 부총경리가 24일 밝혔다. C919는 상하이(上海)시와 주변 도시에서 생산한다. 생산능력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총 4기를 중국동방항공에 공급했다. 허난(河南)성 정저우(鄭州)시와 산시(陝西)성 시안(西安)시 등의 도시가 C919의 제2공장 유치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C919 2024-01-29 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