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쉬운 뉴스 Q&A

전체 뉴스

  • ​[아주 쉬운 뉴스 Q&A] 최저임금 무엇이 문제인가요?
    [아주 쉬운 뉴스 Q&A] ​최저임금 무엇이 문제인가요?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 추이(2008~2017) Q. 최저임금법 개정안이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고 하는데요. 정기상여금, 복리후생 수당이 최저임금에 얼마나 포함되나요? 정기상여금 중 최저임금의 25% 초과분과 복리후생 수당 중 7% 초과분이 최저임금에 포함되요. 올해 시급 7530원인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을 약 157만원으로 볼 때 상여금 25%는 약 39만원, 복리후생 수당 7%는 약 11만원 입니다. 정기상여금에서 39만원을 넘는 초과분과 복리후생 수당에서 11만원을 넘는 초과분이 최저임금에 포함된다는 의미예요. 예 2018-06-13 16:13
  • ​[아주 쉬운 뉴스 Q&A] 전자담배 유해성 분석결과, 믿을 수 있나요?
    [아주 쉬운 뉴스 Q&A] ​전자담배 유해성 분석결과, 믿을 수 있나요? 편의점에 비치된 전자담배 제품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7일, 지난해 8월부터 진행해 온 궐련형 전자담배(아이코스·글로·릴 3개 제품)의 주요 배출물에 대한 유해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식약처는 “전자담배에는 일반담배보다 타르의 함량이 더 많았고,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등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 역시 여럿 배출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궐련형 전자담배에서도 발암물질이 확인된 만큼 암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로써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 2018-06-11 16:55
  • [아주 쉬운 뉴스 Q&A] 중국 관광객들은 왜 스마트폰으로 결제해요?
    [아주 쉬운 뉴스 Q&A] 중국 관광객들은 왜 스마트폰으로 결제해요? 중국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 알리페이가 5~6월 중으로 서울 명동에 '알리페이 라운지'를 개장을 앞두고 있다. 알리페이 라운지는 명동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환전은 물론 세금 환급, 휴게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사진은 14일 오후 명동역 8번 출구 앞 빌딩 2층에 위치한 알리페이 라운지 모습. Q. 중국인 관광객들이 명동에서 물건을 살 때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 왜 그런건가요? A. 중국에선 알리페이(支付寶) 등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2018-06-09 00:00
  • ​​[아주 쉬운 뉴스 Q&A] 요즘 ‘핫’한 베트남 주식시장이 궁금해요
    [아주 쉬운 뉴스 Q&A] ​​요즘 ‘핫’한 베트남 주식시장이 궁금해요 베트남 호찌민증권거래소(HOSE). 신흥국 중 가장 높은 성장 잠재력으로 ‘포스트차이나’로 불리는 베트남은 최근 세계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어요. 특히 지난해 48%라는 상승률을 기록한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는데요. 그럼 지난 4월 급락세를 딛고 반등하기 시작한 베트남 주식시장에 대해 알아볼까요? Q. 베트남 주식시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A. 베트남의 대표 지수는 호찌민증권거래소(HOSE)의 VN지수와 하노이증권거래소(HNX)의 HNX지수가 있어요. 특히 HOSE의 VN지수 2018-06-08 15:40
  • ​​[아주 쉬운 뉴스 Q&A]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배터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아주 쉬운 뉴스 Q&A]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배터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Q. 왜 배터리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히나요? A. 우리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이미 배터리가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어요. 특히 사물인터넷(IoT), 전기자동차, 태양광 발전 등 앞으로 우리 미래를 이끌 기술들은 배터리 없이 성장하기 어려워요. 이에 따라 전세계 배터리 시장 규모는 지난해 187억 달러(약 19조9300억원)에서 2020년 428억 달러(45조6200억원), 2025년 1190억 달러(126조8500억원)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Q. 배터리의 역사가 2018-06-08 10:01
  • [아주 쉬운 뉴스 Q&A] 보험사들을 긴장시키는 IFRS17이 무엇인가요?
    [아주 쉬운 뉴스 Q&A] 보험사들을 긴장시키는 IFRS17이 무엇인가요? 지난 2016년 연말 중소형 보험사와 보험개발원은 IFRS17 시스템 공동 구축을 위한 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이후 중소형 보험사와 보험개발원은 IFRS17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Q. IFRS17은 무엇인가요? A. IFRS는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의 약자예요.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면 '국제회계기준'이라고 할 수 있지요.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기업의 회계처리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고자 공표한 회계기준이죠. 이 가운데 IFRS17은 보험사에 적용되는 2018-06-07 00:00
  • [아주 쉬운 뉴스 Q&A] 개별공시지가 궁금해요
    [아주 쉬운 뉴스 Q&A] 개별공시지가 궁금해요 명동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에 개별공시지가를 공시했어요. 공시에는 서울 명동에 위치한 화장품 판매점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중구 충무로1가 24-2)가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으로 이름을 올렸는데요. 15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이곳의 땅값은 1㎡당 9130만원입니다. 평수로 환산하면 평당 3억129만원에 이릅니다. Q. 공시 주체와 공시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A. 결정공시 주체는 시장·군수·구청장입니다. 개별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 기준으로 토지가격비준표(특성 2018-06-05 17:16
  • ​[아주 쉬운 뉴스 Q&A] 유로존이란 무엇일까요?
    [아주 쉬운 뉴스 Q&A] ​유로존이란 무엇일까요? Q. 유로존이란 무엇인가요? A. 유로존(EuroZone)은 말 그대로 유럽에서 사용하는 돈 유로(Euro)와 존(Zone)이라는 영어를 합한 말입니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 국가들이 유로존에 포함되죠. 유로에어리어(Euroarea) 또는 유로랜드(Euroland)라고도 합니다. 1991년 1월 1일 유로가 공식으로 도입되면서 유로존이라는 말이 생겼어요. Q. 유로존은 왜 만들었나요? A. 각 나라는 스스로의 화폐를 만들어 씁니다. 미국은 달러, 한국은 원, 일본은 엔, 중국은 위안을 쓰는 것처럼요. 그래서 다른 나라로 여행 2018-06-04 16:33
  • [아주 쉬운 뉴스 Q&A] 보편요금제가 무엇인가요?
    [아주 쉬운 뉴스 Q&A] 보편요금제가 무엇인가요? Q. 뉴스에서 보편요금제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새로운 요금제인가요? A. 보편요금제는 월 2만원을 내면 통화 200분, 데이터 1GB를 제공해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현재 3만원대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1만원 정도 낮춘 요금제입니다. 정부는 이 요금제를 출시하기 위해 법을 만들었어요. Q. 정부가 보편요금제를 만들었나요? A.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하네요. 문재인 대통령은 특히 소득이 부족한 사람들도 기본적인 통신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2018-06-01 18:10
  • ​[아주 쉬운 뉴스 Q&A] 가상화폐는 어떤 화폐인가요?
    [아주 쉬운 뉴스 Q&A] ​가상화폐는 어떤 화폐인가요? Q. 가상화폐는 한 마디로 어떤 화폐인가요? A. 실체가 없는 가상의 화폐라고 할 수 있어요. 가상화폐는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네트워크 상에서 유통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이용해 쉽게 사용할 수도 있어요. 가상화폐의 종류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잘 알려져 있지만, 전 세계에 800~1000가지가 있다고 하네요. Q. 가상화폐로 무엇을 할 수 있나요? A. 가게나 인터넷 쇼핑에서 물건을 살 때 지불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송금과 투기도 가능해요.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기술이 적용됐어요. Q. 블록체인 기술이 뭐 2018-06-01 16:18
  • [아주 쉬운 뉴스 Q&A] 방탄소년단이 1위를 차지한 빌보드는 무엇인가요?
    [아주 쉬운 뉴스 Q&A] 방탄소년단이 1위를 차지한 '빌보드'는 무엇인가요? Q. 최근 방탄소년단이 1위를 차지한 빌보드는 무엇인가요? A. 빌보드(Billboard magazine)는 미국의 음악 잡지인데요. 매주 여러 부문에 걸쳐 가장 인기있는 노래와 앨범에 순위를 매겨 발표하고 있어요. 빌보드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는 레코드 차트예요. 빌보드는 1936년 1월 4일 처음으로 음악관련 팝 음반 인기 순위표를 '빌보드(The Billboard)'라는 제목으로 출간했어요. 이 순위표는 1940년 7월 20일 최초의 레코드 차트입니다. Q. 빌보드의 차트는 어떻게 나뉘나요? A.주요 차트 2018-06-01 16:17
  • ​[아주 쉬운 뉴스 Q&A] EU 개인정보보호법(GDPR) 어떻게 대응할까요?
    [아주 쉬운 뉴스 Q&A] ​EU 개인정보보호법(GDPR) 어떻게 대응할까요? Q. EU가 시행한 GDPR는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A. 유럽연합(EU)에서 1995년부터 운영돼 온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법(GDPR)을 대폭 강화한 규정으로, 2018년 5월 25일부터 본격 시행됐어요. 유럽 31개국에 거주하는 주민의 이름이나 이메일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본인 동의없이 EU 밖으로 유출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죠. 또 정보보호책임자(DPO)를 지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기업이 개인정보를 침해한 경우에는 72시간 이내에 감독 기구와 당사자에게 알려야 해요. 앞서 EU 의회는 2015년 5월에 GDPR를 통과시킨 뒤 2년간의 2018-06-01 16:17
  • [아주 쉬운 뉴스 Q&A]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문제 해결됐나요?
    [아주 쉬운 뉴스 Q&A]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문제 해결됐나요?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 CEO, 미 상원 청문회 출석 (워싱턴 AP=연합뉴스) 페이스북 이용자 수천만 명의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유출돼 지난 대선 과정에 이용됐다는 의혹과 관련,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법사위원회와 상무위원회의 합동 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 저커버그가 의회 청문회에 출석한 것은 2007년 페이스북 창업 이후 처음이다. Q. 지난달 페이스북 개인정보유출 문제가 큰 이슈였는데요? A. 페이스북은 20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2018-06-01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