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드 전력 소모 96% 절감"… 삼성 연구진, 초저전력 낸드 원리 규명
삼성전자 소속 연구진들이 강유전체 기반 차세대 낸드플래시의 전력 소모를 최대 96% 절감하는 연구 개발에 성공했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스토리지의 고용량·고효율 수요가 커지는 가운데, 기존 구조의 전력 증가 한계를 극복할 원천 기술이라는 평가다.
삼성종합기술원(SAIT)은 산화물 반도체와 강유전체를 결합한 새로운 낸드플래시 구조를 통해 셀 스트링(셀 직렬 구조) 동작 시 기존 대비 전력 소모를 최대 96% 절감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존 낸드플래시는 셀에 전자를 주입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로, 용량 확대를 위해 적층 단수를 높이면 읽기·쓰기 과정에서 전력 소모 역시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강유전체 기반 차세대 낸드 기술이 여러 차례 제안됐지만, 용량 증가와 전력 효율 저하의 상충관계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과제로 남아있었다.
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