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R] 캄보디아 차이나 머니 중독 벗어날 수 있을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은숙 기자
입력 2018-09-19 10: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동남아 국가들 일대일로 꺼리는 가운데 캄보디아는 적극적

  • 프놈펜 부동산 가격 급등…국가부채 중 절반이 중국발 자금

캄보디아 훈센 총리 [사진=AP=연합뉴스]


캄보디아의 '중국화'가 심화하고 있다. 중국의 건설업자와 투자자들이 몰려든 프놈펜 부동산 시장은 팽창을 거듭하고 있다. 급격히 높아진 주택가와 지대는 모두 '차이나 머니'를 등에 업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이후 빈국인 캄보디아 경제에 부메랑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남아 있지 않다" 
 
영국 가디언지는 지난 7월 '캄보디아는 남아 있지 않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대규모 중국 자금이 유입된 캄보디아 남서부 항구도시인 시아누크빌의 상황을 집중 조명했다. 가디언은 "한때 한적한 항구도시였던 시아누크빌은 이제 중국 업체들이 지은 고층빌딩과 카지노가 늘어선 화려한 도시로 변모했다"면서 "이는 불과 2년여 만에 일어난 변화"라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다른 동남아 국가들과 달리 훈센 총리는 중국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는 캄보디아를 중국 일대일로 사업의 핵심 국가 중 하나로 만드는 역할을 했다"면서 "중국 기업들은 석유생산 시설을 비롯해 많은 시설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새로운 고속도로 건설비용도 중국의 일대일로 자금으로 지어질 예정"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투자와 건설업체의 진출은 캄보디아 경제 팽창을 뒷받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가격도 급격하게 밀어올렸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과 함께 유입된 중국 자금은 단기 내에 프롬펜에 수많은 고층 건물들이 들어서도록 했다"면서 "그러나 새로 지어진 고층 아파트들이 대부분 중국인들의 투기 목적으로만 이용하고 있으며, 높아진 가격 탓에 대부분의 현지인들의 부동산 구매 여력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글로벌 부동산 업체 나이트 프랭크의 로스 위블 캄보디아 지사 대표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최고급 아파트 공급이 지나치게 늘면서 판매와 임대 속도가 점차 느려지고 있다"면서 "이런 고급 아파트를 살 수 있는 캄보디아인의 수는 극히 제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가격이 지나치게 가파르게 오른 상황에서 공급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부동산 버블의 붕괴 위험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CBRE그룹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프놈펜의 아파트 평균 가격은 ㎡당 3200달러, 비즈니스 지구인 돈펜의 땅값은 ㎡당 9000달러까지 올랐다. 이는 2014년 대비 3배 가까이 상승한 것이다. 

◆친중정부 훈센의 장기집권··· 부채의 덫에 빠질 수도 

이처럼 활발한 중국 투자 뒤에는 정치적 배경도 있다. 1985년부터 캄보디아를 통치한 훈센 총리는 말레이시아나 베트남처럼 일대일로에 대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 7월 캄보디아에서 치러진 총선 결과 훈센 캄보디아 총리가 이끄는 집권 캄보디아인민당(CPP)이 압승을 거뒀다. 이로써 훈센 총리는 2023년까지 총리직을 유지하게 됐다. 그러나 훈센 총리는 지난해 11월 정치적 라이벌인 캄보디아구국당(CNPR)이 외부 세력과 결탁해 정부를 전복하려 했다고 주장하면서 당을 강제 해산시켜 국내외 비판에 시달렸다. 때문에 당시 선거 결과에 대해 미국을 비롯해 유럽연합(EU), 호주 등 서방국가들은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반면 중국은 환영의 입장을 표했다. 왕이 외교부장은 당시 캄보디아 총선에 대해 "순조로웠다"고 축하하면서 훈센 총리가 이끄는 집권당 캄보디아인민당(CPP)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와 신뢰"를 보여주는 선거 결과였다고 평가했다. 친중성향인 훈센 총리의 집권기간이 길어질수록 캄보디아에 대한 중국 투자는 더욱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있다. 

그러나 중국 자금에 기대면 기댈수록 캄보디아 경제는 위태로워질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은 캄보디아 최대 무역파트너이자 최대 투자국이다. 게다가 캄보디아의 외채 60억 달러 중 절반 가까이가 중국으로부터의 부채다. 만약 캄보디아가 부채를 제대로 갚지 못할 경우 석유생산을 비롯한 각종 사회기반시설이 모두 중국 기업들로 넘어갈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