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가짜뉴스 범람을 막으려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세미 기자
입력 2019-04-18 13: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선거 때만 되면 가짜뉴스가 기승이다. 세계 최대 민주주의 축제로 통하는 인도 총선은 가짜뉴스에 빛이 바랠 처지다. 소셜미디어를 타고 퍼지는 가짜뉴스 소식이 연일 외신을 달구고 있다. 가짜뉴스의 온상으로 지목된 건 인도의 국민 메신저 왓츠앱. 왓츠앱을 ‘가짜뉴스의 블랙홀’이라고 부를 정도다.

2014년 총선만 해도 가짜뉴스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던 인도는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전례 없는 규모와 속도로 가짜뉴스 위기에 직면했다. 종교와 민족 간 갈등을 부추겨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얘기들이 소셜미디어를 떠돌면서 유권자들의 눈과 귀를 홀린다. 실제 폭력 사태로 이어진 사례도 들려온다.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가짜뉴스의 영향력을 폭발적으로 키운 건 소셜미디어의 힘이다. 소셜미디어가 민주주의 성숙에 기여할 소통의 도구로 주목받던 과거와 달라진 풍경이다. 2011년 중동에 민주주의 바람을 일으켜 독재정권 붕괴를 이끌어낸 ‘아랍의 봄’ 운동과 거대한 금융자본의 탐욕에 경종을 울린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는 흩어져 있던 개인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는 소셜미디어의 순기능이 주목받은 사례다. 

한편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의 발달은 점점 더 진짜 같은 가짜뉴스를 만들어내는 데 한몫 거든다. AI가 사람의 표정과 목소리를 똑같이 베껴 새 영상을 만들어내는 딥페이크 기술은 눈으로 보는 것조차 믿지 못할 시대를 열고 있다. 

사정이 이렇자, 세계 각국은 무분별한 가짜뉴스 생산자와 유통 플랫폼에 대한 단속과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지금까지 이용자와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자율 규제에 맡겼지만 가짜뉴스와 유해 콘텐츠의 폐해를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이다. 우리 인터넷에서도 가짜뉴스는 이미 위험수위에 달했다. 1년 후로 다가온 총선을 앞두고 가짜뉴스는 위험수위를 넘어 범람에 이를지 모른다.

이제는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명백하게 사실이 아닌 내용을 확산시키는 행위를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때다. 물론 중국 인터넷 감시시스템인 '만리방화벽'과 같은 무소불위의 감시와 검열은 우리 누구도 원하지 않는다. 유해 콘텐츠의 확산을 방치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법적 책임을 물어 벌금을 부과하도록 한 유럽의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