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 칼럼] AI 발전과 야당의 나아갈 길
경주 APEC에 미·중 정치 지도자가 참석해 패권 경쟁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벼랑 끝 전술의 회담을 한 반면 인공지능(AI) 시대를 열어갈 민간 대표들은 상호 협력의 치맥 파티를 열었다. 향후 다가올 AI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해 대비해야 한다. 정부 예산 편성은 728조원으로 올해보다 8.1% 증가한 슈퍼예산이다. AI 관련 예산은 총 10조1000억원이다. 역대 최대 규모의 적자 예산을 편성하고 110조원의 적자 국채가 발행되고 국가 채무는 1300조원을 넘어선다. 이자를 갚는
-
[기고] 'Eat, Play, Startup'…머리속에 계속 맴돌다
중국 남부 도시 심천(深圳)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도시 중 하나로 꼽히지만, 그 성장을 단순한 경제지표나 기술력으로만 설명하기엔 부족하다. 중국 최대의 첨단 산업 전시회인 중국하이테크 페어(CHTF)현장을 다니면서, '의식주' 보다는 '식락업'(Eat Play Startup) 이 머리속에 계속 맴돌았다. 'Eat Play Startup'이라는 단어는 생활의 언어처럼 보이지만, 심천에서는 곧바로 산업과 혁신의 언어로 전환된다. Eat : 로봇 셰프가 ‘평범한 풍경’이 된 도시 광동성
-
[엄태윤 칼럼] 트럼프 상호관세 대법원 위법 판결시 파급영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행사 중에 개최된 미중정상회담을 통해 시진핑 정부와 무역전쟁을 잠정 휴전하고 한국과는 통상협상을 최종 타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순항하고 있는데, 그 발목을 잡는 장애물이 생겨 트럼프 대통령을 힘들게 하고 있다. 조만간 미 대법원이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 적법성에 관한 최종적인 판결을 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현재 트럼프는 대법원을 압박하기 위해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그는 관세정책 판결이 '
-
[기고] 중국 하이테크 페어(CHTF) 개막 …기술의 미래는 도시의 미래
중국 China Hi‑Tech Fair(CHTF)이 올해도 Shenzhen 월드 전시컨벤션센터에서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개최된다. 1998년 첫 회 이후 27년간 이어져 온 이 행사는 단순한 기술박람회를 넘어, 중국이 미래 기술 전략을 실험하고 해외에 공개하는 상징적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전시장 곳곳을 메운 기술 기업과 바이어, 그리고 도시 전반에 퍼지는 산업적 열기는 심천(선전)이 왜 ‘중국의 실리콘밸리’라 불리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게 한다. CHTF의 특징은 규모보다 도시와 산업이 동시에 진화하는
-
[김용하 칼럼] AI 로봇 혁명과 인구정책 …따로 갈 수 없다
한국은 지금 인구절벽이라는 전례 없는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합계출산율은 2024년 기준 0.75로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생산가능인구는 이미 2020년부터 감소세에 돌입하였다. 반면 고령인구 비중은 빠르게 증가해 2025년 20%를 넘어설 예정이며, 2040년에는 34.4%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는 단순히 인구의 양적 축소를 넘어 경제성장률의 정체, 복지 지출의 급증, 노동공급의 붕괴, 지방 공동화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AI 로봇혁명은 반복적
-
[박상병 칼럼] 日 다카이치 총리의 위험한 극우 본색
경주 APEC 기간이던 지난 달 30일 이재명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에 밀려 언론의 큰 주목을 받진 못했지만 한국과 일본 모두 갓 출범한 새 정부이기에 양국 정상회담 분위기도 적잖은 관심을 모았다. 게다가 다카이치 총리는 ‘여자 아베’로 불릴 정도의 극우 인물이다. 그래서 첫 대면일지라도 자칫 한일 관계에 ‘돌발 변수’가 불거질 수도 있기에 우리 정부도 합당한 준비를 하고 정상회담에 임했던 것으로
-
[김학도 칼럼] 탄소중립, 중소기업 맞춤형 전략 세워야
이재명 정부는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신설하고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정부과제를 설정하여 강력한 기후변화 목표를 예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40%로 상향했다. 금년 말까지는 2035년 감축목표를 최종 확정하여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에 제출할 예정이다. 최근 구성된 8기 국가에너지위원회는 원전·전력 전문가 비중은 줄이고, 기후·탄소중립·재생에너지 분야 전문가 비중이 크게 확대되었다. 에너지정책 기조가 기후대응
-
[서정희 칼럼] 李정부 3개의 금융 화살 … '생산적 이자'가 출발점이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3명의 수상 공로는 신기술을 통한 지속가능 성장이었다. 기술혁신과 경제 성장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이론을 규명한 공로라는 설명이 뒤따랐다. 이쯤에서 떠오르는 경제학자가 있다. 조지프 슘페터다. 저성장이 뉴노멀이 돼버린 성장 암흑기에 혁신의 아이콘인 슘페터가 다시 소환된 셈이다. 슘페터의 천재적 용어나 명문장은 이해에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산업적 돌연변이라고 일컬은 창조적 파괴 과정도 단순히 그 현상만 머릿속
-
[전문가 기고] LFP 배터리 폐기 시 누가 책임질 것인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은 2~3년 이내에 극복되면서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가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으로 영향을 받고 있으나 내연기관차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 등 더욱 완성도가 높아지면서 가격 차이도 없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전기차 가격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의 경쟁력이 확대되면서 전기차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의 보급은 무공해라는 의미가 부각되면서 수송 분야의 저탄소화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 최근 신기술이 가미된
-
[김상철 칼럼] APEC의 여운 …또 다른 시험대에 오른 '한국 경제'
경주 APEC 행사가 무사히 종료되었다. 결과를 놓고는 평가가 분분하다. 아무튼 큰 문제 없이 치렀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 다행히 한-미 간의 핵심 쟁점이던 관세 협상도 우려와 달리 나름대로 잘 마무리되었다. 최종 합의문 확정과 발표가 미루어지고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일단락된 것으로 보인다. 막판까지 미국 측이 한국을 강하게 압박했지만 이미 그들이 짜 놓은 시간표와 각본대로 움직였다고 볼 수 있다. 미국 측은 자기네 들 이 원하는 것들을 대부분 얻었다. 처음부터 트럼프 측은 APEC 회담 자체에는 관심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