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플레 전쟁] 지지율 하락에도 영향…통화정책 등 대응 마련 분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은숙 국제경제팀 팀장
입력 2021-10-28 15: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인플레이션 우려가 장기화하면서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들이 대책 마련으로 분주해졌다. 신흥국 중심으로 이뤄졌던 통화 긴축정책은 이제 선진국들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캐나다중앙은행(BOC)은 27일(이하 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로 동결하면서도 양적완화(QE) 프로그램은 종료를 선언했다. 티프 맥클렘 BOC 총재는 예상보다 빨리 금리 인상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맥클렘 총재는 공급망·배송 차질이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기간 강한 인플레 지속을 우려하면서 캐나다의 인플레이션이 올해 말까지 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았다.

캐나다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속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시장에 풀렸던 돈을 거둬들이는 선진국들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호주중앙은행(RBA)은 이미 지난달 7일 회의에서 자산매입 규모 축소 절차에 돌입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2023년에야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가팔라진 물가 때문에 상황이 바뀔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호주통계청(ABS)이 지난 27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근원 물가 상승률은 시장 예상치보다 크게 올랐다. 2023년에나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던 물가 수준에 이미 와버린 것이다. 이에 금리인상 압력이 높아지면서 이날 호주 국채 3년물 수익률은 장중 한때 0.23%포인트 상승해 1%를 넘어서기도 했다.

뉴질랜드중앙은행은 이미 10월 초반 금리를 인상했지만, 시장은 11월 회의에서 금리가 한 번 더 인상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방향 전환이 가시화하고 있다. 인플레 상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마저 위협하고 있는 탓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7일 맥도날드를 비롯한 미국 주요 소비재 기업들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가격 인상을 속속 예고했다고 보도했다. 맥도날드가 6% 가격 인상을 예고한 데 이어, 크래프트하인즈는 전 세계 소매 제품 가격을 1.5% 인상했다고 밝혔다. 코카콜라와 3M도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 5월부터 5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5%를 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게 나타나면서 소비자 물가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8.6% 올랐다. 이는 2010년 11월 자료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 폭이다. 공급망 병목 현상이 이어지고, 수요가 회복되면서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물가 통제가 힘들어지면서, 여론도 악화하고 있다. 이달 초 미국 CBS 뉴스가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66%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미국 정부의 정책을 비난했고 60%는 행정부가 이 문제에 충분히 집중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에 정부와 연준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일단 지난 22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 물가를 안정시키고 완전고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가 안정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다.

백악관은 연방무역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에 가격 조작 가능성을 조사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OPEC 플러스(+)로 대표되는 국가들에 생산량 증가를 촉구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의 지나친 친환경 정책이 에너지 가격의 상승을 불러왔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CNBC는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