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국 칼럼] ​찻잔 속의 파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양승국 변호사(법무법인 로고스 대표)
입력 2020-01-18 0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당신의 기준은 어디인가

류시화 시인의 산문집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를 보면, 조애나 메이시가 티베트 승려들과 회의를 하는 도중 파리 한 마리가 조애나의 찻잔에 빠진 일화 하나를 소개하고 있다. 이 일화는 조애나가 미국 평화봉사단의 일원으로 북인도 히말라야 기슭의 티베트 난민 공동체에서 활동하던 때의 일화라고 한다. 조애나는 파리가 자기 찻잔에 빠지자 약간 미간을 찡그렸다. 이를 보고 앞에 앉아 있던 티베트 승려 최걀 린포체가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묻는다. 조애나는 가볍게 웃으며 아무 것도 아니라며 단지 찻잔에 파리가 빠졌을 뿐이라고 한다. 그러자 린포체는 찻잔 속을 들여다보면서 “오오, 찻잔에 파리가 빠졌군요!”하며 동정하듯이 부드럽게 말한다. 이에 조애나는 린포체를 안심시키기 위해 미소를 지으며 ‘노 프라블럼’을 강조한다. 사실 조애나 자신이 환경운동가이며 심층생태학자인데다가, 이미 저개발 국가들을 두루 다녀본 경험이 있기에 이 정도는 조애나 자신에게는 그녀 말 그대로 ‘노 프라블럼’이라 할 수 있다. 아마 그녀는 그녀 자신이 살아온 서구의 환경이 몸에 배어 있기에, 자기도 모르게 미간을 찡그렸으리라.

린포체는 그녀의 찻잔에서 파리를 조심스럽게 건져내어 파리를 가지고 밖으로 나간다. 린포체가 나가자 회의는 계속 되었다. 이윽고 돌아온 린포체는 기쁜 목소리로 그녀에게 속삭인다. “파리는 이제 아무 문제없을 겁니다!” 린포체는 파리를 버리러 나갔던 것이 아니었다. 린포체는 파리를 나무 잎사귀 위에 올려놓고 파리가 날갯짓을 할 때까지 지켜보다가, 들어와 기쁜 표정으로 조애나에게 얘기한 것이다. 린포체와 조애나의 기준이 달랐다. 조애나는 아무리 생태를 중시하는 환경운동가이지만 그녀의 기준은 자기에게 있었고, 모든 생명을 자기 몸같이 사랑하는 린포체의 기준은 그 파리에 있었다. 그렇기에 조애나는 자신의 기준에서 파리 한 마리 찻잔에 빠졌다고 그까짓 것에 마음 상해야 할 자신이 아니라며 ‘노 프라블럼’이라고 한 것이며, 찻잔에 빠진 파리의 생명이 자칫 위험하다고 느낀 린포체는 파리를 나무 잎사귀에 올려놓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이를 지켜본 것이다. 그리고 파리가 살아나서 조만간 날아갈 것이라고 기쁜 마음으로 조애나에게 소식을 전한 것이고... 린포체의 환하게 빛나는 얼굴을 보며, 그 순간 조애나는 자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깨달았단다. 자기 자신은 노 프라블럼이지만 찻잔 속 파리의 입장에서도 노 프라블럼인지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런 기준의 변화가 그녀에게 말할 수 없는 기쁨을 주었다고 한다.

당신의 기준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기준이 자기 자신에게 있지 않은가? 그렇기에 인간이 버린 폐수로 강의 물고기가 죽어나가도, 지금도 지구 어딘 가에서는 제대로 먹지 못하고 치료를 받지 못해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도 그저 그런가 할 뿐 아닌가? 조애나는 그래도 환경운동가이기에 ‘노 프라블럼’이라고라도 한다. 그렇지만 자기의 기준만을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은 남의 기준에 무감각하며, 오히려 자기와 기준이 다른 사람들이 ‘빅 프라블럼’이라며, 이런 빅 프라블럼은 제거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는 것 아닌가? 삶의 기준이 바뀐 조애나를 보며 류시화 시인은 이렇게 말한다.

“인생의 문제를 초월했다는 듯 우리는 곧잘 노 프라블럼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노 프라블럼의 기준을 ‘나’에서 ‘타인’으로, 나 아닌 다른 존재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빅 프라블럼’이다. 자기 중심에만 머물러 있는 관점은 결코 노프라블럼일 수가 없다. ‘나’에게서 ‘모든 존재를 포함한 더 큰 공동체’로 사고의 중심축을 이동하는 것, ‘나’의 자리에 ‘세상’을 앉히는 것이 곧 깨달음이다. 기준이 아직 ‘나’에게 머물러 있다면 자기 생존과 이익에만 집착하는 일차원적 인간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오늘날 세상의 모든 문제는 이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렇다! 오늘날 세상의 모든 문제는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비롯된 것이다.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벗어나자! 요즈음 우리나라가 이렇게 시끄러운 것은 도무지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벗어날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 교수신문이 작년 말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는 ‘공명지조(共命之鳥)이다. 우리가 좌우 진영으로 갈려 자기의 기준과 아집에서 상대를 죽이고 자기만 살려고 하면 결국 우리 모두 죽는다. 어리석은 자들이여! 우리가 공명지조라는 걸 그대들은 모르는가!!!
 

[사진=양승국 변호사, 법무법인 로고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