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검색
-
2금융에 몰리는 중소기업...건전성 악화 '적신호’ 시중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중소기업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면서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다. 금리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연체율까지 상승해 건전성마저 위협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작년 11월 말 기준 비은행 금융기관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147조1102억원으로, 2017년 말(113조9008억원) 대비 29.1%(33조2094억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증가폭이다. 비은행권 중심으로 중소기업 대출이 급증한 것은 경영난을 겪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이 대출 여건이 불리한 2금융권으로 대폭 이동했기 때문이다. 또한 내수 부진, 가계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올해도 이 같은 풍선효과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올해 1분기 국내 은행(1금융권)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3으로 조사됐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은행들이 대출에 소극적으로 나선다는 뜻이다.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대책과 일부 은행의 리스크 관리 영향으로 부동산 임대업과 비우량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 태도가 다소 강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처럼 중소기업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게 되면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비은행권 기업대출이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금리는 연 8.04%로 예금은행 대출금리(3.69%)를 크게 웃돈다. 경영난으로 시중은행의 대출심사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생존을 위해 고금리를 감수하면서 비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았지만, 영세 중소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문제는 2금융권 연체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1금융권에서 중소기업 연체율이 꾸준히 증가한 데 이어 2금융권에서도 같은 흐름을 보이면서 중소기업들의 건전성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에서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하고 있지만, 담보가 용이한 업종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며 "금리가 높은 2금융권에 몰리면서 연체율이 계속 올라가는 등 악순환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구조조정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9-02-12 00:05:00
-
저축은행 3분기 누적 이자이익만 3조원 … 대출규제 풍선효과에 순이익 확대 저축은행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3조원 넘는 이자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주택담보대출 등 1금융권에 대한 강력한 대출규제가 이뤄지자, 시중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차주들이 2금융으로 몰렸기 때문이다. 특히 저축은행은 지난 4월부터 시행된 강화된 충당금 규제에도 이자이익 급증으로 관련 비용을 모두 상쇄하며 막대한 순이익을 냈다. 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잠정 저축은행 영업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저축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851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8218억원)에 견줘 3.6%(295억원) 증가한 수치로, 1~9월 기준으로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1년 만에 갈아치웠다. 당국은 저축은행의 고금리 대출에 제동을 걸기 위해 지난 4월부터 강화된 충당금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고금리 대출엔 충당금을 더 쌓도록 해 저축은행들이 고금리 대출을 덜 취급하도록 하자는 취지에서다. 이 규제는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강화된다. 충당금 기준 강화로 저축은행의 1~9월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979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19억원(25.9%) 급증했다. 같은 기간 비이자이익도 21.8%(2022억원) 줄었다. 그럼에도 저축은행들이 사상 최대 순이익을 낼 수 있었던 건 충당금 비용을 비롯한 영업손실을 가뿐히 상쇄할 만큼 상당한 이자이익을 거뒀기 때문이다. 올해 1~9월 저축은행이 벌어들인 이자이익은 3조98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조7345억원)보다 13.3% 급증했다. 최근 시중은행 대출 문턱이 높아진 데 따른 풍선효과로 저축은행에 대출수요가 몰린 덕을 톡톡히 본 셈이다. 이에 금감원은 저축은행에 대한 감독을 더욱 강화키로 했다. 국내 가계부채 증가, 경기회복 지연 등 불안요인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단행된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금융권 대출금리가 동반 상승하면 취약차주가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금감원은 조만간 저축은행의 무분별한 고금리 대출 영업 관행에 제동을 걸기 위해 대출금리 산정체계 모범규준 개정안도 발표할 계획이다. 2018-12-05 13: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