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마감시황] 코스피 2360선 마감…외국인 '순매수' 기관 '순매도'
코스피가 외국인 순매수세와 기관 순매도세가 엇갈리며 소폭 상승 마감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57포인트(0.24%) 오른 2365.10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17.19포인트(0.73%) 오른 2376.72로 출발했다. 외국인은 4867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기관은 4369억원어치, 개인은 526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현대차(1.83%), 삼성바이오로직스(1.49%), 삼성SDI(1.28%), LG화학(0.79%), LG에너지솔루션(0.74%), 삼성전자(0.33%), 기아(0.31%), 네이버(0.26%) 등은 상승했다. SK하이닉스(-0.57%)는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기계(1.63%), 증권(1.43%), 보험(0.93%), 의료정밀(0.89%) 등은 상승했다. 하락한 업종은 통신업(-0.95%), 운수창고(-0.54%), 서비스업(-0.37%)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1.05(0.15%) 오른 710.82로 마감했다. 지수는 3.79(0.53%) 오른 713.56으로 출발했다. 개인은 958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584억원어치, 기관은 261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셀트리온제약(1.81%), 엘앤에프(1.67%), 카카오게임즈(1.37%), HLB(0.96%), 셀트리온헬스케어(0.68%), 펄어비스(0.58%), 에코프로비엠(0.30%), 리노공업(0.06%) 등은 상승했다. 스튜디오드래곤(-1.62%), 에코프로(-0.42%)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금속(0.28%), 유통(0.21%), 디지털컨텐츠(0.20%), 통신장비(0.09%) 등은 상승했다. 하락한 업종은 통신서비스(-0.93%), 섬유의류(-0.70%), 컴퓨터서비스(-0.59%) 등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오늘 밤 미국 12월 미국 CPI 발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유입돼 추가 상승은 제한적인 양상”이라며 “금번 물가지표에서 서비스 물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화 가격 상승률 하락은 나타나고 있으나 서비스 물가는 끈적(sticky)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
[개장시황] 코스피, 뉴욕증시 상승 마감에 소폭 상승 출발
12일 코스피가 소폭 상승 출발했다. 간밤 뉴욕증시가 상승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2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5.97포인트(0.68%) 오른 2375.50을 기록 중이다. 지수는 17.19포인트(0.73%) 오른 2376.72로 출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관은 330억원어치 순매도했다. 개인은 205억원, 외국인은 138억원어치 각각 순매수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248.65포인트(1.77%) 오른 14304.24로, S&P500지수는 50.36포인트(1.28%) 내린 3969.61로, 나스닥지수는 196.75포인트(1.76%) 내린 11402.53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9종목이 상승했다. 네이버(1.54%), 카카오(1.45%), LG에너지솔루션(1.05%), 현대차(0.91%), 삼성바이오로직스(0.75%). 삼성SDI(0.64%), LG화학(0.47%), 삼성전자(0.17%), 기아(0.16%) 등이다. SK하이닉스는 유지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업(-0.06%)을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했다. 의료정밀(1.33%), 보험(1.16%), 기계(1.07%), 서비스업(0.93%), 건설업(0.92%) 등이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20포인트(0.59%) 하락한 713.97을 기록 중이다. 지수는 3.79포인트(0.53%) 오른 713.56으로 출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은 33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322억원, 기관은 7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7종목이 상승했다. 카카오게임즈(1.03%), 엘앤에프(0.97%), 스튜디오드래곤(0.75%), 셀트리온헬스케어(0.68%), 펄어비스(0.46%), 에코프로(0.26%), 셀트리온제약(0.15%) 등이다. 에코프로비엠, 리노공업은 유지했다. HLB(-0.16%)는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금속(1.13%), 오락문화(1.12%), 방송서비스(0.97%), 출판매체복제(0.83%) 등이 상승했다. 하락한 업종은 비금속(-0.38%), 통신장비(-0.25%), 통신서비스(-0.23%) 등이다.
-
-
-
-
[아주증시포커스] '中 비자중단'에 리오프닝주 상승 왜? 증권가 '단기 이슈, 이때가 기회' 外
◆아주경제 주요뉴스 ▷'中 비자중단'에 리오프닝주 상승 왜? 증권가 '단기 이슈, 이때가 기회' -중국이 한국인 입국자에 대해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면서 급락했던 중국 리오프닝 관련주가 반등하며 우려를 씻었음. 전문가들은 주가 하락을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화장품 관련주인 LG생활건강이 3.36% 올랐고 아모레퍼시픽은 2.86% 상승. 여행 관련주인 노랑풍선이 2.65% 상승했고 그래디언트(1.95%), 모두투어(1.89%), 롯데관광개발(1.80%) 등도 상승. 항공주도 오름. 이날 에어부산은 2.88%, 진에어와 티웨이항공이 각각 2.67%, 1.44% 상승. -이날 중국국가이민관리국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도착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72시간과 144시간 무비자 체류 정책도 중단. -증권업계에서는 이번 중국 정부 조치는 단기적일 것으로 예상. 중국의 리오프닝 의지가 강한 데다 코로나 확진자 수도 점차 감소세여서 양국 간 비자 발급 제한 경쟁이 풀릴 것으로 예상. -주가가 하락한다면 이는 좋은 매수 기회라는 분석.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은 투자자 레터를 통해 “이번 단기비자 발급 제한은 사드나 한한령 같은 이슈가 아니다”면서 “이런 일로 국내 주가가 빠지면 아주 좋은 기회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전함. ◆주요 리포트 ▷금(Gold)의 밸류가 지속되는 이유 -하나증권은 최근 금을 매수하기 적절한 국면이라고 조언.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12일 “미 연준의 금리 인상과 미 달러 강세로 인해 한동안 소외되던 금(Gold)의 가치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며 “통화정책과 글로벌 경기 국면의 변화를 고려할 때 금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은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 -전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가 신흥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 터키, 우즈베키스탄, 인도, 카타르 등지에서 금 매입이 크게 늘어났으며, 중국도 11월, 12월 연속으로 금을 32톤, 30톤 가량 매입해 2019년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되는 국면에 접어들고 있고 미 달러도 약세를 보이면서 전세계 중앙은행 입장에서도 금을 매입하기 적절한 시기로 판단. -금은 이자를 제공하지 않아 금리 상승 국면에는 매력적이지 않은 자산이지만, 변동성이 높거나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때 선호도가 높아짐. 중장기적으로도 내재적 가치가 보존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자산. -작금의 경기 사이클도 금 보유 비중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금에 대한 선호 심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음. ◆장 마감 후(11일) 주요공시 ▷레인보우로보틱스, 제3자배정증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 발행규모는 보통주식 194만200주로 발행금액은 589억8208만원. ▷머큐리, 군위성통신체계-II 양산 머큐리 신호 처리부 등 2종 판매·공급계약 체결. 계약금액은 168억8687만원으로 최근 매출액 대비 13.89%. 계약상대는 한화시스템 ▷티에스아이, 2차전지 믹싱시스템 판매·공급계약 체결. 계약금액은 103억6300만원으로 최근 매출액 대비 15.39%. ▷케이씨에스, 하나카드 ‘승인 운영 시스템 증설’ 사업 계약 체결. 계약금액은 43억7200만원으로 최근 매출액 대비 11.55%. 계약상대는 하나금융티아이 ▷팬젠, 원료의약품 위탁생산 계약 체결. 계약금액은 12억9800만원으로 최근 매출액 대비 16.36%. 계약상대는 차백신연구소 ◆펀드 동향(10일 기준, ETF 제외) ▷국내 주식형 +333억원 ▷해외 주식형 +121억원 ◆오늘(11일) 주요일정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중국, 12월 소비자 물가지수 ▷중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 ▷호주, 11월 무역수지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