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
-
-
10월 온라인쇼핑 17.7조...외부활동 늘자 의복 쇼핑 '역대 최대'
지난 10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7조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로 외부 활동이 크게 늘어나면서 의복과 스포츠·레저용품의 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게 영향을 끼쳤다. 반면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배달시켜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배달 음식 온라인 주문액은 넉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22년 10월 온라인쇼핑동향'을 보면, 지난 10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7조7115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0조3436억원(8.20%) 증가했다. 상품군별로 보면 여행 및 교통서비스(84.0%), 음·식료품(13.1%), 이쿠폰서비스(27.3%), 의복(6.0%)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화장품(-11.1%), 서적(-7.6%), 음식서비스(-7.6%), 가구(-6.4%), 컴퓨터 및 주변기기(-6.3%) 등은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감소했다. 특히 의복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조8609억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7년 이후 모든 달을 통틀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스포츠·레저용품 거래액도 역대 가장 많았다. 지난달 스포츠·레저용품 거래액은 6138억원으로 3.7% 늘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 거래액은 4.4% 증가한 2조2045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반면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2조910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줄었다. 지난 7월부터 넉 달 연속 감소세다. 그동안에는 배달 음식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가정이 많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부 활동이 늘면서 배달 수요가 외식 수요가 옮겨간 것으로 파악된다. 컴퓨터·주변기기(-6.3%), 서적(-7.6%), 화장품(-11.1) 등의 거래액도 쪼그라들었다. 지난 10월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2조9227억원으로 1년 전보다 9242억원 늘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의 증가율(7.7%)도 역대 최저였다. 같은 기간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 가운데 모바일쇼핑 비중은 73.0%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감소했다.
-
총수2세 지분 높을수록 내부거래 많아...대기업 집단 내부거래액 218조
총수 일가 또는 총수 2세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많은 경향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총수 2세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 간 상관관계는 상당히 완화한 모습을 보였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2년 공시대상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을 공개했다. 공정위는 지난 5월 지정된 76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316개 계열회사의 내부거래 현황을 분석했다. 10대 그룹, 전체매출 중 12.9%는 내부거래 올해 76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거래 금액은 218조원, 내부 거래액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6%로 집계됐다. 전체 규모는 지난해(183조5000억원)보다 늘었지만, 비중은 소폭 감소했다.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집단은 셀트리온(42.0%), 대방건설(28.2%), 중앙(28.0%) 순이었다. 두나무·크래프톤·보성·KG·일진·오케이금융그룹·신영·농심 등 신규 지정된 8개 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6.5%로 낮게 나타났다. 올해 새롭게 지정된 공시집단의 경우 지난해 지정된 집단 대비 내부거래 금액은 34조5000억원, 비중은 0.2%포인트 증가했다. 공정위는 지난해 내부거래 금액이 증가한 건 2020년 코로나 19로 낮았던 매출액이 증가함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신규 지정된 집단 8개를 제외하고 2년 연속 분석 대상 기업집단의 내부거래 금액은 33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 68개 기업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0.1%포인트 늘었다. 내부거래 비중이 많이 증가한 집단은 쿠팡(7.4%포인트), DL(5.1%포인트), 셀트리온(3.9%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총수 있는 상위 10대 집단(삼성·에스케이·현대자동차·엘지·롯데·한화·지에스·현대중공업·신세계·씨제이)의 매출액은 1208조9000억원으로 지난해(1031억2000억원)보다 크게 늘었다. 매출액이 크게 늘면서 내부거래 금액도 함께 뛰었다. 그러나 내부거래 비중은 12.9%로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총수 일가 또는 총수 2세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경향이 계속됐다. 특히 총수 2세 지분율이 20% 이상인 계열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전년 대비 3.4%포인트 감소했다. 총수 2세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 간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완화한 모습이다. 물류·IT서비스 모두 매출·매입 내부거래 의존도 높아 아울러 물류와 IT서비스 분야의 경우 매출과 매입 모두 내부거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이날 물류·IT서비스 분야의 내부거래 현황, 공익법인과의 내부거래 현황을 새롭게 분석·공개했다. 물류 매출 현황을 공시한 31개 기업집단의 물류 내부매출액(물류업 영위회사의 전체 물류 매출액)은 12조3000억원, 내부매출 비중은 49.6%로 나타났다. 물류 매입 현황을 공시한 25개 기업집단의 물류 내부 매입액(계열회사의 전체 물류 매입액)은 12조원, 내부매입 비중은 49.8%로 나타났다.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물류 내부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집단은 쿠팡, 농협, 한라, 하이트진로, 농심 순이었다. 금액이 높은 기업집단은 엘지, 쿠팡, 삼성, 현대자동차, 롯데 순으로 나타났다. 물류 내부매출액(12조3000억원) 중 매출금액 기준 상위 5개 집단의 내부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73.6%(9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서비스 매출 현황을 공시한 47개 기업집단의 IT서비스 내부매출액은 13조1000억원, 내부매출 비중은 68.3%이었다. IT서비스 매입 현황을 공시한 43개 기업집단의 IT서비스 내부 매입액은 11조4000억원, 내부매입 비중은 57.1%로 나타났다.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IT서비스 내부매출 비중이 100%인 기업집단은 현대백화점, 농심, 동원, 오케이금융그룹, 쿠팡이다. 내부매출액이 높은 기업집단은 삼성, 엘지, 에스케이, 현대자동차, 롯데 순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물류·IT서비스 분야에서는 특정 계열회사와의 관계보다는 여러 계열회사와의 관계에서 내부매출이 발생했다"며 "이런 경향은 IT서비스 분야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류·IT서비스 분야는 매출·매입 양방향 모두 내부거래 의존도가 높은 시장 구조가 형성돼 있다"며 "기업집단 소속 물류·IT서비스 회사는 매출을 계열회사에 의존함에 따라 자체적 혁신 동력이 저하되고, 매입회사 또한 계열회사로부터의 매입에 의존함에 따라 독립 물류‧IT서비스 회사의 성장 기회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
-
-
[카타르 월드컵] 첫 16강 대진표 확정...네덜란드 vs 미국, 잉글랜드 vs 세네갈
국제축구연맹(FIFA) 2022 카타르 월드컵 첫 16강 대진표가 완성됐다. 8강 진출 티켓을 놓고 잉글랜드와 세네갈, 네덜란드와 미국이 각각 격돌한다. 30일(한국시간) 조별리그 A조와 B조 최종전이 잇따라 진행됐다. A조에서는 네덜란드와 세네갈, B조에서는 잉글랜드와 미국이 각각 조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네덜란드가 카타르를 2-0으로, 세네갈이 에콰도르를 2-1로 제압했다. 전후반 모두 큰 무리 없이 리드를 지킨 네덜란드는 2승 1무 승점 7점으로 A조 1위를 확정 지었다. 세네갈은 에콰도르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 16강 진출 티켓을 거머쥐었다. B조에서는 잉글랜드가 웨일스를 3-0으로, 미국은 '정치적 앙숙'인 이란을 1-0으로 이겼다. 잉글랜드는 경기 전반부터 75%의 독보적인 볼 점유율을 보이면서 웨일스를 압박했다. 3골 중 2골은 마커스 래시포드가 성공시켰다. 미국은 경기 전반 크리스티안 풀리시치가 만들어낸 결승 골을 잘 지켜내며 1-0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이로써 16강에서는 네덜란드(A조 1위)와 미국(B조 2위), 잉글랜드(B조 1위)와 세네갈(A조 2위)이 8강행 티켓을 걸고 경기를 치른다. 네덜란드와 미국은 다음 달 4일 0시에, 잉글랜드와 세네갈 경기는 다음 달 5일 오전 4시에 열린다. 현재까지 16강 진출을 확정한 국가는 D조의 프랑스, G조의 브라질, H조의 포르투갈 등이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지난 28일 가나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며 자력으로 16강에 진출할 수 없게 됐다. 다음 달 3일 0시 포르투갈과 조별리그 3차전을 치른 뒤 경우의 수를 따지게 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