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2023 신년사] 유창수 유진투자증권 부회장 "걱정보다 용기로 보란 듯이 이뤄내는 한해 만들어야"
유창수 유진투자증권 부회장(대표이사)은 신년사에서 당장보다 긴 미래를 바라보고 걱정보다는 용기를 내서 보란 듯이 이뤄내는 한해를 만들자고 주문했다. 유 부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지금 우리는 글로벌 불황의 긴 터널에 들어서고 있다"며 "2023년은 자본시장의 제도, 규범, 감독 등 여러 면에서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며 지금보다 혹독한 환경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다만 "난세에 영웅이 나온다는 말이 있듯이 위기와 도전이 공존하는 지금 얼마나 더 가다듬고 단련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다"며 "움츠러들지 않고 새로운 기회를 찾으며, 보다 빠르게 움직인다면 위기로부터 회복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부회장은 먼저 'Back To Basics', 기본에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 금융서비스가 업권의 경계를 넘어 융합되고 크립토와 NFT 등의 등장으로 영역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증권업의 본질과 기회를 다시 생각하고 강점을 활용하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신탁과 펀드, 랩 등 상품 라인업 재정비와 브로커리지 역량 향상을 통한 수익성 확보, 이익 중심 영업전략을 바탕으로 하는 자금 효율성 제고도 강조됐다. 담대하고 과감한 도전도 새해 목표로 제시됐다. 어려운 때일수록 새로운 트렌드와 기회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기회포착을 극대화해서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력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유진투자증권은 미국과 싱가포르 등에 해외거점을 열어 글로벌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이 과정에서 유진금융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위기를 극복해 더 단단한 유진으로 거듭날 것도 촉구했다. 고객의 신뢰, IT 경쟁력, 회사의 평판, 금융인재, 시너지, 네트워크 등 위기를 극복해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의 핵심 요소를 임직원 모두가 배양해야 한다는 목표다. 유 부회장은 비용 효율화를 통해 낭비요인을 없애는 한편 조직과 보상체계 정비를 통해 조직과 보상체계 정비로 최대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유 부회장은 "등산이나 자전거 레이스에서 아마추어는 결승점까지의 거리와 어려운 코스에 부담을 느끼고 포기하지만 프로는 힘든 코스를 가다보면 쉬어가는 곳이 분명히 있고 몇 번을 견디고 이겨내면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도전한다"며 "자본시장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그동안 숱한 굴곡을 잘 이겨냈고 지금의 상황 또한 앞으로의 성장을 위한 시련의 일부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임직원 모두 당장보다 긴 미래를 바라보고 걱정보다는 용기를 내서 보란 듯이 이뤄내는 한해를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 스스로 새롭게 증권업을 정의한다는 각오로 비즈니스를 구축하고 재정비해야 한다. 1등 도약을 위한 차별화를 달성해서 중장기 비전을 실현하고 새로운 판을 만들자"고 격려했다.
-
-
-
-
-
-
[CEO칼럼] 우리사주와 ESG 경영
최근 ‘ESG 경영’이 전 세계 경영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주요 국가들의 연기금을 중심으로 ESG 정보공시를 의무화하였으며, 글로벌 투자회사인 블랙록(Blackrock)의 CEO 래리 핑크는 투자자들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향후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투자 결정의 기준으로 삼겠다”고 선언하는 등 전 세계 투자회사들이 ESG 평가 정보를 실제 투자 시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는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하는 한편, 2030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지속가능한 기업경영’이라는 명제를 내세우는 ESG에 대한 소비자, 투자자, 정부 등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ESG 경영은 더 이상 경영진의 선택이 아닌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핵심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가치 향상과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최근 경영활동의 핵심 키워드다. 기업은 소비자에게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축적한 자본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개선함으로써 소비자의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한다. 지속가능한 경영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이유다.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힌 사회에 대한 책임이 강조되면서, 기업은 단순히 주주만 바라볼 수 없다. 이제 단순히 다수 지분을 가진 자가 독단적인 경영을 하는 기업 환경은 유지되기 어렵다. 근로자, 고객,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를 포용할 수 있는 ESG 측면의 경영전략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최근 경영활동 일선에 있는 근로자의 이익을 고려하고 동반성장에 눈길을 돌리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기업은 근로자를 단순한 자원(Human Resource)에서 자본(Human Capital)으로 보는 시각으로 전환하여 그 가치 향상을 위해 투자하고, 공정한 보상과 혜택을 제공하며, 다양한 의견을 경영에 반영하는 추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근로자가 주주가 됨으로써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과 노사협력을 증진시키는 우리사주제도는 기업에 매우 유용하며, 이해관계자를 포용할 수 있는 기업경영의 투명성 제고 차원에서 ESG와 긴밀한 관계에 있다. 우리사주제도는 근로자에게 소속 회사의 주식 취득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재산형성을 지원하는 한편, 근로의욕 고취를 통해 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생산적 근로복지제도이다. 이와 함께 기업 일선에 있는 근로자 주주는 내부감시자로서 경영 투명성을 개선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1968년 자본시장 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우리사주제도의 법률적 근거가 마련된 이래 2002년 근로자복지기본법으로 제도가 법제화 되었고, 이후 우리사주매수선택권(스톡옵션과 유사하게 우리사주 매입 옵션 부여)과 기업의 무상출연 제도(기업이 근로자에게 무상으로 우리사주를 부여)를 도입하는 등 여러 차례 제도 보완을 거쳐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사주제도의 운영 현실은 제도 개선의 속도나, ESG를 강조하는 경영환경 변화의 발걸음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우리사주를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허용되었음에도, 여전히 기업공개 등에 따른 우선배정 취득 비중이 55%에 육박한다. 한편, 우리사주 출연 재원도 근로자 부담으로 투자하는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근로자 부담으로 보유하는 우리사주의 비중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 경우 주가하락에 따른 손실위험을 전적으로 근로자가 부담하게 되므로, 우리사주를 장기보유하기 보다는 단기보유 후 매각을 선택하게 된다. 상장회사의 경우 우리사주 보유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 53% 수준을 보이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이 반영된 결과로서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 우리사주제도가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복지 증진, 기업지배구조 투명화 등 ESG 경영의 일환으로 활용되기 위한 몇 가지 개선방향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가 기업의 출연과 근로자의 투자를 병행(협력출연)하는 방식으로 우리사주 취득을 유도해야 한다. 근로자는 기업 내부의 주주로서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동시에 투자자로서의 긴장감을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기업의 출연으로 자사주를 매입하여 퇴직금으로 지급하는 방식(미국, 종업원지주제도(ESOP))과, 근로자의 적립금으로 매입한 자사주에 대응하여 회사가 추가적인 자사주를 무상으로 지급하는 방식(영국, 주식인센티브제도(SIP))을 참고할 수 있다. 둘째, 근로자가 기업 상장이나 유상증자 시에 간헐적으로 우리사주를 취득하여 단기 보유하기보다 노사가 사전에 협의한 계획에 따라, 수시·정기적으로 우리사주를 취득하여 장기 보유하는 등 지속성을 견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속성은 우리사주제도가 기업 내부시스템으로 정착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근로복지 증진, 경영성과 향상, 경영 투명성 개선 등 긍정적 효과를 내는 데 기반이 된다. 셋째, 기업이 우리사주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기업 내 우리사주제도의 활성화 정도를 ESG 평가등급 산정 시에 반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기업은 투자 유치, 기업 이미지 개선 등을 위해 ESG 평가등급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것이며, 우리사주제도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우리사주제도가 활성화되면, 근로자의 노동생산성 증진, 기업의 투명성 제고, 경영성과 향상에 이은 주가의 상승이 다시 근로자 주주의 부(富)로 환원되는 선순환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소위 “책임자본주의(responsible capitalism :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면서 사적소유와 시장기회의 추구를 수용하는 경제시스템)”가 설명하는 소수 기업(자본가)으로의 부의 편중, 노동 소득률 감소 및 불평등 완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상장기업에 대한 ESG 표준에 종업원지주제도(ESOP)를 포함하자는 해외 시각도 확인되는 등 우리사주제도의 취지는 ESG 경영의 기본정신과도 부합한다. 향후 ESG 경영의 관점에서 우리사주제도 활용에 관한 폭넓은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길 바란다.
-
-
-
-
-
-
[마감시황] 코스피, 배당락일 맞아 2.25%↓… 2차전지·반도체도 부진
코스피가 2% 넘게 하락했다. 반도체와 2차전지주가 부진하면서 배당락 외에도 추가적인 하락이 발생했다. 미국채 금리 상승과 테슬라 등 글로벌 기술주 투심 악화 등이 약세를 유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2.34포인트(2.24%) 내린 2280.45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36.34포인트(1.56%) 내린 2296.45로 출발했다. 기관은 8276억원, 외국인은 3102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1조76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기아(-4.99%), LG에너지솔루션(-4.49%), LG화학(-4.14%), 삼성SDI(-3.37%), 삼성전자(-2.58%), 현대차(-2.53%), SK하이닉스(-1.30%), 네이버(-0.55%), 포스코홀딩스(-0.34%) 등은 하락했다. 상승한 종목은 삼성바이오로직스(0.24%)뿐이다. 업종별로는 증권(-4.45%), 비금속광물(-4.42%), 통신업(-4.37%) 등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전기가스업(3.31%), 기계(1.13%) 등이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11.82포인트(1.68%) 내린 692.37로 마감했다. 지수는 4.95포인트(0.70%) 내린 699.24로 출발했다. 기관은 3677억원, 외국인은 3102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5911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모두 하락했다. 종목별 낙폭은 엘앤에프(-7.45%), 에코프로비엠(-5.82%), 에코프로(-5.55%), 셀트리온헬스케어(-5.29%), 셀트리온제약(-5.06%), 리노공업(-4.14%), 펄어비스(-3.15%), HLB(-2.48%), 카카오게임즈(-2.31%), 스튜디오드래곤(-1.03%) 등이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4.3%), 일반전기전자(-3.52%), 인터넷(-3.41%) 등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운송(1.26%), 통신서비스(0.66%), 의료정밀기기(0.30%) 등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배당락일 영향을 제외해도 하락했다. 전일 미국채 금리 상승 부담과 기술주에 대한 투심 악화 때문"이라며 "반도체와 2차전지 대표주가 증시 하락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
-
[개장시황] 국내증시, 배당락일 하락 출발… 코스피 2% 가까이 약세
배당락일을 맞은 국내증시가 약세로 출발했다. 기관과 외국인이 장초반 각각 1000억원 가까이 순매도하면서 코스피는 2% 가까이 하락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2.23포인트(1.81%) 내린 2290.56을 기록 중이다. 지수는 36.34포인트(1.56%) 내린 2296.45로 출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외국인은 1010억원, 기관은 933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188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하락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37.63포인트(0.11%) 오른 3만3241.56으로 마감했지만 S&P500지수는 15.57포인트(0.40%) 내린 3829.25로, 나스닥지수는 144.63포인트(1.38%) 내린 1만353.23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기아(-4.06%), LG화학(-3.82%), LG에너지솔루션(-2.41%), 현대차(-1.58%), 삼성전자(-1.55%), 삼성SDI(-0.96%), 포스코홀딩스(-0.86%), 네이버(-0.83%), SK하이닉스(-0.52%) 등은 하락했다. 상승한 종목은 삼성바이오로직스(0.12%)뿐이다. 업종별로는 증권(-3.95%), 금융업(-3.84%), 보험(-3.72%) 등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전기가스업(0.56%), 섬유의복(0.11%) 등이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38포인트(0.76%) 내린 698.81을 기록 중이다. 지수는 4.95포인트(0.70%) 내린 699.24로 출발했다. 외국인은 226억원, 기관은 177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40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리노공업(-3.24%), 엘앤에프(-2.92%), 펄어비스(-2.70%), 에코프로비엠(-2.25%), 에코프로(-2.24%), 셀트리온제약(-1.69%), 스튜디오드래곤(-1.61%), 셀트리온헬스케어(-1.56%), 카카오게임즈(-1.39%) 등은 하락했다. 상승한 종목은 HLB(0.99%)뿐이다. 업종별로는 디지털컨텐츠(-2.11%), 비금속(-1.64%), IT부품(-1.43%) 등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기타제조(0.56%), 금속(0.20%), 출판매체복제(0.11%)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