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오늘의 부고>
▲ 정연현씨 별세, 동철(연합뉴스 시드니 통신원)·동일(건축기사)·동숙씨(고운약국 약사) 부친상, 김병창씨(대구 가톨릭대학 교수) 장인상, 김민아씨(플루티스트) 시부상 = 20일 오전 9시 10분, 경북 영천 국화원 장례식장 202호실, 발인 23일 오전 10시 30분. ☎ 054-331-4444 ▲ 정병완씨 별세, 재열(사업)·유정(㈜현우피엔피 대표이사)·혜정씨(J-Line 대표이사) 부친상, 신승규씨(현대차 전략기획실 상무) 장인상 = 19일 오후, 중앙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 22일 오전 6시 30분. ☎ 02-860-3500 ▲ 서동철씨 별세, 현경씨(연합뉴스 디지털기획팀 차장) 부친상, 강규일씨(연합뉴스 디지털사업부 차장) 장인상 = 20일 오전 7시 27분, 충남대학교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대전광역시 중구), 발인 22일 오전 9시 30분. ☎ 042-280-8181
-
-
-
-
시너지코리아, 2023 VIP 서밋 개최 성료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이하 시너지코리아)가 지난 11일, 12일 양일간 인천 파라다이시티 호텔에서 VIP 서밋을 개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VIP 서밋은 성장을 만들어 온 500여명의 VIP회원들을 초청해 축하와 감사를 전하고 올해의 비전을 발표한 행사로 △2023비전 발표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기금 전달 △프렌즈오브시너지 △리더십 스피치 △인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먼저 김혜련 지사장은 3년 만에 개최된 서밋의 의미를 되새기며, 감사와 환영의 인사를 전하고 시너지월드와이드의 성장을 견인해 온 시너지코리아의 저력과 새로운 도약을 강조했다. 이어 마케팅, 브랜딩, 세일즈 팀은 신제품과 브랜딩 전략, 이벤트 및 프로모션 플랜을 소개하며 회원들의 비즈니스를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기금 105,000,000원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 전달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 기금은 회원과 임직원의 자발적인 참여(매월 수익의 0.5% 적립)로 조성되는데, 지난해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창사 이래 가장 많은 기금이 모였다고 밝혔다 이어 시너지 공식 모델인 배드민턴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이용대 선수를 ‘프렌즈오브시너지’로 선정하며, 감사패를 전했다. VIP 서밋을 축하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시너지월드와이드 댄 노먼 사장은 2023년 글로벌 비전 및 전략을 발표하며 시너지월드와이드를 리딩해 온 시너지코리아가 더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시너지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VIP 서밋은 3년만에 열리는 큰 행사였던 만큼 모두의 기대가 매우 컸다”라며 “2023년 새로운 도약을 위한 시작을 성공적으로 알린 것 같아 매우 뜻깊은 행사였다”고 소감을 전했다.
-
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 지식통합서비스 오픈
한국문화정보원(이하 문정원)이 운영하는 문화포털은 지난 19일 개편을 통해 그동안 각 기관에 흩어져 있던 지식자료를 한데 모은 ‘문화자료관’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또한 대상자별 문화정책수혜 안내서비스인 ‘문화드림’도 새롭게 선보인다. 문화포털은 ‘문화자료관’ 서비스를 통해 △전국박물관의 소장품 목록(국립중앙박물관), △무형유산 기록화 및 구술 채록(국립무형유산원), △한국세시풍속사전(국립민속박물관), △문화재 연구자료(국립문화재연구원), △영화정보 DB(한국영상자료원) 등 다채로운 문화기록자료 160만 건을 제공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문화지식자료를 통합 검색·확인할 수 있게 했다. 문화포털의 또 다른 신규 서비스인 ‘문화드림’은 문체부 산하기관의 문화분야 지원사업을 대상별로 구별하여 소개한다. 소외계층(소외계층 신문 구독료 지원(예술경영지원센터)), 노년(어르신 체육활동 지원사업(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행복나눔체육교실(대한체육회)) 등 문화의 손길이 닿기 어려운 수혜자들도 문화분야 수혜자별 지원사업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문정원은 신규 서비스를 위해 지난 19일 문화포털을 전면 개편했다. 이번 개편은 신규 서비스 오픈과 더불어 UI/UX 개선에 중점을 둬서 사용자 편의성을 더했다. 또한 전국 문화공간을 입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3D 지도(스카이뷰)를 도입하고, 지난해 시범적으로 선보였던 챗봇서비스도 확대할 예정이다. 문화특화서비스인 ‘집콕+집밖 문화생활’과 ‘문화TV’, ‘전통문양’등의 서비스도 지속 제공한다. 홍희경 문정원 원장은 “정부 기조인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조에 맞춰 문화분야에서 문화포털이 최초로 ‘먼저 찾아가는 공공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며 “그동안 찾기 어려웠던 지식자료와 수혜안내서비스 등을 담은‘문화자료관’과 ‘문화드림’ 서비스를 시작으로, 앞으로 문화포털은 정보-지식-데이터 통합 플랫폼의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포털 홈페이지와 문화포털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