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CES 2023] 삼성전자, CES 2023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초연결 경험' 비전 제시
삼성전자가 5일부터 8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3'에서 '맞춤형 경험으로 여는 초(超)연결 시대'를 제안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기술을 통해 세상의 바람직한 변화에 앞장선다는 비전을 제시한다. 삼성전자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as Vegas Convention Center)에 참가업체 중 가장 넓은 3,368㎡(약 1019평)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하고 △지속가능(Sustainability) △스마트싱스(SmartThings) △파트너십(Partnership)을 키워드로 기기간의 연결을 넘어 사람과 사람, 사람과 환경과의 연결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스마트싱스만의 차별화된 기술을 더욱 효과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전시관 전체를 단순 제품 전시가 아닌 홈 시큐리티(Home Security)와 패밀리 케어(Family Care), 헬스&웰니스(Health&Wellness) 등의 경험 위주로 구성했다. 2023년형 Neo QLED 8K부터 패밀리허브 신제품을 비롯한 여러 비스포크 가전, 갤럭시 Z 폴드4·플립4, 갤럭시 워치 등 모바일 기기, 스마트 모니터 등 삼성전자 제품과 파트너사 제품들을 연결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연출했다. 전시장 입구에 가로 약 8.6m, 세로 약 4.3m의 대형 LED 스크린 등 총 5개의 스크린을 설치해 초연결 경험을 미리 만나볼 수 있도록 했다.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선보여 대형 파사드를 지나 부스에 들어서면 지난해 9월 발표한 新환경경영전략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존을 만나게 된다. Neo QLED 8K를 비롯해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과 '더 세리프'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 △자원 순환을 위한 노력 △친환경 기술 생태계 조성 등에 대한 삼성의 의지와 약속을 보여준다. 친환경 비전 실현을 위한 삼성전자의 다양한 노력도 소개한다. 소싱(Sourcing)부터 생산·사용·패키징·폐기 등 총 5단계 11개의 제품 생애주기(Product Life Cycle)별 친환경 활동을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로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공정 가스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대용량 통합 온실가스 처리시설(RCS·Regenerative Catalytic System)'을 처음 소개한다. 반도체 업계에서 RCS를 활용하는 곳은 삼성전자가 최초이자 유일하다. 삼성전자는 처리효율이 95%로 내구성이 뛰어난 신규 촉매를 RCS에 적용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은 공정 가스도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또한 파타고니아와 협업해 개발한 미세 플라스틱 저감 세탁기 등 친환경 제품, 미래형 친환경 주거 형태인 '넷 제로 홈(Net Zero Home)',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기기들의 소모 전력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 에너지'와 'AI 에너지 모드' 등 에너지 절감 솔루션도 대거 전시한다. 삼성전자는 환경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노력도 소개한다. 더 많은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TV를 통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접근성 기능을 대폭 강화한 2023년형 TV 신제품을 선보인다. 화면의 윤곽선, 색채와 명암 대비를 강조해 저시력자들의 시청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릴루미노(Relumino)' 모드, AI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의 주요 자막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자막 방송을 보여줘 청각장애인의 편의를 높인 '오토 캡션 모드'를 탑재했다. ◆스마트싱스·녹스·빅스비 등 3대 핵심 플랫폼 기반 차별화된 경험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월(SmartThing Wall)'을 통해 3대 핵심 플랫폼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주요 제품과 다양한 집 안 기기들이 어떻게 연결돼 고객의 삶을 더dnr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지 보여준다. 3대 핵심 플랫폼은 △통합 연결 경험 브랜드이자 제품과 제품을 연결하는 '스마트싱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해주는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Samsung Knox)' △음성 인식을 넘어 AI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스비(Bixby)'이다. 삼성전자는 이를 바탕으로 쉬운 연결·편리한 기기 제어·고객 맞춤형 서비스 등 차별화된 통합 연결 경험을 선사하며, 진정한 '캄테크(Calm Technology)'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기기들이 알아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캄 테크 기반 쉬운 연결(Calm onboarding)' 기술을 처음 선보인다. 저전력 블루투스(BLE) 탐색, 자동 인증 등의 단계가 새로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서 알아서 진행되어 편리함을 누리기 위한 불편한 과정을 없애 준다. 예를 들어 새 스마트 오븐을 구입하면 사용자가 직접 등록하지 않아도 스마트싱스에 기기가 추가되며, 이사를 하거나 네트워크를 변경할 때에도 모든 기기의 와이파이를 재설정하시지 않아도 모바일이나 허브 기기의 네트워크 재설정을 통해 한번에 네트워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집 안에서 밖으로 스마트싱스 확장···더욱 가치 있고 풍부한 경험 제공 삼성전자는 CES 2023에서 집 안에서뿐 아니라 밖으로 확장되는 진화한 스마트싱스 경험을 선보인다. 홈 시큐리티존에서는 삼성 TV와 1000개 이상의 스마트싱스 호환기기를 통해 외출시에도 집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스마트싱스 홈 모니터'를 시연한다. TV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집 안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이고, 누수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해 침수와 화재 상황도 전달받을 수 있다. 3월부터는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의 홈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빈 집에서 사람 형태가 인식되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다. 외출 중 연로하신 부모님이나 반려동물을 지키는 경험은 패밀리 케어존에서 확인할 수 있다. TV의 내장 마이크로 소리를 인식해 부모님의 위급 상황을 감지해 자녀의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걸어주고, 자녀는 TV 카메라를 통해 부모님 상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스포크 제트 봇 AI에 고양이 인식 기능도 추가되며, 고양이나 강아지 등 반려동물이 열린 문틈으로 집을 나갈 경우 출입 알림을 받고 현재 위치도 찾을 수 있다. 스마트싱스의 통합 연결 경험을 집 밖으로 확장해 안전하고 편안한 운전 경험도 소개한다. 폭염이나 한파가 몰아치는 날 외출하기 전에 집에서 미리 차량 공조를 설정해 쾌적한 탑승 경험을 완성하거나, 외출에서 돌아올 때 차량 안에서 간편하게 집안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갤럭시 워치를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수면·일상 활동기록과 차량의 카메라·센서를 연동해 운전자의 인지 수준을 측정하고 상태 변화를 파악해 경고 메시지·조명과 공조 등 차량 환경을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교통 체증·날씨 등 실시간 스트레스 요인을 감지해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낮추는 대체 경로를 제안하기도 한다. 헬스&웰니스존에서는 삼성 헬스와 스마트싱스 쿠킹 서비스를 연계해 꾸준한 운동과 다양한 비스포크 가전을 활용한 맞춤형 식단을 통해 집 안에서의 건강 관리 경험을 선보인다. 특히 미국 헬스탭(HealthTap), 국내 굿닥(Goodoc)과 협업해 병원에 갈 필요 없이 집 안에서도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를 시연한다. 진료 예약은 물론 갤럭시 워치나 혈압계, 체중계 등을 활용한 삼성 헬스의 바이탈(vital) 정보를 원격 진료 중인 의료진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진단과 처방전 발행까지 가능하다. 엔터테인먼트존에서는 TV·모바일·패밀리허브 등 다양한 삼성 제품에서 쉽고 빠르게 즐길 수 있는 '삼성 TV 플러스'를 선보인다. 다양한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무료로 즐길 수 있는 채널형 비디오 서비스로 삼성 계정을 연동하면 여러 기기를 넘나들며 집 안팎에서 끊어짐 없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필립스 휴(Hue)와의 협업을 통해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게임&비디오 싱크'와 '뮤직 싱크' 경험도 소개한다. 각각 게임이나 TV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음악에 맞춰 조명의 색과 밝기가 변해 콘텐츠 감상의 생동감을 더한다. 특히 스포티파이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던 뮤직 싱크는 스마트싱스를 사용하는 전세계 2억명 이상이 즐길 수 있게 됐다. 차량에 내장된 사운드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를 간편하게 활성화시켜 하만의 뛰어난 음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기분 좋은 주행을 돕는 '레디 튠(Ready Tune)' 기능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워크존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재택 근무 경험을 제안한다. 삼성 스마트 모니터로 사무실의 갤럭시 북2에 원격 접속해 업무를 이어갈 수 있으며, 원격 PC 연결에 필요한 번거로운 절차 없이 자동으로 쉽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다. 구글·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갤럭시 기기와 다양한 삼성전자 제품을 활용한 스마트 워크 환경도 체험할 수 있다. 화상 통화 앱 구글 미트(Google Meet)나 Windows와 연결(Link To Window) 기능을 활용해 업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매터·HCA 파트너십으로 스마트싱스 에코시스템 무한 확장 삼성전자는 전시관 마지막 부분에 오픈 플랫폼인 스마트싱스의 강점을 '에코시스템 월(Ecosystem Wall)'을 통해 소개하며, 소비자와 파트너사 모두에게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함을 강조한다. 스마트싱스는 현재 300여개 파트너사 약 3000종의 제품을 지원하며, 특히 매터(Matter)와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표준도 지원해 사용자들의 기기 선택권과 사용성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에코시스템 월에서는 스마트 전구·스마트 스위치·도어락 등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27개사 200여개 제품과 HCA 15개 회원사 제품이 실물 혹은 디지털 컨텐츠로 표현된다. 이를 통해 각 전시공간별로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와는 별도로 스타트업 전시관인 유레카 파크에 C랩(C-Lab) 전시장을 마련한다. C랩 전시장에는 임직원 대상 사내 벤처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의 우수 과제 4개와 외부 스타트업 대상 프로그램인 'C랩 아웃사이드'로 육성한 스타트업 8개를 함께 전시한다.
-
-
[CES 2023] LG전자, 더 밝고 선명해진 2023년형 LG 올레드 에보 선보인다
LG전자가 더 밝아지고 선명해진 2023년형 올레드 에보를 공개하고 고객 맞춤형 경험이 강화된 TV 사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 LG전자는 지난 10년간 쌓아온 올레드 TV 리더십과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진화한 독자 TV 운영체제 webOS를 기반으로 TV 사업의 새로운 비전을 ‘싱크 투 유, 오픈 투 올(Sync to You, Open to All)’로 정립했다. 새로운 비전은 제품 개발부터 구매 및 사용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고객 경험에 집중하고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스크린 경험을 모두가 자유로이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다. ◆올레드 名家 10년의 경험···더 밝고 선명해진 올레드 에보(OLED evo) LG전자는 올해로 올레드 TV 사업 10주년을 맞았다. 화질과 디자인 모두 진화를 거듭해온 LG 올레드 TV는 CES 2023에서 최고 혁신상 2개를 포함, 모두 12개의 혁신상을 받으며 지난 2013년 첫 출시 이래 한 해도 빠짐없이 11년 연속 CES 혁신상을 받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올해 LG 올레드 에보(OLED evo)는 영상의 각 장면을 세분화해 밝기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독자 영상처리기술'과 보다 정밀해진 '빛 제어기술'로 더 밝고 선명한 화면을 보여준다. 65형(대각선 길이 약 163센티미터) 올레드 에보는 같은 화면 크기의 일반 올레드 TV 제품 대비 최대 70% 가량 밝아지고 기존 동급 제품 대비 빛 반사와 화면 비침 현상은 줄었다. LG 올레드 에보는 세계 최초로 HDMI 2.1a의 최신 규격인 QMS VRR(Quick Media Switching VRR) 인증을 받았다. 이 기술은 TV와 HDMI 포트로 연결된 기기에서 프레임(초당 재생되는 화면 수)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번갈아 볼 때 발생하는 화면 끊김 현상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TV와 연결된 셋톱박스로 영화를 즐기다 이어서 스포츠 영상을 시청할 때 화면이 전환되는 동안 검은 화면이나 끊어짐 없이 부드럽게 보여준다. 인공지능 화질·음질 엔진인 알파9 프로세서는 6세대로 한층 더 강화됐다. 영상 제작자의 의도까지 분석해 화면 노이즈를 조절하고 장면 속 얼굴, 사물, 글씨, 배경 등을 인식해 보다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다이내믹 톤 맵핑 프로(Dynamic Tone mapping Pro)는 각 장면을 세분화해 각각의 구역별로 HDR 효과는 물론, 밝기까지 세밀하게 조절한다. 또 맞춤 화면 설정(AI Picture Wizard)을 활용하면 나에게 꼭 맞는 TV 화질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색상, 명암비, 선명도 등을 원하는 대로 선택해 시네마/스포츠 등 기본 모드 외 나만의 화질 모드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인공지능 음향 기술은 2채널 음원을 이제 가상의 9.1.2채널까지 변환해 더 풍성한 음향을 구현한다. 또 LG 사운드바와 맞춤형 입체 사운드를 구현하는 와우 오케스트라(WOW Orchestra) 기능도 처음 탑재했다. ◆고객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꼭 맞춘 차별화된 경험 LG전자는 webOS를 기반으로 기존 TV가 주는 재미와 휴식의 가치는 물론,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해 차별화된 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선보인다. 올레드 TV를 포함한 2023년형 LG 스마트 TV는 고객에게 맞춤형 사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방송이 아닌 webOS의 홈 화면을 먼저 보여준다. 모바일 기기처럼 OTT,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강화했다. webOS 23의 홈 화면은 개인별 계정을 기반으로 나만의 화면을 자유롭게 구성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를 즐기는 고객은 자주 이용하는 스포츠 관련 앱을 중심으로 홈 화면에 배치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한 대의 TV를 여러 사람이 사용할 때도 계정별로 시청 이력을 분석해 맞춤 콘텐츠를 추천한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음악 서비스 앱을 LG 스마트 TV에서 이용하면 스마트폰에서 듣던 음원을 TV에서도 이어 들을 수 있다. 고객이 음성으로 콘텐츠를 검색하면 검색 기록과 자주 이용한 앱 등을 분석해 연관 콘텐츠도 추천한다. 또 많은 사람이 검색한 인기 키워드와 검색한 콘텐츠에 어울리는 TV 기능도 안내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 콘텐츠를 검색한 고객에게는 '아이컴포트 모드(Eye-comfort mode)' 등을 추천하는 식이다. LG 스마트 TV에서 제공하는 LG 아트랩과 집에서도 피트니스 전문가의 코칭을 제공하는 LG 피트니스 서비스는 각각 CES 2023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받았다. LG 아트랩은 지난해 9월 미국에서 선보인 NFT 아트 플랫폼으로 TV에서 NFT 예술 작품 감상은 물론 거래까지 가능한 서비스다. ◆ESG 관점의 제품 접근성도 대폭 강화…모두가 누리는 LG TV만의 고객 경험 LG전자는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 라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향점 아래 지난 2021년부터 장애인과 접근성 전문가로 구성된 ‘장애인 고객 자문단’을 운영하며 제품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LG TV는 TV 메뉴나 시청 중인 화면을 음성으로 설명해주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리모컨의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해 검색하면 검색 결과도 음성으로 안내한다. TV가 켜진 채 장시간 동안 조작이 없어 대기 상태로 변경되면 현재 화면 상태와 조치 방법도 음성으로 알려준다. 시각장애인은 물론 고령자들을 위한 '리모컨 배우기 기능'은 리모컨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해당 기능을 음성으로 설명해줘 편리하다. 저청력자의 경우 자막이나 수어 해설이 있는 방송을 시청할 때 리모컨의 방향 버튼을 눌러 자막의 위치뿐만 아니라 수어 해설 화면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LG전자는 TV를 생산할 때 드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컬러잉크를 사용하지 않은 포장재와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등 친환경을 위한 노력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리모컨 포장재는 땅에 묻어도 분해되는 바이오 소재를 사용하고 올레드 에보(G·C시리즈)에는 복합섬유구조를 활용한 신소재를 적용해 제품 무게를 줄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도 줄이고 있다. 박형세 LG전자 HE사업본부장은 "LG전자는 지난 10년간 올레드 명가(名家)로서 고객경험 혁신에 앞장서 왔다"며 "차원이 다른 올레드 화질과 디자인은 물론, 고도화된 플랫폼 경쟁력을 기반으로 기존 TV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가치를 고객에게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CES 2023] 삼성디스플레이, 'CES 2023'서 미래형 혁신 제품 대거 공개
삼성디스플레이가 OLED의 미래를 보여주는 혁신 제품들로 'CES 2023'을 찾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5~8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열리는 'CES 2023'에서 '파괴적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연다(Disruptive Tech Journey Unlocks Sustainable Futures)'라는 주제로 고객사 대상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폴더블과 슬라이더블, 두 가지 혁신 기술이 하나로 집약된 '플렉스 하이브리드'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또한 미래 노트북의 원형이 될 17.3형 대화면 슬라이더블 제품과 한층 진화된 정교한 AI 기술과 신규 유기 재료를 적용해 더욱 밝고 현실적인 화질을 보여줄 'QD-OLED 2023' 등 중소형과 대형을 아우르는 혁신적인 OLED 제품들을 전시, 전자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폴딩·슬라이딩 모두 가능한 하이브리드 제품&대화면 슬라이더블 동시 공개 이번 전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제품은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적인 폼팩터 기술이 하나로 집약된 '플렉스 하이브리드(Flex Hybrid)'이다. 그동안 여러 전시회를 통해 차세대 폴더블, 슬라이더블 제품을 선보여왔던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CES에서 두 가지 혁신 기술을 하나로 결합한, 미래형 스마트 모바일 기기 '플렉스 하이브리드'를 선보인다. 이 제품은 화면 왼쪽에는 폴더블 기술이, 오른쪽에는 슬라이더블 기술이 적용됐으며 왼쪽을 펼치면 10.5형 4.3 비율의 화면을, 오른쪽 화면까지 당기면 16:10 화면비, 12.4형 대화면 디스플레이로 영화나 유튜브를 즐길 수 있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이 지난 9월 '2022 인텔 이노베이션'에서 깜짝 공개한 17형 대화면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도 이번 CES에서 정식으로 소개된다. 이 제품은 화면을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플렉스 슬라이더블 솔로(Flex Slidable Solo)'와 '플렉스 슬라이더블 듀엣(Flex Slidable Duet)', 두 가지 활용법이 있다. 평소에는 13형 ~14형 태블릿 사이즈로 휴대 또는 사용하다가 멀티 태스킹이 필요하거나 영화나 게임 콘텐츠를 즐길 때는 17.3형 사이즈로 화면을 확대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특히 이 제품은 대화면 노트북에 버금가는 화면 크기에 휴대성까지 갖추고 있어 미래형 노트북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연이은 혁신 기술 적용된 '23년 QD-OLED' 라인업 첫 선 'CES 2022'에 처음 등장해 세상에 없던 컬러, 어떤 시청 각도에서도 왜곡이 없는 최상의 화질로 소비자들을 놀라게 했던 QD-OLED가 'QD-OLED 2023'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다시 CES를 찾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에 선보였던 55형, 65형, 34형 제품에 초대형 77형 TV용 QD-OLED, 49형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용 QD-OLED를 추가해 '23년 라인업을 완성했다. 특히 '23년형 제품에는 한층 진화된 AI 기술과 최신 유기 재료를 적용해 RGB 각각의 밝기를 합친 최대 밝기가 2,000니트(nit) 이상으로 향상, 또 한 번 압도적인 화질을 구현했다. 또 QD-OLED의 블루 발광원층에 최신 유기 재료를 적용, 발광원의 효율을 높이고 이를 통해 QD 색변환층을 통과한 RGB 빛이 더 밝아지고 화면의 색도 더욱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또 한 번의 화질 혁신을 꾀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고효율 유기 재료와 한층 진화된 AI 기술을 적용해 'QD-OLED 2023'은 '22년형 제품 대비 소비전력이 25% 감소했다"며 "소비자들은 전력 소비는 줄이면서 어두운 화면뿐만 아니라 아주 밝은 화면에서도 실제와 같이 정확한 색과 한층 더 생동감 있고 풍성한 화질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화면 '뉴 디지털 콕핏' 벤더블 기능 탑재로 최적 시청 거리 확보 삼성디스플레이는 향후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자율주행차 시장, 변화하는 자동차 디자인 트렌드를 겨냥해 자동차용 신제품 '뉴 디지털 콕핏' 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이 제품은 34형과 15.6형 디스플레이를 결합한, 좌우로 긴 형태의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디지털화된 자동차 조종석)용 디스플레이다. 대화면에 슬림한 베젤이 돋보이는 제품으로 자율 주행 모드에서는 엔터테인먼트용 대화면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좌우가 700R로 구부러지는 벤더블(Bendable) 기술을 탑재해 드라이빙 모드 시 운전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시청 거리를 제공, 주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OLED는 디자인 확장성에 완벽한 블랙 표현력이 더해져 고급스러운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적인 부품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특히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뿐 아니라 커브드 디자인이 가능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리지드까지 다양한 자동차용 솔루션(Solution)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친환경 기술을 소개하는 전시 공간도 마련했다. 'OLED Grows Green' 존에서는 온실가스 발생을 저감시키는 친환경, 저전력 기술을 선보이는 한편 OLED 생산 공정에서 대체 불가능한 자원으로 꼽히는 유리를 재활용하는 과정도 소개한다.
-
[CES 2023] 삼성전자, CES 2023서 모니터 신제품 대거 공개
삼성전자가 5일부터 8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3'에서 세계 최초 듀얼 UHD 게이밍 모니터 등 올해 출시할 신제품을 대거 공개한다. 대표적인 제품은 4종이다. △세계 최초 듀얼 UHD 해상도를 지원하는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네오 G9' △OLED 패널을 탑재한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OLED G9' △5K 고해상도 모니터 '뷰피니티 S9' △'스마트 모니터 M8' 등이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정훈 부사장은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2023년형 모니터 신제품 라인업을 완성했다"며 "앞으로도 삼성전자의 기술 혁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고의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최초 듀얼 UHD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네오 G9' 오디세이 네오 G9은 기존 모델(49형) 대비 약 37%(면적 기준) 커진 57형 크기와 1000R 곡률의 커브드 디자인 제품으로, 세계 최초로 듀얼 UHD 해상도를 지원하는 게이밍 모니터이다. 특히 모니터 중에서는 세계 최초로 DP(DisplayPort) 2.1 규격을 지원해 최고 수준의 화질 구현이 가능하다. DP 2.1 규격은 DP 1.4 대비 약 2배 이상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영상 정보를 왜곡 없이 전송 가능한 시각적 무손실 압축 DSC 코덱이 적용됐다. 기존 LED 대비 40분의1(높이 기준) 크기로 작아진 '퀀텀 미니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삼성의 독자적 화질 기술인 '퀀텀 매트릭스 기술'과 'VESA Display HDR™ 1000' 규격을 만족한다. ◆240Hz 고주사율·0.1ms 반응속도의 '오디세이 OLED G9' 삼성전자는 49형 크기의 OLED 패널이 적용된 오디세이 OLED G9도 선보인다. 오디세이 OLED G9은 1800R 곡률의 커브드 디자인에 32:9 와이드 스크린 화면, 듀얼 QHD(512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는 게이밍 모니터이다. 픽셀 단위로 밝기 조절이 가능한 OLED 패널을 탑재하고, 최대 240Hz의 고주사율과 실시간에 가까운 0.1ms(GTG)의 반응 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PC 없이도 다양한 OTT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삼성 스마트 허브'와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연동 서비스인 '삼성 게이밍 허브'를 탑재해 프라임 비디오·넷플릭스·유튜브는 물론 엑스박스 게임 패스(Xbox Game Pass)·지포스 나우(GeForce Now) 등의 게이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5K 고해상도 지원 전문가용 모니터 '뷰피니티 S9' 삼성전자는 그래픽 디자이너나 사진 작가 등 장시간 고화질 이미지와 영상 작업이 필요한 전문가를 위한 최고급 고해상도 모니터 '뷰피니티 S9'을 공개한다. 27형 크기의 뷰피니티 S9은 QHD 대비 4배 많은 약 1500만 화소의 5K(5120 x 2880) 해상도에 DCI-P3 기준 99% 색을 표현하며, 색 왜곡의 표준편차인 Delta E 값은 2 이하로 실제와 같은 정확한 색상을 구현한다. 화이트 밸런스와 감마 등 정교한 화질 교정이 가능한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기능뿐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 간편하게 화질을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 캘리브레이션'을 지원한다. 또한 USB 타입 C와 썬더볼트(Thunderbolt) 4를 모두 지원해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다. 자석을 이용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4K 고화질 '슬림핏 캠(SlimFit Cam)' 카메라를 이용해 구글 미트(Google Meet) 등 화상 솔루션 앱으로 원격 회의를 진행하기에도 편리하다. ◆스마트싱스 에코시스템의 중심, '스마트 모니터 M8' 삼성전자는 27형·32형 크기의 '스마트 모니터 M8'도 선보인다. UHD 해상도 제품으로, 색상은 웜화이트(Warm White), 선셋 핑크(Sunset Pink), 스프링 그린(Spring Green), 데이라잇 블루(Daylight Blue) 등 4가지다. 2023년형 신제품은 매터(Matter)와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표준을 지원하는 스마트싱스 허브(SmartThings Hub)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제어·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마이 콘텐츠(My Contents)' 기능을 처음 지원하는데, 모바일 기기와 모니터를 저전력 블루투스(BLE)로 연결하면 사용자가 모니터에 다가오는 것을 인식해 날짜·시간 등 기본 정보와 사진·일정 등 맞춤형 정보를 모니터로 보여준다. 이 밖에도 가로·세로 화면 전환(Pivot)과 보다 인체 공학적인 상하 각도 조절(Tilt)이 가능하며, 리모컨뿐 아니라 마우스로도 OTT 서비스 선택·제어가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됐다.
-
[미리보는 CES 2023] 삼성과 LG, 올해도 스마트홈 가전 패러다임 주도권 경쟁 임박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오는 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3'에서 새로운 가전 패러다임에 대한 주도권을 놓고 경쟁에 나선다. 기기 간 '연결'을 통해 자연스럽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매 후에도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되는 새로운 가전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양사가 이 같은 프리미엄 가전 제품을 통해 '수요 절벽' 위기를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홈 플랫폼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LG전자는 'LG 씽큐'를 앞세워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은 앞서 삼성 뉴스룸 기고문을 통해 "이번 CES 2023에서 '캄테크(Calm Technology)'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층 강화된 보안과 사물의 초연결 생태계에서 누리는 새롭고 확장된 스마트싱스 경험을 선보인다"고 예고하기도 했다. 캄테크는 다양한 기기의 직관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각종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홈 플랫폼 '스마트싱스'를 중심으로 다수의 기기를 연결해 이 같은 초연결 시대에 걸맞은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한 부회장은 "연결은 보다 쉬워지고, 개개인의 맞춤 경험은 AI로 더욱 정교해지며, 기기간 연결은 보다 안전해질 것"이라며 "삼성은 '스마트싱스 가시화'를 위해 업계의 다양한 파트너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맞춤형 연결 경험을 보다 안전하고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 보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조주완 LG전자 사장도 CES 2023 개막에 앞서 열리는 글로벌 프레스 콘퍼런스 'LG 월드 프리미어' 대표 연사로 등단해 미래 비전을 소개한다. 조 사장은 '고객의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는 의미인 LG전자 브랜드 슬로건 'Life’s Good'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 △고객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는 혁신 △고객의 경험을 새롭게 확장하기 위한 과감한 도전 △사람과 지구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동행의 약속 등을 소개한다. 스마트홈은 가전제품을 비롯한 집 안의 모든 장치를 연결, 제어하는 기술을 말한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기술로, 편의성 제고는 물론 에너지 절감 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삼성·LG전자 이외의 가전업계에서도 스마트홈을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다. 최근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이 이어지고, 제품의 내구도가 높아지면서 교체 주기가 길어진 탓에 수요를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서비스를 강화해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미래 잠재 고객을 확보한다는 전략인 셈이다. 실제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분석 자료를 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은 2021년 85조7048억원에서 올해 100조4455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8.4%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이미 가전제품들의 성능이 상당 수준으로 올라간 만큼 제품 간의 연결을 통한 편의성 강화가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며 "플랫폼에 한번 익숙해지면 다른 플랫폼으로 바꾸기 쉽지 않기 때문에 '락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
-
-
-
-
-
[미리보는 CES 2023] 돌아온 최첨단 '기술 월드컵'···삼성·LG·SK·현대重 총출동
글로벌 최첨단 기술의 흐름과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3'이 오는 5일(현지시간)부터 나흘 동안 미국 라스베이거스 일대에서 열린다. 올해는 한동안 움츠러들었던 전자업계의 대표기업들이 총출동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번 CES는 오프라인으로 4일간 치러지며 3년 만에 정상화된다. 2021년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으로 열렸고, 지난해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기간을 3일로 축소해 개최됐다. 올해 처음으로 정상 운영되는 CES 2023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SK 등 한국 기업 총 550개사를 비롯해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이 참여해 기술 경쟁을 벌인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323곳이 참가를 결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CES 2023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로 전시된다. 전 세계에서 3100개가 넘는 기업들이 출전해 지난해 2200개사보다 크게 늘었다. 이에 관람객 규모도 지난해 대비 40% 이상 늘어나 1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개최 전부터도 그동안 주력 전시 분야였던 가전(스마트홈,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외에도 메타버스, 헬스케어, 푸드테크 등을 주제로 한 전시가 이전보다 늘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코로나19 이후 혁신 기술의 트렌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 5G, 로보틱스&드론, NFT(대체 불가능 토큰), 스페이스 테크놀로지, 인공지능 등 세분된 주제로 전시회가 마련된다. 아울러 국내 스타트업들이 역대 가장 많은 수로 참가해 관심이 쏠린다. 국내 기업 550개사 중 스타트업은 350개사로 역대 최대 규모다. CES 2023 전체 참여기업이 3100개사임을 감안하면 전체의 10% 이상이 K-스타트업으로 채워지는 셈이다. 이렇듯 참여 기업이 대폭 늘어나면서 'CES 최고의 영예'로 꼽히는 혁신상을 받는 기업도 역대 최다 규모로 집계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삼성전자가 키워낸 C랩 소속 스타트업들이 CES2023 혁신상에서 역대 최다 수상 기록을 경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2개의 최고혁신상을 포함해 27개 혁신상을 받았다.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산업진흥원(SBA)의 지원을 받은 스타트업 중 14개사도 혁신상을 받았다. 물론 국내 대형 기술기업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CES 2023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프리미엄·맞춤형 가전제품을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3일에는 CES 개막에 앞서 '삼성 퍼스트룩 2023' 행사를 열고, 77인치 퀀텀닷(Q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등의 신제품을 공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CES 2023 개막에 앞서 '고객의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Life's Good)'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LG전자는 CES 2023 전시관에 다양한 UP 가전 제품을 배치·운영할 것으로 보인다. SK그룹은 SK이노베이션·SK하이닉스·SK텔레콤 등 8개 관계사와 글로벌 파트너사가 공동으로 전시관을 운영하면서 40여 개에 이르는 친환경 기술과 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CES 2023 전시관을 직접 찾을 예정이다. 현대중공업그룹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 CES에 참여한다. HD현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해양 시대 미래상을 공유한다. 지난해 CES에서 정의선 회장이 직접 나서 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사업 중 하나인 '로보틱스(Robotics)' 부문의 신기술을 공개한 현대차는 이번 CES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는다. 다만 계열사인 현대모비스가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공간(780㎡)을 마련해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콘셉트 모델 '엠비전 TO·HI'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재계 관계자는 "올해는 한국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혁신성을 글로벌에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경기 위축으로 투자받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K-스타트업의 기술적 진보를 입증받아 미래 판도를 바꿀 만한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CES 2023은 'Be in it'(빠져들어라)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한층 진화한 모빌리티, 메타버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휴먼 테크 등의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이번 행사에 전시되는 기술 가운데 500여 개 기술은 '혁신상'을, 그중에서도 17개 기술은 '최고 혁신상'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
LG전자 "2023년 AI 고도화 집중"…앰비언트 컴퓨팅 플랫폼 구축 정조준
LG전자가 새해 인공지능(AI) 분야 핵심 과제로 '앰비언트 컴퓨팅'을 내세웠다. 선제적으로 특정 작업을 제안·수행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경험 강화는 물론 전사 사업 역량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LG전자는 AI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연구소가 새해 핵심 전략 과제로 '앰비언트 컴퓨팅' 구축을 설정하고 기술 개발과 함께 전문 인력 확보에 나섰다고 1일 밝혔다. 앰비언트 컴퓨팅은 빅데이터 기반 차세대 AI가 언제 어디서나 고객 상황·상태를 정교하게 인지하고 판단해 선제적으로 특정 작업을 제안·수행하도록 알려주는 지능형 솔루션이다. 가령 고객이 평소 에어컨을 이용하는 패턴을 AI가 스스로 판단해 특정 기온에 다다르면 에어컨 전원을 켤지 끌지 먼저 제안하고 최적 온도와 풍량을 추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LG전자 인공지능연구소는 △음성·이미지·영상·감성·생체 인식 기반 공간 상황 △사용자 상태 인지, 맥락 대화, 감성 대화를 통한 논리 추론 △음성, 영상,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등 AI 원천기술 고도화에 집중한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가전, TV, 전장, 정보기술(IT) 등 주력 사업을 진화하고 디지털헬스케어, 확장현실(XR), 메타버스 등 신사업 분야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고 수준 AI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사내 전문가 양성은 물론 외부 인재도 영입한다. 최근 인공지능연구소장으로 AI 전문가인 김정희 전무를 영입한 것이 대표적이다. 김 전무는 서울대 전기공학부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99년 LG전자에 입사해 AI 분야에서 10년 넘게 근무했다. 이후 네이버랩스 등을 거쳐 현대자동차에서 AI 전문조직인 에어스 컴퍼니 대표를 역임했다. 아울러 LG전자는 우수 인재를 선제 확보하기 위해 연세대, 서강대 등과 손잡고 AI 관련 채용계약학과를 신설했다. 미국 등 해외에서 수시로 AI 콘퍼런스를 열어 글로벌 전문가들과 소통했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캐나다 토론토대 등 글로벌 대학과 손잡고 '인공지능 전문가(AI Specialist)'를 양성하는 사내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토론토대와는 2018년 AI 원천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토론토 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