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글로벌 VC 투자 4분기 연속 감소… 2019년 2분기 이후 최저 수준
글로벌 벤처캐피털(VC) 투자가 4분기 연속 감소해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인 회계·컨설팅기업 KPMG 인터내셔널이 26일 발간한 보고서(Venture Pulse Q4 2022)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글로벌 VC 투자는 7641건의 거래로 756억 달러에 그쳤다. 전 분기 9767건, 1022억 달러 대비 거래 건수와 규모가 모두 급감하며 2019년 2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인플레이션 및 급격한 금리 인상 등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해 VC 시장이 얼어붙었으며 올 1분기까지 전세계적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ESG 및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에너지 자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전기차와 같은 대체 에너지 기술 및 발전·분배 등 에너지 분야와 ESG 관련 솔루션에는 VC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4분기 VC 투자는 미주지역과 유럽, 아시아 등 모든 지역에서 거래 건수와 투자 규모가 감소했다. 아시아에 대한 VC 투자는 2022년 3분기 3052건, 304억 달러에서 4분기 2157건, 226억 달러로 투자건수가 30%가량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형벤처캐피털(CVC) 투자도 4분기 연속 감소했다. CVC 관련 총 투자액은 2021년 4분기 1080억 달러에서 2022년 4분기 365억 달러로 1년 새 약 70% 줄어든 양상을 보였다. 글로벌 벤처캐피털의 엑시트 활동도 2021년 4174건, 1조4270억 달러에서 2022년 2997건 3088억 달러로 전년 대비 크게 하락했다. 엑시트 규모가 7532억 달러에서 714억 달러로 무려 90% 감소한 미국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2022년은 미국과 유럽의 강력한 자금 조달로 인해 실제 투자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투자금을 뜻하는 드라이 파우더(Dry Powder)가 대규모로 축적됐다. 2022년 VC들은 2500억 달러 이상을 모금했으며 이는 지난 10년 간 세번째로 큰 규모다. 미국은 1600억 달러의 기록적인 투자금을 유치했다. 반면 아시아의 자금 조달은 4년 연속 감소했는데 이는 2014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2023년 1분기를 앞두고 소비재 중심의 기업들이 가장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세계 벤처캐피털 투자는 여전히 저조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의 기업공개(IPO) 장은 올해도 주춤할 것으로 보이며 기업들의 현금이 마르면서 기존보다 몸값을 낮춰 투자를 받는 다운라운드(Down Round)가 늘고 인수합병(M&A) 활동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지난해 4분기 가장 큰 투자 유치는 중국의 광저우자동차그룹(GAC) 산하 전기차 브랜드인 아이온(Aion)으로 나타났다. 투자금 유치액은 25억6000만 달러였다. 이어 온라인 패션브랜드 셰인(SHEIN) 10억 달러, SPIC 수소에너지 6억3100만 달러, 보야카 테크놀로지(Voyah Car Technology) 6억3000만 달러, 에스윈(ESWIN) 머티리얼 5억6200만 달러, 페이홍 테크놀로지 5억3700만 달러를 조달하는 등 중국이 아시아태평양지역 내 10대 메가딜에서 7개를 차지했다. 한국은 토스(4억500만 달러)가 8위에 올랐다. 김이동 삼정KPMG 부대표는 "유럽의 지속적인 에너지 위기와 기후 변화 등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대체 에너지 기술, 전기 및 수소 동력 차량, 배터리 저장 기술 등에 계속 눈길을 돌릴 것"이라며 "전세계적으로 사이버보안, 생명공학, 레그테크 및 밀리터리 애플리케이션에도 많은 관심이 몰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으로 인공지능(AI)과 대화형 AI와 같은 게임 분야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
-
-
-
-
-
-
-
[자본시장 톺아보기] 증권사 PB "새해 반등한 국내증시, 1분기 조정 올 수도"
좌측부터 황재수 신한투자증권 서울금융센터 지점장, 장의성 미래에셋증권 대치WM센터 지점장, 이한동 유진투자증권 서울WM센터 마스터PB, 박춘희 하나증권 역삼지점 부지점장, 최경진 한화투자증권 강남리더스라운지 마스터PB 증권사 PB들은 새해 들어 시작된 국내증시의 강세가 한차례 이상 조정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침체와 소비둔화, 인플레이션 등 글로벌증시를 억눌렀던 위험요인들이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업황 사이클이 1분기에 바닥을 지날 것으로 보이는 반도체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2차전지, 위험자산 단기변동성을 피해갈 수 있는 단기채 등에는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증시는 새해 들어 불기둥을 뿜었다. 지난 2일 종가로 2225.67을 기록했던 코스피는 20일 2377.46으로 거래를 마쳤다. 15거래일새 151.79포인트(6.82%) 오르는 기염을 토한 셈이다. 같은 기간 코스닥도 671.51에서 714.47로 42.96포인트(6.40%)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증시 대비로도 상위권에 속하는 상승폭이다. 뉴욕증시는 새해 들어 지난 19일까지 나스닥이 4.48%, S&P500이 1.95% 상승에 그쳤다. 다우존스는 오히려 0.28% 하락했다. 독일의 DAX(6.05%)와 프랑스의 CAC40(5.42%), 영국의 FTSE100(2.56%) 등도 한국증시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국내증시의 상대적 약진을 두고 PB들은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과 달러 약세로 글로벌증시에 훈풍이 부는 가운데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유예 등이 국내증시에 추가적인 상승 모멘텀을 제공한 것으로 풀이했다. 황재수 신한투자증권 서울금융센터 지점장은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둔화되는 등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이 관측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곧 끝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됐다"며 "이에 따라 글로벌 채권 금리가 하락, 주요국 증시가 상승을 보인 것"이라고 진단했다. 장의성 미래에셋증권 반포WM센터 지점장은 "새해 들어 달러와 채권금리가 약세를 보이면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다"며 "한국은 개발도상국(EM) 증시 중에서도 대표적인 우량국가로 분류되기 때문에 외국인 수급 측면에서도 호재를 누렸다"고 분석했다. 이한동 유진투자증권 서울WM센터 마스터PB는 "국내증시의 경우 금투세 도입 연기가 결정되면서 해외 증시 대비 높은 상승폭을 시현했다"며 "금투세 도입 우려로 눌려있던 증시가 빠르게 해외증시와의 갭을 메우는 모양새"라고 평가했다. 박춘희 하나증권 역삼지점 부지점장은 "경기침체가 선반영된 상황에서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서며 한국증시로 외국인 투자자가 유입됐다"면서도 "주가는 오르고 있지만 거래대금은 낮은 수준"이라고 했다. 다만 이들은 국내증시의 약진이 지속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이르면 1분기 중으로 증시가 한차례 이상 조정받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조정의 근거로는 인플레이션 우려 재점화와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둔화 가능성, 4분기 실적 악화로 인한 이익창출 능력 전망치 조정 등이 제시됐다. 최경진 한화투자증권 강남리더스라운지 마스터PB는 "12월 CPI는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시장친화적인 수치가 도출됐지만 1월 CPI에서도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나 대규모 인프라 투자 등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는 요인도 추가로 있기 때문에 물가가 다시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미국 기업들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상품 가격을 올린 점도 증시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마스터PB도 "점도표상으로는 미국 기준금리가 현재 수준에서 추가 인상되는 것이 확정적인 상황"이라며 "매크로적인 기대감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장 지점장은 "4분기 실적 발표가 진행되면서 기업의 이익창출 능력에 대한 추정치나 기대치가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며 "원·달러 환율과 채권금리도 언더슈팅한 측면도 있다. 1분기 중으로 쉬어가는 국면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선호 섹터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업종은 반도체였다. 장 지점장과 최 마스터PB가 최선호 섹터로 선정했다. 박 부지점장은 차선호섹터로 꼽았다. 최 마스터PB는 "삼성전자의 4분기 잠정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했지만 이는 반도체 사이클이 저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 전기차에 운영 체제가 탑재되면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할 경우 시장이 강하게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장 지점장은 "삼성전자마저도 적자가 난다는 것은 반도체 감산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라며 "감산이 현실화되면 강력한 반등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중국 리오프닝 테마도 복수의 지목을 받았다. 박 부지점장이 최선호로, 황 지점장이 차선호로 선택했다. 황 지점장은 "이미 중국발 호재가 있는 임플란트는 중국 리오프닝의 수혜도 볼 수 있다"며 "국내 미용 기기 등의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과 동남아 등에 대한 수출도 증가세인 만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최선호 섹터는 2차전지 장비주다. 일부 종목은 여전히 영업이익률이 10% 후반대가 나오고 있다"며 "전기차 수요 불안 우려에도 여전히 침투율이 낮은 만큼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말했다. 이 마스터PB는 단기채를 통한 헷지를 추구했다. 증시의 단기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는 국면에서 가격이 저점을 다지고 있는 채권으로 잠시 우회해가라는 조언이다. 그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현금 비중을 높이는 것이 최선이지만 단기채를 포트폴리에오 포함시키는 것도 상책"이라며 "다소 리스크를 감수할 의향이 있다면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섹터에 투자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불경기에는 콘텐츠 등 소프트웨어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했다. 장 지점장과 최 마스터PB는 차선호 섹터로 각각 IT와 인공지능(AI)을 제시했다. 장 지점장은 "대표적 성장주인 IT 섹터는 금리 인상으로 주가가 가파르게 빠졌지만 이제는 시장금리가 빠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성장주가 반등하고 있다"며 "우량한 기술주들, 특히 대표적인 인터넷 기업들의 반등이 예상된다"고 예상했다. 최 마스터PB는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섹터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증시도 이같은 추세에 동조할 것"이라며 "인공지능 공장 등이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주가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마감시황] 코스피, 설연휴 앞두고 외국인 매수세 유입에 상승 마감
장중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외국인 매수세 유입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다만 연휴를 앞두고 거래대금이 감소하면서 상승폭은 크지 않았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92포인트(0.63%) 오른 2395.26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0.34포인트(0.01%) 내린 2380.00으로 출발, 장중 한때 2372.57로 떨어졌으나 오후 들어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 마감했다. 개인은 2452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2310억원, 기관은 83억원어치 각각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삼성바이오로직스(-0.12%)는 하락했다. 상승한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2.96%), 포스코홀딩스(2.66%), SK하이닉스(2.46%), 삼성SDI(1.48%), 카카오(0.66%), LG화학(0.64%), 삼성전자(0.49%), 현대차(0.30%) 등이다. 업종별로는 보험(-0.99%), 의료정밀(-0.42%), 의약품(-0.40%) 등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3.90%), 철강금속(2.24%), 전기전자(1.07%) 등이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5.08포인트(0.71%) 오른 717.97로 마감했다. 지수는 0.57포인트(0.08%) 내린 712.32로 출발했다. 개인은 324억원어치 순매도했다. 기관은 454억원, 외국인은 56억원어치 각각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셀트리온제약(-1.21%), HLB(-0.48%), 셀트리온헬스케어(-0.34%), 리노공업(-0.31%) 등은 하락했다. 상승한 종목은 에코프로비엠(1.95%), 에코프로(1.53%), 엘앤에프(1.29%), 스튜디오드래곤(1.24%), 펄어비스(0.57%), 카카오게임즈(0.56%) 등이다. 업종별로는 기타서비스(-0.18%), 방송서비스(-0.05%) 등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의료정밀(2.20%), 오락문화(2.19%), 기계장비(1.65%) 등이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구정 연휴를 앞두고 장중 혼조세를 보였지만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폭을 확대했다"며 "2023년 실적 개선과 해외수주 성과 기대감을 받은 건설업종이 강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