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
-
-
-
-
2030 산업계 탄소감축 목표 14.5%→11.4%...산업 부담 줄이고 신재생 늘리고
정부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1.4%로 설정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결정됐던 14.5%에서 완화하는 대신 신(新)재생 에너지 비중을 키워 NDC를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21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전략 및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NDC를 달성하기 위해 부문별·연도별 세부적인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담겼다. 문재인 정부 때 발표한 NDC와 목표(2018년 대비 40% 감축)는 같지만, 이번 발표의 핵심은 '산업계 부담 줄이기'다. 2021년 10월 발표 때는 2030년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 규모를 2018년보다 14.5% 줄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에는 11.4%로 3.1%포인트 완화했다. 대신 에너지 전환 부문 감축 규모는 44.4%에서 45.9%로 늘어났다. 원전 비중을 높이고 태양광·수소 등 청정에너지로 전환을 가속한다는 점을 반영했다. 수소 부문 감축 목표도 종전 7.6%에서 8.4%로 상향됐다. 블루 수소 증가로 배출량이 일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이같이 조정했다고 탄녹위는 밝혔다.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을 활용한 탄소감축 목표는 기존 1030만t에서 1120만t으로 늘렸다. 탄녹위는 "원료수급, 기술전망 등 현실적인 국내 여건을 고려해 감축 목표를 완화했다"며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부문은 국내 탄소저장소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다만 건물(32.8%), 수송(37.8%), 농축수산(27.1%), 폐기물(46.8%), 탈루 등(3.9%) 5개 부문은 기존 NCD 목표와 동일하게 설정됐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 2027년까지 약 89조9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 개발, 제로에너지·그린리모델링, 전기·수소차 보조금,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에 54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기후적응 분야 19조4000억원, 녹색산업 성장 6조5000억원을 지출할 계획이다. 탄녹위 정부안은 지난해 8월부터 국책연구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기술작업반의 연구·분석을 토대로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20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정부는 여론 수렴을 거쳐 다음 달 기본계획 최종안을 확정 발표한다. 이를 위해 오는 22일 탄녹위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대국민 공청회를 열고, 현장토론회도 진행한다.
-
韓·日 '화이트리스트' 이르면 5월 회복…"행정절차 신속 진행"
한국에 대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혜택을 주는 백색 국가 리스트)' 제외 조치가 이르면 5월 중 해제될 전망이다.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0일 기자들과 만나 "한국과 일본이 (화이트리스트 복원을 위한) 행정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는 데 합의하고 진행 중"이라며 "가급적 빨리 원상으로 회복시켜 양국 간 산업통상 관계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는 해제하기로 한 상황이다. 다만 2019년 8월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한 조치의 해제 여부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부가 나서 행정 절차 변경에 시일이 소요될 뿐 화이트리스트 원상 회복은 양국 간에 합의된 사안이라는 걸 확인해준 셈이다. 안 본부장은 "우리는 전략물자 수출입 고시를 개정해야 하고, 일본은 (우리의) 대통령령에 해당하는 정령을 개정해야 한다"며 "화이트리스트 복원은 양국 모두 똑같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화이트리스트 복원을 위해 일본은 시행령을, 한국은 산업부 고시를 개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일본의 정령 개정은 내각 회의 의결이 필요한데 최소 두 달 이상 걸린다. 우리나라도 전략물자 수출입 고시를 다시 고치려면 의견수렴, 규제심사, 관계부처 회의, 법제처 심사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고시 개정을 위해 우리나라는 두 달 정도, 일본은 그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며 "양측이 함께 개정할 사안이라 (정확한 시점은) 협의가 진행된 이후에나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한·일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에 공동 대응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 대해 안 본부장은 "(양국이) 공조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양국 신뢰와 경제 통상 관계를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안 본부장을 단장으로 한 1차 정부·기업 합동 셔틀 경제협력단은 지난 15∼16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를 방문해 양국 고위급과 기업들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과 양해각서(MOU) 등 6건이 체결됐다. 이번 셔틀 경제협력단에는 원전·플랜트와 기자재, 신산업, 방산, 농수산, 문화콘텐츠 분야의 34개 기업이 참여했다. 안 본부장은 "셔틀 경제협력단을 4차까지 파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꺾이지 않는 자동차 수출...2월 車수출액 '또' 역대 최고치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에도 한국의 자동차 산업에는 계속해서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 2월 국내 자동차 수출액은 56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동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판매 단가가 높은 친환경차 수출이 늘어난 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2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 생산량은 30.2%, 수출량은 34.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특히 수출액은 47.1% 급증한 55억9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지난달 자동차 생산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이 개선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30.2% 증가한 34만3575대를 기록했다. 현대차·기아의 신차 생산량 증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전년 동월 대비 현대차 생산량은 27.8%, 기아는 38.4% 증가했다. 중형3사도 모두 생산량이 증가했다. 한국지엠과 쌍용차 생산량도 각각 전년 대비 19.0%, 31.4% 증가했다. 르노코리아는 QM6 생산이 소폭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3.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체 내수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9.6% 증가한 14만7000대를 기록했다. 국산차는 대형세단과 SUV, 친환경차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1.5% 증가한 12만5000대 판매됐다. 수입차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중심으로 한 BMW, 아우디, 렉서스 등이 판매 호조를 보이며 전년 동월 대비 9.9% 증가한 2만2000대가 팔렸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그랜저, K8 등 대형 세단과 투싼, 싼타페, 스포티지 등 인기 SUV 판매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5.3% 증가한 2만5000대를 기록했다. 전기차의 경우 아이오닉6 판매 개시, 1t 전기 트럭 등의 판매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6% 증가한 1만8000대가 판매됐다. 수출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34.8% 증가한 22만3000대, 금액은 47.1% 증가한 56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1위 모델은 한국지엠의 트레일블레이저가 차지했다. 특히 현대차·기아, 한국지엠, 쌍용차 수출 모두 전년 동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면서 4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단가가 높은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 판매량 증가가 자동차 수출을 견인했다. 2월 친환경차 수출량은 전년 동월 대비 61.6% 증가한 6만3000대로 처음으로 6만대를 넘어섰다. 친환경차 수출액도 83.4% 늘어난 20억2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기차 수출량은 76.6% 증가한 3만843대를 기록했다. 하이브리드차는 48.8% 증가한 2만6033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51.0% 증가한 5945대를 기록했다. 수출액(56억 달러)은 수출 물량 증가와 함께 단가가 높은 친환경차 수출이 늘어나면서 두 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직전 최고치는 지난해 12월 54억2000만 달러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