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공영홈쇼핑, 공익성·수익성 ‘두 토끼’ 잡으려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오수연 기자
입력 2019-06-12 07: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판매수수료율 인하·해외 OEM 판매 금지…실적 '악화'

  • 전문가들 "2014년과 달라진 홈쇼핑시장 환경 고려해야"

정부의 판매 수수료율 인하와 해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제품 판매 제한 등으로 공영홈쇼핑이 몸살을 앓고 있다.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출범했으나 지나치게 정책적 판단에만 치중한 탓이다. 공익과 기업 경쟁력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영홈쇼핑 로고]

◆수수료 쇼크·해외 OEM 판매 금지에 코드인사 논란까지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공영홈쇼핑은 매출액 1515억원, 영업손실 6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1389억원)보다 9.07% 늘었지만, 영업손실은 45억원에서 65억원으로 44.44% 증가했다. 

적자폭 확대에는 판매수수료율 인하가 한몫했다. 2015년 개국한 공영홈쇼핑은 3년간 수수료율 23%를 유지하다 지난해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승인을 받으며 20%로 인하했다. 2014년 출범 논의 당시 과기부와 개국 3년 뒤 수수료율을 3% 포인트 낮추는 조건에 합의했기 때문이다. 100만원어치를 팔면 23만원 남던 것이 20만원이 된 셈이다.

공영홈쇼핑의 지난해 취급액이 6336억원임을 고려하면 이는 상당한 액수다. 판매수수료는 홈쇼핑의 주요 매출원 중 하나다. 홈쇼핑 5개사(GS홈쇼핑·CJ오쇼핑·현대홈쇼핑·롯데홈쇼핑·NS홈쇼핑)의 평균 수수료율은 33.4%, 홈앤쇼핑은 27%다.

일각에서는 이로 인해 공영홈쇼핑이 '팔면 팔수록 손해 보는' 구조가 됐다는 진단이다. 홈쇼핑사는 방송 매출의 상당부분을 송출수수료로 지불한다. 홈쇼핑사 전체 송출수수료는 2014년 1조383억원에서 지난해 1조6350억원으로 4년 만에 57.5% 급등했다. 수수료율을 낮춘 지난해에 연착륙을 위한 대책이 마련됐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1월 시작한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정책도 발목을 잡은 것 중 하나다. 국내 제조기업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해외 OEM 제품 판매 금지를 핵심 내용으로 담았다. 국내산 제품만 판매할 경우 가격경쟁력도 뒤처지고, 일부 품목은 국내 생산이 어려워 카테고리 축소 문제가 제기됐다. 국제통상법 위반 논란도 불거졌지만, 당시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이 정책을 강행했다. 결국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문제점을 인정하고 시행 5개월 만인 지난달 해외 OEM 제품 판매 일부 허용으로 완화했다.

여기다 최고경영자(CEO)와 이를 견제할 상임감사마저 경영 정상화에 걸림돌이 됐다. 지난해 6월 취임한 최창희 사장은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사람이 먼저다' 슬로건을 만든 광고 전문가로, 유통·홈쇼핑 경력은 없다. 문재인 대통령과 경남고 선후배 사이로, 취임 당시 코드인사 논란이 일었다. 같은 해 11월 선임된 김진석 상임감사는 김태년 민주당 의원 보좌관 출신이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상임감사 선임 절차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자본잠식 시작··· 성장동력 ‘안갯속’

내우외환이 끊이지 않으면서 공영홈쇼핑은 실적 악화가 계속됐다. 설립 이래 누적 영업손실이 417억원에 달한다. 당기순손실 누적으로 자본잠식도 시작됐다. 당기순손실은 2015년 190억원, 2016년 94억원, 2017년 34억원, 2018년 52억원으로 개국 이래 총 370억원이다. 공영홈쇼핑 자본금은 800억원이다.

성장에도 제동이 걸렸다. 그간 5개 홈쇼핑사는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T커머스(TV를 통해 구매·결제할 수 있는 양방향 홈쇼핑) 사업을 일찌감치 시작했다. 홈앤쇼핑도 최근 T커머스 의사를 밝혔지만. 공영홈쇼핑만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는 공공기관이라 신사업 시작 절차가 까다롭고, 실적 악화로 투자여력이 없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 "5년 새 달라진 환경 인식해야"

전문가들은 공영홈쇼핑의 설립 취지엔 공감하나 출범 당시와 달라진 환경에 따라 규제·지원책이 따라줘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재섭 남서울대 교수는 "공영홈쇼핑 출범 당시와 환경이 달라진 만큼 규제도 변해야 한다. 송출수수료를 내며 똑같이 경쟁하는 환경에서는 규제가 지나치다"며 "공익적 목적을 수행하는 기관에는 여러 혜택을 주는데 공영홈쇼핑은 오히려 손발이 묶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확실한 지원책이나 시장에서 활로를 찾아야 한다"며 "공영홈쇼핑은 이미 포화상태인 홈쇼핑 시장에 뒤늦게 뛰어들었고, 요즘엔 모바일 쇼핑이 대세다. 중기 제품 육성도 중요하지만 시장에서 잘 뛸 수 있는 방법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다른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공영홈쇼핑은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 타 공공기관과 달리 매출을 올리는 만큼 소규모 적자가 나더라도 목표 이행을 잘 점검해야 한다"며 "공익적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인 만큼 중소기업 상품 발굴에 힘쓰도록 격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