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백의 新 경세유표 12-11] 일본 무궁화, 왕실공원부터 게다 끈까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효백 경희대 법무대학원 교수
입력 2019-06-04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본 무궁화 통사(3)

  • 덴노, 오다, 도요토미, 도쿠가와 가문(家紋)들에 얼비치는 무궁화 신문(神紋)

  • 무궁화 나무껍질로 만든 고급 종이, 어망, 게다 끈, 바구니, 무좀약 등

강효백 경희대학교 법학과 교수

“길섶의 무궁화 아차 순간에 말이 먹어치우고 말았네.”
-에도시대 전기 마쓰오 바쇼(1644~1694)의 하이쿠

“그래 저래도 그날 일몰이구나 붉은 무궁화.”
-에도시대 후기 고바야시 잇사(1763~1827)의 하이쿠

"에도시대 옛 나무 품종들을 공원에 많이 심어 오늘날 사람들이 잊지 않게 해야 한다."
-아키히토 전 일왕이 나루히토 현 일왕(당시 태자)과 함께 왕실공원의 무궁화 화원 곁에서 나무를 심으며(2008년 4월 11일)

"어린아이가 무궁화를 가지고 노는 걸 금지해야 한다. 병과 학질에 걸리게 된다. 고로 무궁화를 학질꽃이라 한다."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전범기는 악을 쓰고 반대하면서 전범기의 원형 무궁화는 국화 국가 국장으로 받드는 우리를 일본이 얼마나 경멸하고 있을까? 생각하니 무궁 참담하다."
-강효백 

 

[자료=강효백 교수]


◆덴노, 오다, 도요토미, 도쿠가와 가문(家紋)들에 얼비치는 무궁화 신문(神紋)

전국시대 100여 년의 혼란을 종식시킨 사람이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세 사람이다. 일본사에서는 드문 영웅으로 각각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

좀처럼 울지 않는 새를 울게 하라고 한다면, 오다 노부나가는 새가 울지 않으면 그 자리에서 칼로 목을 베어버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온갖 방법을 써서 울도록 만들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울 때까지 기다린다는 이야기는 한국에서도 유명하다.

이들 셋의 가문(家紋)에서도 셋의 특성이 드러난다. 단호하고 과격한 오다는 신사의 신문(神紋) 무궁화와 똑같은 문양을 모과문(木瓜紋)이라며 가문으로 내걸었다. 노회 능란한 야심가 도요토미는 가마쿠라 막부의 가문인 오동잎(桐紋)을 가문으로 삼았으나 임진왜란시 히노마루 무궁화를 형상화한 깃발을 내건 함대를 부산 앞바다로 출진시켰다. 그리고 인내와 기회포착의 달인 도쿠가와는 우회적으로 무궁화를 가장 닮은 꽃인 세 잎 접시꽃(葵紋)을 가문으로 내걸고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접시꽃 가문은 15대를 세습 265년간 도쿠가와 막부의 관인으로도 쓰였으나, 1617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위패를 둔 닛코(日光)시 토쇼쿠(東照宮)도처에는 접시꽃은 간데 없고 무궁화만 장식되어 있다. 오늘날 닛코시와 닛코시가 소재한 도치기(栃木)현 전역에는 무궁화 나무가 많이 식재되어 있다.
 

[자료=강효백 교수 제공]


◆꿩 대신 닭인가? 무궁화 대신 접시꽃

무궁화와 접시꽃, 두 꽃은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닮았다. 무궁화는 나무에서 피는 꽃이고, 접시꽃은 두해살이 풀에서 피는 꽃이란 사실만 다를 뿐이다. 이와 관련해선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도쿠가와 막부시대 초엽이다. 한 승려가 어느 곳을 지나가다가, 험상궂게 생긴 사내가 어린 애를 때리는 장면을 목격했다. 승려가 이를 말리면서 연유를 물었더니 사내는 어린애가 자기 집 울타리의 꽃 가지를 꺾었다는 것이고 어린애는 무궁화 꽃가지를 어머니가 좋아하는 꽃꽂이에 드리려고 그랬다는 것이다.

승려는 사내에게 “만 명의 승려에게 시주하는 일보다 한 송이 무궁화를 베푸는 게 더 낫다"고 말하면서 무궁화 꽃가지를 어린애에게 주길 권했다. 그런데 사내는 무궁화가 아니라 접시꽃이라고 시치미를 뗐다.

승려는 “나무에서 피는 무궁화가 아니라 풀에서 피는 접시꽃이라는데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가자”고 아이를 달래며 자리를 떴다. 그 사내는 무궁화와 접시꽃도 모르는 바보라고 하면서 껄껄 웃었다. 그리고 돌아서 보니 여태까지 무궁화였던 울타리가 접시꽃으로 변해 버렸다.
 

[사진=강효백 교수 제공]

이 설화는 무궁화와 접시꽃은 구별하기 어렵다는 것 외에도 세 가지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첫째, 신의 문양인 무궁화가 권력자의 문양 접시꽃보다 우위였다.
둘째, 나무에서 피는 꽃을 풀꽃보다 우대했다.
셋째, 무궁화 꽃가지를 꽃꽂이의 재료로 썼다.

일본 꽃꽂이는 다도(茶道)에 대비해 화도(華道)라고 한다. 처음에는 방 안쪽에 다른 곳보다는 조금 높은 곳에다 도코노마(床の間)라는 공간을 만들어놓고 꽃꽂이를 시작했다. 17세기 에도시대 초기부터 다도가 번성하면서 차를 마시는 방을 장식하는 꽃꽂이로 변신했다. 일본 꽃꽂이의 최대 특징은 나뭇가지가 필수이며 나무꽃을 풀꽃보다 중시한다는 것. 일본인의 최대종교이자 토착신앙인 신토(神道)에서 신령이 꽃나무에서 산다고 믿고 나뭇가지를 신으로 모시기 때문이다.

일본인은 예로부터 접시꽃·나팔꽃·팬지·일일화 등 최고신 태양여신 아마테라스를 닮은 꽃을 좋아해왔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풀꽃들로서 강인한 나뭇가지에서 피는 꽃 무궁화와 차원 자체가 다르다.

「입화정도집立花正道集』(1684), 「입화편람立花便覧』(1695)를 비롯한 에도 시대에 간행된 꽃꽂이 서적들에는 무궁화가 삼나무, 사철나무, 일본소나무(고야마쓰), 매화, 행화, 벚꽃 등과 함께 꽃꽂이 필수 재료로 열거되어 있다. 현대 일본 꽃꽂이에도 무궁화가 자주 등장한다.

실제로 에도시대 무궁화 관련 꽃꽂이 문헌으로는 「체화전비서替花伝秘書(1661)」, 『입화초심초立花初心抄(1677)』, 「입화정도집立花正道集(1684)」, 「포입화전서抛入花伝書(1684)」, 「화도전서華道全書(1685)」, 「입화지남立華指南(1688)」, 「입화지변대성立華道知辺大成(1688)」, 「입화편람立花便覧(1695)」, 「포입화박抛入花薄(1767)』, 『생화백경生花百競(1769)』 등이 있다.

이처럼 에도시대 초기 다실에서 꽃꽂이로 영토를 넓힌 무궁화는 17세기 후반부터는 정원으로 그 영역을 넓혀 나갔다. 1681년 출간 일본 최고(最古)의 원예전문서적 「화단강목(花壇綱目)에 무궁화나무는 6대 꽃나무(花木)의 하나로 명기된 것을 비롯하여 「화보花譜」(1694), 「화단지금초花壇地錦抄」(1695), 「증보지금초増補地錦抄」(1705), 「광익지금초広益地錦抄」(1719), 「화휘花彙」1765, 「초목육종草木育種」(1818) 등 에도시대 중기에 출간된 원예 서적들에 세심하게 게재돼 있다.

◆도쿄 황궁 '시크릿가든'의 무궁화 화원

[사진=강효백 교수 제공]


일본 최고권력 핵심지는 일본의 수도 도쿄에서도 치요다(千代田) 특별자치구다. 치요다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1603년 그곳에 막부를 설치한 후 2019년 오늘까지 강산이 42회까지 바뀔 때까지 챔피언 자리를 빼앗기지 않은 일본 최고권력 핵심지역이다.

흔히들 도쿄의 치요다구를 서울의 종로구라 비유하는데 이런 비유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치요다구에는 왕궁(皇居), 국회의사당, 내각총리대신 관저, 최고재판소, 경시청, 교토 역, 야스쿠니 신사 등등 일본의 랜드마크가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치요다구를 서울의 종로구 겸 영등포구 겸 서초구 겸 중구라 해야 겨우 양이 찰 것 같다.

이러한 일본 최고권력 핵심지 치요다구에서도 중심에 위치한 왕궁 동쪽에는 아주 특별한 시크릿가든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고쿄히가시교엔(皇居東御苑; 이하 왕실공원으로 칭함).

궁내청이 관리하고 왕실 경찰이 경호하는 총면적 약 20만㎡의 왕실공원은 도쿠가와 막부가 소재했던 에도성에 자리하고 있다. 1968년부터 일반에 공개되고 있으나 공원 곳곳에는 출입 금지 지역이 산재해 있다.

도쿠가와 쇼군의 관저였던 혼마루(本丸)와 제2, 3집무실이었던 니노마루(二の丸)와 산노마루(三の丸) 등 왕실공원의 중심부 정원에는 각종 꽃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핵심인 혼마루에 위치한 과수고품종원(果樹古品種園)에는 역대 쇼군들이 애호했던 나무들인 무궁화·해당화·능금나무·매실나무·살구나무들이 각각 별도의 작은 화원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 과수고품종원 맨 상단의 무궁화 화원에는 일장기와 욱일기를 닮은 흰 꽃잎 바탕에 가운데 움푹 들어간 꽃심 부분이 빨간 소코베니(底紅)품종인 히노마루(日の丸)와 소우탄(宗旦)무궁화들이 식재돼 있다.

매년 봄 일왕은 왕비와 태자 등 왕실 가족을 대동하고 일본의 중심 도쿄, 도쿄의 중심 치요다구, 치요다구의 중심 왕실공원, 왕실공원의 중심 과수고품종원, 과수고품종원의 중심, 중심이 다섯 개 겹치는 5중 동심원 정 중앙에 자리한 무궁화 화원 옆에서 식수행사를 한다.

비단 왕실화원뿐만 아니다. 무궁화 나무는 일본 최대 번화가 신주쿠의 대형 공원 신주쿠 공원(1772년 도쿠가와 막부의 가신 나이토(內藤)가문이 조성, 총면적 58만㎢)과 도쿄도 최대 식물원 진다이(神代)식물공원 등 일본 전국각지의 공원과 식물원에는 별도의 무궁화 화원이 마련되어 있을 만큼 존귀하게 대접받고 있다.

에도시기 중반인 18세기에 들어서자 일본 농민은 황무지를 개간하여 전답을 넓히고, 농구를 개량, 무궁화 나무 등 재배작물의 종류를 다양화했다. 17세기 후반 다실과 꽃꽂이에서 정원으로 영역을 넓혔던 무궁화가 광활한 들판으로까지 나아간 까닭은 무엇일까?

◆무궁화 나무껍질로 만든 고급 종이, 어망, 게다 끈, 바구니, 무좀약 등

일본인이 예로부터 무궁화를 사랑하고 존중한 이유는 무궁화가 일본인 고유 신앙인 신사의 신의 꽃이라는 저 높은 곳의 사유의 형이상학 세계에 있는 것만이 아니다. 오히려 이 낮은 곳의 생활 밀착형 유물론적 형이하학 세계에 훨씬 많이 근거한다.

일본인이 예로부터 무궁화를 중시한 현실적 경제적 이유는 무궁화 나무껍질로 닥나무보다 강하고 아름다운 최고급 종이와 노동과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인 어망과 바구니, 게다의 하나오(下駄の鼻緒)라고 불리는 끈과 각종 짚신 등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어디 그뿐인가? 에도시대 일본인은 무궁화 껍질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무좀약까지 개발했다. 알다시피 강우량이 우리나라 두배 가량 많아 습한 기후의 일본 땅에서 무좀은 일본인 4~5명 중에서 1명이 갖고 있는 흔한 병이다. 좀처럼 완치되지 않고 매년 장마철이 되면 재발한다. 이런 일본국민 고질병 무좀의 특효약을 무궁화 껍질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다니, 고마운 무궁화를 일본인이 어찌 사랑하지 않겠는가!

이처럼 무궁화는 오래전부터 일본인의 발가락과 게다 끈의 발끝부터 어망과 바구니와 종이의 배와 팔다리까지, 다도와 꽃꽂이의 가슴부터 신사의 신화 머리끝까지, 일본의 일체를 지배해 왔다.

요컨대 에도시대 일본의 무궁화는 초기에는 다실에서 꽃꽂이로, 초중기에는 꽃꽂이에서 정원으로, 중후기에는 정원에서 들판으로 무궁 영토를 무궁 확장해 나갔다.

1603년 도쿄에 막부를 설치 에도 시대를 개막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섣부른 팽창에서 착실한 수렴의 시대로 대전환, 내공을 쌓기 시작했다. 무궁화 나무를 상층부의 정원에 심어놓고 히노마루와 소우탄 무궁화 꽃심의 붉은 원 일장(日章)과 일장 주위에 뿜어나오는 붉은 빛기둥 욱광(旭光)을 감상하는 것으로 대리만족하면서 반도와 대륙에로의 팽창의 꿈을 내밀히 키워나갔다.

한편으로 아래 신민(臣民)들에게는 종이와 그물, 광주리와 게다 끈과 무좀약 등 생필품을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무궁화나무를 밭과 개간지에 심도록 장려하는 등 민생을 살찌우게 하며 은밀히 실력을 키워나갔다. 1867년 에도시대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의한 대정봉환(大政奉還)까지 15대 265년간.

에도시대 무궁화 관련 주요 농업 서적으로는 『농업전서 農業全書』(1697), 『채보菜譜』(1704), 『경가춘추(耕稼春秋)』(1707),『농사유서(農事遺書)』(1709),『농가유어(老農類語)』(1722),『경작신(耕作噺)』(1776), 『사가농업담(私家農業談)』(1789), 『대화목경 (大和木経)』(1820), 『농업여화(農業余話)』(1828), 『농업자득 (農業自得)』(1852), 『광익국산고(広益国産考)』(1859) 등이 있다. 
 

[사진=강효백 교수 제공]


◆「승정원 일기(1623~1894)』 총2억4250만자중 단 한 글자도 나오지 않는 무궁화

일본 에도시대(1603~1867) 265년간과 비슷한 기간에 한국의 시공에서의 무궁화는 어떠한가?

무궁화(槿)는 일제의 침탈이 개시된 1895년 이전의 오늘날 대통령비서실 일기인 「승정원일기』(1623~1894) (국보303호 세계문화유산 2001년 등재) 조선후기 272년간의 기록, 총 2억4250여만자중에 단 한 글자도 나오지 않는다. 무궁화(槿) 글자는 『조선왕조실록』의 「선조실록」 선조36년(1603년)부터 「고종실록」 고종5년(1867년)까지 약 3200만자 중 단 한 글자도 나오지 않는다.

시간의 범위를 넓혀 말하자면 역대 한국의 7대 대표 사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총합 약2억9800만자 중 무궁화는 단 한 글자 나온다. 그것도 단명이라는 뜻으로. (1)*복숭아꽃·매화·국화·모란·배꽃·살구꽃·자두꽃·진달래·장미·철쭉 등 온갖 꽃의 이름들은 수도 없이 나오는데......

엄밀히 말해 한반도에서 신화나 허구가 아닌 실체적 무궁화가 기록되기 시기는 19세기 전반부터다. 그 이전의 기록들을 한 걸음만 더 깊이 들어가 살펴보면 중국 문헌을 검증없이 인용하거나 중국 시문을 차운한 것, 그것들을 다시 재인용하거나 의도적 오역, 위변조, 은폐, 견강부회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정약용, 서유구, 이규경 등 19세기 전반의 극소수 선각자급 실학자들이 무궁화 실체를 간략히 비판적으로 언급하였다.

"무궁화는 천박한 자질에 활기도 없어 빈 골짜기에 버려지리(薄質消沈委空谷)."
-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정원에 뽕나무와 무궁화와 복숭아나무를 심으면 종내 편안하게 지낼 수 없다."
- 서유구(徐有榘, 1764~1845),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진딧물도 많아 어린아이가 무궁화를 가지고 노는 걸 금지해야 한다. 병과 학질에 걸리게 된다(小兒忌弄 令病瘧). 고로 무궁화를 학질꽃(瘧子花)이라 한다."
-이규경(李圭景, 1788~1856)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따라서 필자는 구한말 일제 침략이 본격화되기 이전, 그러니까 윤치호(이토지코, 종일매국노의 대부, 을사늑약 체결 실제 책임자, 일본제국의회 귀족의원 역임)가 1896년 11월 21일 사상 최초로 ‘무궁화 삼천리’라는 애국가 가사를 읊기 이전, 한국 땅에서의 무궁화는 학질과 안질 등 갖은 병과 세균을 옮기는 불결하고 불길한, 오늘날 미국자리공처럼 요주의 유해식물로 기피되어 온 것으로 비정(比定)한다.
 

[사진=강효백 교수 제공]

◆◇◆◇◆◇주석

(1)*총 4965여만자의 『조선왕조실록』에는 무궁화 글자가 단명의 상징으로 단 한 번 나온다. 「연산군일기」 60권, 1505년 연산 11년 10월 18일 기사 5번째기사 애첩 여원의 빈소를 거두면서 비통해하며 신하에게 글을 짓게 함.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