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미디어 커머스 사업자 출현을 환영하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두리 기자
입력 2018-06-25 13: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용희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용희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글로벌 미디어 시장의 빅뱅이 시작됐다. 인수·합병(M&A)을 통해 융복합 미디어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은 AT&T가 워너브러더스를 인수하여 콘텐츠와 플랫폼의 대형 수직 계열화가 진행됐다. 디즈니는 컴캐스트와의 경쟁 끝에 21세기폭스 인수를 확정하면서 수평 계열화가 진행 중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완다 그룹은 레전더리를 35억 달러에 인수해 본격적으로 글로벌 미디어 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콘텐츠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해 미디어 커머스를 확대하고 전통 레거시 영역을 혁신적으로 파괴하여 융·복합 서비스를 확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미디어 산업은 어떤가? 얼마전 지상파 대표들이 방송통신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넷플릭스로 대변되는 글로벌 미디어 기업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소위 '약한 고리 전략'으로 밀고 들어오는 넷플릭스에 대한 규제를 요구하는 자리였다. 정리하면, 지상파는 혁신적 파괴의 현장을 외면하고 규제를 통해서 기존의 기득권을 지키고 안주하려는 경향을 보여 준다.

CJ 오쇼핑과 E&M은 올해 1월 합병을 발표했다. 두 회사는 합병 목표에 대해 “최고의 상품 기획력과 최고의 콘텐츠 제작 역량을 집약한다"고 정의했다. 이 사업자가 발표한 글로벌 전략은 △각자 사업영역의 압도적 1위 △상품 및 브랜드 사업 강화 △신수종 사업 추진 △글로벌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체되어 있는 방송 산업을 혁신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데 전략의 방점이 찍혀 있다.

전 세계에서 레거시 미디어(TV, 신문 등의 초창기 미디어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 정책은 여전히 규제 일변도다. 산업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파편화되고 있는데, 관련 법은 이러한 변화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MCN(Multi Channel Network, 아프리카TV로 대변되는 ‘1인 미디어’) 시장이 매년 2~3배 성장하는 상황에서 MCN 육성정책은 제작지원 이외에 별다른 제도가 없다. 혁신적인 산업 모델을 발굴하고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는 데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사업 환경이라는 뜻이다. 국내 미디어 정책은 제도적인 지원책이 병행되어 산업을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여전히 '규제'에 머물러 있다.

다행인 것은 이런 학계와 산업계의 건의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적극 수용하고 대응을 착실하게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방송영상 산업발전을 위한 중장기 전략 마련을 준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유료방송사업자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앞서 언급한 새로운 미디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논의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전 세계적인 미디어산업 재편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불필요한 규제들을 없애고 진흥과 제도적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운영해야 실패가 없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