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 세기의 만남 앞두고 중·러 밀착, SCO로 미국 견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근정 기자
입력 2018-06-10 16: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세기의 만남 앞두고 칭다오서 정상회의, 단결력 과시하며 미국 등 견제

  • 한반도 이슈 논의 여부 미확인, 중국과 러시아는 북핵 관련 공조 다져

  • 북핵 영향력은 미미....인도, 파키스탄 동참, 미국 등 견제 대항마로 부상

9~10일 중국 칭다오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오른쪽 넷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넷째) 등 SCO 회원 8개국 정상들이 10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


'세기의 만남'이 될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은 북핵과 관련해 러시아와 공조를 다지고 몸집을 키운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회원국과 한층 단결된 모습으로 미국을 견제했다.

SCO 정상회의는 9~10일 칭다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마찰과 분열음이 잇달았던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와는 다르게 화합하고 단결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인도, 파키스탄이 합류한 후 8개 회원국 정상이 모두 참여한 첫 회의다. 옵서버 자격으로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특별 초청을 받아 참석했으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돼 중국의 영향력을 과시하는 무대였다. 

시 주석은 10일 "회원국이 많아지면서 우리는 지역 안보·안정 유지, 발전·번영의 더 큰 책임을 맡게 됐다"면서 "한층 더 화합하고 단결해야 한다"고 새로운 SCO의 단합을 강조했다. 전날인 9일 만찬에서도 '협화만방, 사해일가'(協和萬邦, 四海一家·온 세상이 화합해 평화로운 가정을 이룬다)라는 유교 경전 문구를 인용해 "화합은 SCO의 정신과도 서로 통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북·미 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 문제 등이 논의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북·미 정상회담 개최 직전 열린 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공조를 강화했고 SCO로 미국을 견제할 힘을 과시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 한반도 비핵화 '차이나패싱' 안돼...중-러 밀착 공조

 

8일(현지시간) 중국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중국이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우의훈장'을 목에 걸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


우여곡절 끝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중국의 입지가 줄고 남·북·미 종전선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중국은 다소 초조한 모습이다. 관영언론은 연일 "중국이 없는 종전선언은 언제든 뒤집어질 수 있다", "중국 등 관련국과 함께 비핵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중국의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 평화와 안정을 위해 일단 북·미 정상회담을 환영할 수밖에 없는 중국은 러시아와 밀착해 미국을 압박하는 길을 선택했다. 

시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SCO 회의를 하루 앞둔 8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 문제에 관한 양국의 일치된 입장을 재확인하고 공조체제를 강화했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이날 만남에서 푸틴 대통령이 "양국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안정 실현을 중시하고 있으며 남·북한 협상이 러·중이 제시한 로드맵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9일 "북·미 정상회담에서 남·북한 평화협정 체결 문제 등이 논의될 것이며 모든 것이 러시아와 중국의 로드맵에 따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양국은 지난해 7월 △쌍중단(북한 핵·미사일 개발과 한미 군사연합훈련 중단) 실현 후 본격적 협상개시 △무력 불사용과 불가침, 평화공존 원칙 확정 △ 유관국 모두 수용가능한 방식 채택 △ 한반도 동북아 평화안보 체계 구축 및 유관국과의 관계 정상화라는 단계적 비핵화 로드맵을 내놨다.

양국 정상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러한 입장을 재확인한 것은 미국에는 압박을, 북한에는 협상력을 높이는 힘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때문이다. 하지만 서두르지는 않았다. 일각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SCO가 열리는 칭다오를 경유해 싱가포르로 떠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실현되지는 않았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9월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초청했고 이 자리에 시 주석도 참석할 예정이다. 북·중·러 회동은 북·미 정상회담이 끝나고 이후 변화를 지켜본 후인 9월에 열릴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SCO, 북핵보다는 美 전략적 견제 역할

북핵과 관련한 중·러의 공조는 강화됐지만 SCO 자체가 북핵과 관련해 힘을 발휘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재우 경희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는 "미국을 경제·무역, 안보 등 큰 틀에서 전략적으로 견제할 수는 있지만 북핵 문제에는 이러한 힘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새롭게 동참한 인도와 파키스탄이 북한처럼 핵을 보유하고 있고 러시아의 대량살상무기 등 문제도 걸려 있다"고 지적했다. 

다방면으로 중국을 압박하는 미국을 견제할 수는 있지만 북핵 등 한반도 정세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 것. 최근 중국은 일방주의,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운 미국의 집중 공격을 받으며 대립하고 남중국해에서도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의 SCO 동참이 큰 힘을 보탰다는 분석이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SCO 8개국은 세계 인구의 44%를 차지하며 글로벌 경제에서의 비중도 기존의 15%에서 25%로 확대됐다. 중국은 SCO를 바탕으로 야심찬 경제권 구상이자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인 일대일로(육·해상실크로드) 추진에도 속도를 올릴 계획이다.

실제로 SCO 회원국 정상들은 경제, 안보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칭다오 선언'으로 이러한 의지를 다지고 10여건의 안보, 경제, 인문 등 분야 협력 문건에도 서명한다. 테러와 분열·극단주의 세력 척결, 마약퇴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SCO는 지난 2001년 중국, 러시아 주도로 등장한 지역 안보·경제 협력체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은 물론 지난해 인도, 파키스탄이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유라시아판 나토'로 미국 등 서방세력에 대한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