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성장률, 중국보다 빠르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세미 기자
입력 2018-06-01 17: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도 1분기 GDP 성장률 7.7%..공공지출이 주도

  • 화폐 개혁·상품서비스세 통합 여파에서 회복한 듯

  • 고유가로 인한 인플레 상승은 위험 요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사진=AP/연합]


인도의 올해 1분기(1~3월) 경제 성장률이 7.7%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 성장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을 두고 경쟁하던 중국을 크게 앞지르는 결과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31일(현지시간) 인도 정부는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7.4%와 전분기의 7% 성장률을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같은 기간 중국의 6.8%에 비해서도 높다. 

이로써 인도는 2017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인 2017/18 회계연도에 6.7%의 성장률을 기록하게 됐다. 

이번 성장률은 인도 경제가 깜짝 화폐개혁과 부가가치세 통합 조치로 인한 탈선에서 회복해 제 궤도를 찾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탠다드차터드의 사누부티 사하이 남아시아 전문가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이번 성장률은 인도 경제가 완전히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는 신호”라면서 “현 회계연도에는 7.2%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화폐개혁 이전 수준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인도는 지난 2016년 11월 검은돈 근절을 위해 시중 유통 화폐의 80% 이상을 차지하던 500루피, 1000루피 지폐 사용을 중지하고 새 지폐로 교체하는 화폐 개혁을 실시했다. 그러나 예고 없이 실시된 갑작스러운 조치로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이 급감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는 고통을 겪었다. 

지난해 7월에는 인도 전역 29개 주(州)마다 상이하던 부가가치세 제도를 동일한 상품서비스세(GST)로 통합했는데 제도적 혼란기를 겪으며 한 동안 기업 투자와 소비가 침체됐다. 이 충격으로 2017년 2분기(4~6월) 성장률은 5.7%까지 주저앉기도 했다.

한편 올해 1분기 성장률은 드러난 수치로는 고무적이었지만 공공 지출의 기여도가 컸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됐다. 공공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3%나 증가했으나, 일자리 창출을 주도하는 민간 투자 수치나 수출 등은 부족했다는 평가다.

또한 최근 국제유가 상승은 인도 경제를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모디 총리는 취임 후 약 4년 동안 저유가에 의한 인플레 안정 효과를 톡톡히 누리면서 세금 인상을 추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75달러에 안착하면서 에너지를 비롯, 관련 물가가 급격히 오를 경우 대중의 불만이 쌓이고 세금을 인하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질 수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둔 모디 총리로선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 놓일 수 있는 것이다. 

미즈호은행의 비쉬누 바라탄 전략가는 WSJ에 "최근 인플레 상승은 인도 경제에 맞바람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