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귀화 선수들 “한국에 남는다”… 국내 1호 귀화인은 중국 출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양성모 기자
입력 2018-02-28 18: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귀화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티모페이 랍신이 훈련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해 한국을 제2의 모국으로 택한 귀화선수들이 대부분 한국에 남는다. 이들 대부분은 2022년에 열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태극마크를 달고 메달 도전에 나설 계획이다.

◆귀화 외국인 대부분 한국에 남는다

28일 조선일보와 대한체육회에 따르면 평창올림픽을 위해 귀화한 선수는 총 16명이다. 이들은 모두 법무부 허가를 받아 특별 귀화했다. 개최국으로 취약 종목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수의 외국인 선수들을 받아들인 것이다.

러시아의 바이애슬론 선수 스타로두베치 알렌사드로는 부상으로 이탈해 15명이 평창올림픽에 참가했다. 이 중 상당수가 모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인으로 남을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바이애슬론 남자 10km 스프린트에서 16위로 우리나라 역대 최고 성적을 낸 티모페이 랍신이다. 올해 결혼을 앞두고 있는 랍신은 한국에 신혼집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 중이다.

2016년 한국으로 귀화하면서 독일 국적을 아예 포기한 루지의 아일린 프리쉐는 한국어 공부에 매진할 예정이다. 남녀 10명이 귀화한 아이스하키 선수들도 대부분 한국인으로 남아 베이징 올림픽에 도전한다. 미국에 입양됐다가 2015년 국적을 회복한 이미현도 한국에 남아 친부모를 찾아 나설 예정이다.

◆국내 1호 귀화인은?

한국 1호 귀화인도 관심사다. 우선 우리 역사에 기록된 첫 귀화인은 956년(고려 광종 7년) 중국 후주(後周) 출신의 쌍기(雙冀)다. 사신을 따라 고려에 온 그를 흠모한 광종이 벼슬을 주며 고려인으로 살기를 부탁해 정착하게 됐다. 조선시대에는 1627년 제주도에 표류한 뒤 정착한 박연(얀 야너스 벨테브레)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광복 후 우리나라 1호 귀화인은 중화민국 산동성이 본적인 손일승씨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1957년 2월 8일 발행된 관보(제1720호)에 당시 이호 법무장관의 고시가 실려 있는데 손씨에게 귀화를 허가한다는 내용이다. 일각에서는 서강대의 초대 총장인 길로연(케네스 킬로렌) 신부로 알려져 있으나 길 신부의 귀화 연도는 1966년으로 손일승씨보다 9년 늦다.

국가경제의 발달과 스포츠 육성 등에 힘입어 한국으로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도 눈에 띄게 늘었다. 2000년 러시아 출신 신의손(발레리 사리체프)을 비롯해 이성남(데니스), 이싸빅(싸빅), 마니산(마니치) 등 축구 선수들의 귀화를 비롯, 중국 출신 탁구선수 당예서는 베이징올림픽에 한국 선수로 출전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