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하한담(冬夏閑談)] 나의 진면목(眞面目)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남현희 전통문화연구회 번역실장
입력 2018-01-19 0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남현희 전통문화연구회 번역실장

내가 가진 두 눈동자는 남의 얼굴만 볼 뿐, 나의 얼굴은 볼 수 없다.
我有兩眸(아유양모) 只以觀人之貌(지이관인지모) 不可以觀吾之貌(불가이관오지모)
- 김낙행(金樂行·1708~1766)

유체이탈(幽體離脫)을 하지 않는 한, 내 두 눈으로는 내 얼굴을 직접 보지 못한다. 거울도 있고 사진도 있다지만, 그 속의 얼굴은 거울과 렌즈에 굴절된 얼굴이지 실제의 진실한 내 얼굴은 아니다. 그럼에도 내 얼굴과 외모를 치장하는 데 무던히도 애를 쓴다. 왜? 남에게 잘 보이려고.

남의 인정을 받고 남의 칭찬을 받으면 세상살이가 편하긴 할 터이다. 그러나 남을 의식해 남에게 잘 보이려고 하는 순간, 적든 많든 가식(假飾)과 위선(僞善)이 생겨나게 마련이다. 그것이 반복되고 지나치면 진실과 내실은 사라지고 거짓과 허울만 남게 된다.

공자(孔子)는 나를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을 하지 못하고, 남을 의식하는 위인지학(爲人之學)을 하는 세태를 안타까워한 바 있다. 위기지학이란 나의 주체성을 자각해 나의 본질을 밝히는 학문, 자아성찰과 자기발전을 위한 학문을 말한다. 이와 달리 위인지학이란 남을 의식해 가식적으로 하는 학문, 세속적인 명예와 칭찬을 얻기 위한 학문을 일컫는다.

여기서 위기(爲己)는 나의 세속적 이익만 꾀하는 이기(利己)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고, 이기는 오히려 위인(爲人)에 더 가깝다. ‘위인’을 하게 되면 나의 외모, 나의 말, 나의 행동, 나의 생각은 자기 검열과 분식(粉飾)을 통해 왜곡돼 나의 본모습을 상실할 수밖에 없게 된다.

공자의 시대든 오늘이든 시대를 불문하고 ‘위기’를 하여 나의 진실한 민낯을 마주하는 게 불편한 모양이다. 그만큼 나의 크기가 작고 나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나의 크기가 작으니 나를 믿지 못하고, 나를 믿지 못하니 나를 꾸며서 진실을 가리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 결과, 눈이 있다 해도 나의 진면목(眞面目)을 나도 제대로 못 보고, 남도 제대로 못 보게 되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